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귀부|귀부(龜趺)]]는 높이 0.91m, 길이 3.21m, [[이수|이수(螭首)]]는 높이 1.09m, 너비 2.33m.<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1299&cid=40942&categoryId=33382 고달사 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 두산백과</ref> 비는 일찍이 무너져 비신(碑身)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으며, [[여주 고달사지|고달사지(高達寺址)]]에는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060000,31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문화재청</ref> | [[귀부|귀부(龜趺)]]는 높이 0.91m, 길이 3.21m, [[이수|이수(螭首)]]는 높이 1.09m, 너비 2.33m.<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1299&cid=40942&categoryId=33382 고달사 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 두산백과</ref> 비는 일찍이 무너져 비신(碑身)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으며, [[여주 고달사지|고달사지(高達寺址)]]에는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060000,31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문화재청</ref> | ||
+ | [[찬유|원종대사(元宗大師)]]는 [[융제|융제(融諦)]]와 [[심희|진경대사 심희(眞鏡大師 審希, 855-923)]]의 제자로, [[여주 고달사지|고달사(高達寺)]]에서 [[봉림산문|봉림산문(鳳林山門)]]의 선풍을 크게 떨쳤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857 봉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비문=== | ===비문=== |
2017년 6월 9일 (금) 14:59 판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驪州 高達寺址 元宗大師塔碑) |
|
대표명칭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
한자 | 驪州 高達寺址 元宗大師塔碑 |
이칭 |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高達寺元宗大師慧眞塔碑) |
주소 |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로 271-15(상교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6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김정언(金廷彦) |
서자 | 장단열(張端說) |
각자 | 이정순(李貞順)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찬유(璨幽) |
건립연대 | 975년(광종 26) |
승탑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驪州 高達寺址 元宗大師塔) |
|
정의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지(高達寺址)에 있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원종대사 찬유(元宗大師 璨幽, 869-958)의 탑비.
내용
개요
귀부(龜趺)는 높이 0.91m, 길이 3.21m, 이수(螭首)는 높이 1.09m, 너비 2.33m.[1] 비는 일찍이 무너져 비신(碑身)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으며, 고달사지(高達寺址)에는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 있다.[2]
원종대사(元宗大師)는 융제(融諦)와 진경대사 심희(眞鏡大師 審希, 855-923)의 제자로, 고달사(高達寺)에서 봉림산문(鳳林山門)의 선풍을 크게 떨쳤다.[3]
비문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고달사 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 두산백과
-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문화재청
- ↑ 김영태, "봉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