승탑비문 작업노트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52번째 줄: 52번째 줄:
 
* 진관스님,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782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관스님,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782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홍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284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홍섭,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284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 자락』, 돌배게,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3318&cid=42840&categoryId=42854 운문사 삼층석탑]",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 자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 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3318&cid=42840&categoryId=42854 운문사 삼층석탑]", 답사여행의 길잡이: 팔공산 자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780000,37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780000,37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2017년 6월 16일 (금) 15:33 판

틀:문화유산 유물정보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1]

내용

운문사 대웅보전(雲門寺 大雄寶殿) 앞에 동·서로 서 있는 이 두 탑은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의 몸통을 올린 모습으로 규모와 양식이 서로 같다.[2] 탑의 몸통은 부처를 보호하는 사천왕, 인왕, 팔부중[3], 십이지신장 등의 신장들을 표현한 9세기경의 시대적인 흐름을 담아내고 있다.[4] 기단부가 몹시 부서져 무너지기 직전이던 것을 일제시대에 보수하였는데 이 때에 팔부중상(八部衆像) 등 일부를 새로운 돌로 보충하였다.[5] 한편 대웅보전이 위치한 자리의 지세가 전복하기 쉬운 작은 배 같다고 하여 지세를 누르기 위해 고려 때 대웅보전 앞에 쌍탑을 세워졌다고 전해지기도 한다.[6]

건립경위

930년 보양국사(寶壤國師)가 중국에서 돌아오는 길에 서해 용왕이 보양국사를 용궁으로 맞아들여 금빛 비단 가사 한 벌을 주면서 용왕의 아들 이목에게 보양국사를 모시고 가 작갑(鵲岬)에 절을 짓도록 부탁하였다. 이에 보양국사가 폐사를 일으키고 호고산 금수동에서 내려다보니 까치가 땅을 쪼고 있었다. 보양국사는 용왕이 작갑이라고 한 말이 생각나서 그 곳을 파보니 예전의 전돌[7]이 나왔다. 이것을 모아 오층탑을 조성하고 절을 세워 작갑사(鵲岬寺)라 했는데 지금은 작갑사 전탑은 거의 없어졌다.[8]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청도 운문사 A는 B에 있다
보양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A는 B와 관련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진홍섭,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여덟 신(神).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팔부중",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진관스님,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6. 진관스님,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전돌은 점토를 틀에다 찍은 다음 건조시키거나 구운 벽돌이다. "전돌",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진관스님,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석탑Ⅳ』,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17』, 사찰문화연구원, 2001.
  • 윤기영·심효섭, 『호거산 운문사 - 한국의 명찰 10』, 대한 불교 진흥원, 2011.
  • 청도군, 『청도의 지정 문화재』, 청도군, 2005.
  • 진관스님,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홍섭,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 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운문사 삼층석탑", 답사여행의 길잡이: 팔공산 자락,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