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육진개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시간정보) |
(→시각적 안내)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imagemap> | <imagemap> |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김태 「육진개척」 1975|800px|center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김태 「육진개척」 1975|800px|center | ||
− | poly | + | poly 330 112 324 126 312 134 297 142 296 145 308 148 305 158 293 165 284 193 265 187 280 208 286 231 293 213 301 209 318 221 320 234 348 232 324 200 344 205 356 203 352 193 333 193 336 183 345 184 353 171 370 159 372 166 380 148 393 81 389 79 377 139 368 146 365 149 344 152 336 133 333 113 333 113 [[김종서]] |
+ | poly 225 140 225 150 220 158 208 176 197 198 201 214 208 223 232 230 240 223 232 200 241 202 229 189 233 185 258 177 256 169 236 172 233 157 232 149 228 149 228 149 [[이징옥]] | ||
+ | poly 1 123 144 113 133 120 160 114 153 123 4 132 4 132 [[두만강]] | ||
</imagemap> | </imagemap> | ||
2017년 6월 1일 (목) 03:59 판
육진개척 | |
작가 | 김태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정의
조선 세종 16년(1434) 이후 10여 년에 걸친 육진(六鎭)개척 당시 김종서 장군 지휘하의 조선군이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을 상상하여 그린 유화이다.[1]
설명
작품 소재
조선 세종은 1433년(세종15)에 동북방면의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김종서를 함길도도절제사에 임명하고, 무신인 이징옥을 앞세워 육진 개척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1434년(세종 16)부터 10년간에 걸쳐 함경도 두만강 하류 지역에 군사상 요충지인 육진[2]을 설치하였고, 육진 개척으로 조선의 북쪽 경계가 두만강까지 완전히 이르게 되었다.
해당 작품은 김종서와 이징옥이 육진 개척을 통해 여진족을 정벌하는 모습을 담고있는데, 작품의 중앙에서 백마를 탄채 검을 빼든 장군은 김종서로, 갈색마를 타고서 그 뒤를 따르는 장군은 이징옥으로 추정된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두만강 하류 남안 유역으로, 작품 왼편 위쪽에 그려진 두만강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태 | 김태-육진개척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김태-육진개척 | 김종서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태-육진개척 | 이징옥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태-육진개척 | 육진 개척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태-육진개척 | 두만강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수도군단 | 김태-육진개척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0년 12월 31일-1991년 12월 30일 |
김종서 | 육진 개척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이징옥 | 육진 개척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세종 | 육진 개척 | A는 B를 명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김태가 김태-육진개척를 제작하였다. |
1990년 12월 31일-1991년 12월 30일 | 수도군단이 김태-육진개척을 대여하였다. |
1434년-1444년 | 육진 개척이 시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149271 | 126.9463594 | 수도군단이 김태-육진개척을 대여하였다 |
그래프
참고문헌
- "육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0일.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육진",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5월 10일.
주석
- ↑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e뮤지엄』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5월 10일. - ↑ 종성(鐘城), 온성(穩城), 회령(會寧),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