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80번째 줄: 80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작성중]]

2017년 6월 2일 (금) 11:11 판

영통사 대각국사비
(靈通寺 大覺國師碑)
대표명칭 영통사 대각국사비
한자 靈通寺 大覺國師碑
주소 경기도 개풍군 영남면 용흥리
문화재 지정번호 국가지정문화재 국보급 제155호
찬자 김부식(金富軾)
서자 오언후(吳彦侯)
서체 해서, 전서
승려 의천(義天)



정의

경기도 개풍군 영남면 용흥리 영통사 터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비.

내용

탑비

고려 화엄종의 고승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1055-1101)의 생애를 기리는 비[2]로, 1125년(인종 3)에 세워졌다.[3]

북한의 보물급 제36호로 지정되었다가 국보 문화유물 제155호로 변경되었다.[4]

비문

비문은 당대의 명문장가인 김부식(金富軾)이 짓고 글씨는 오언후(吳彦侯)가 썼으며,[5] 어려서 불가에 들어간 대각국사 의천이 송나라에서 천태종화엄종을 배우고 돌아와 천태종을 개창하기까지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6]

의천의 두 탑비

대각국사 의천의 생애를 기리는 탑비는 영통사에서 발견된 것 외에 칠곡 선봉사(僊鳳寺)에서 발견된 탑비가 있다.

선봉사 대각국사비는 대각국사가 천태종을 수립한 시조임을 밝히기 위해 세운 것이고, 영통사의 것은 증시(贈諡: 임금이 신하에게 시호를 내려주던 일)를 위해 세운 것이다.[7] 한 사람의 승려에 대하여 두 개의 비가 전해지는 것은 의천의 종교적 관심과 활동이 다른 승려들과 달리 서로 다른 두 개의 종파에 걸쳐있었기 때문으로, 현재 전하는 비도 각기 원래 의천이 출가하고 활동한 교단인 화엄종과 그가 개창한 천태종의 문도들이 각기 건립한 것이다.[8] 따라서 비의 건립 주체에 따라 비문의 내용이 어떻게 다른 지를 살펴볼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자료이다.[9]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의천 A는 B를 위한 비이다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개성 영통사 A는 B에 있었다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김부식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오언후 A는 B가 비문을 썼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125년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1055-1101)를 기리기 위하여 영통사(靈通寺)대각국사비가 건립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사진출처: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2008. 온라인 참조: "영통사대각국사비", 조선향토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영통사대각국사비(靈通寺大覺國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3. 김응현, "영통사 대각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04월 06일.
  4. "영통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김응현, "영통사 대각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04월 06일.
  6. "영통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칠곡 선봉사 대각 국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최연식, "대각국사비의 건립과정에 대한 새로운 고찰", 『한국사연구』 83, 한국사연구회, 1993, 39쪽.
  9. "영통사대각국사비(靈通寺大覺國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10.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1. 사진출처: "영통사 대각국사비 탑본",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국립중앙박물관.
  12. 사진출처: "대각국사 묘지석",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