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선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영조 익선관.jpg
 
|이미지= 영조 익선관.jpg
|대표명칭= 익선관(翼善冠)  
+
|사진출처=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대표명칭= 익선관(翼善冠)
 +
|한자표기=
 
|이칭별칭= 翼蟮冠
 
|이칭별칭= 翼蟮冠
|착용시대= 고려, 조선
+
|복식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왕실
+
|착용신분=
|착용성별= 남성
+
|착용성별=
|착용연령= 성인
 
|복식구성= 모(帽), 각(角), 사변(絲辮)
 
 
|관련복식= [[곤룡포|곤룡포(袞龍袍)]], [[대|옥대(玉帶)]], [[화|녹피화(鹿皮靴)]], 왕의 [[상복|상복(常服)]]
 
|관련복식= [[곤룡포|곤룡포(袞龍袍)]], [[대|옥대(玉帶)]], [[화|녹피화(鹿皮靴)]], 왕의 [[상복|상복(常服)]]
|복식구분= 남성 예관
+
|필드수= 7
|필드수= 10
 
 
}}  
 
}}  
  
18번째 줄: 16번째 줄:
  
 
=='''내용'''==
 
=='''내용'''==
 
+
===복식구성===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왕과 왕세자의 [[상복]].<br/>
 
왕세자 [[관례]] 시의 [[초가복]].<br/>
 
왕, 왕세자, 왕세손의 익선관 형태는 모두 같다.<br/>
 
 
 
===복식 구성===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파일:복식구성,영친왕익선관고궁.jpg| 영친왕 익선관<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파일:복식구성,영친왕익선관고궁.jpg| 영친왕 익선관<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gallery>
 
</gallery>
  
===어원===
+
===착용신분===
관모의 각(角)위로 올라와 관의 모양이 ‘善(蟮, 매미날개)’자와 같기 때문에 이름 붙여졌다. 또한‘오사절상건(烏紗折上巾)’이라고 하기도 하고,‘오사절각향상건(烏紗折角向上巾)’이라 하기도 하는데, 이는 관의 형태를 말로 풀어 놓은 것이다.
+
===착용신분===
 +
[[왕]]과 [[왕세자]], [[왕세손]]착용한다.  
  
===유래===
+
===착용상황===
북주(北周)에서 기원한 [[복두|복두(幞頭)]]는 전쟁 수행에 편한 것으로 당나라 태종(太宗)은 천하에 전쟁이 끝난 것을 비유하여 복두를 모델로 익선관을 만들었다.<ref>『唐書』, 卷24, 「車服志」 “太宗嘗以幞頭起於後周, 便武事者也. 方天下偃兵, 採古制爲翼善冠, 自服之.</ref>
+
[[]]과 [[왕세자]]의 [[상복]]이다.<br/>
 +
[[왕세자]] [[관례]]에 [[초가]] 때 착용하는 관이다.<br/>
  
===기본 형태===
+
===형태===
2층의 형태로 앞은 낮고 뒤는 높으며 모라(帽羅)<ref>세종 26년에 사여된 익선관은 ‘검은색 추사[香皂皺紗]’로 기록되었다.(『조선왕조실록』 「세종 26년 3월 26일」)</ref>로 관을 싸고 뒷부분에는 2개의 뿔[角]이 위로 곧게 붙어 있다.<ref>『國朝續五禮儀補序例』,「殿下視事服圖說」, “冠以毛羅裹之, 兩大角兩小角貼後向上.”</ref>
+
2층의 형태로 앞은 낮고 뒤는 높으며 모라(帽羅)<ref>세종 26년에 사여된 익선관은 ‘검은색 추사[香皂皺紗]’로 기록되었다.(『조선왕조실록』 「세종 26년 3월 26일」)</ref>로 관을 싸고 뒷부분에는 2개의 뿔[角]이 위로 곧게 붙어 있다.<ref>『國朝續五禮儀補序例』,「殿下視事服圖說」, “冠以毛羅裹之, 兩大角兩小角貼後向上.”</ref><br/>
조선 중기 이후 2층이 높아지고 2개의 뿔의 폭도 넓어졌다가 조선 말기에 2층이 낮아지는 형태로 변하였다.
+
조선 중기 이후 2층이 높아지고 2개의 뿔의 폭도 넓어졌다가 조선 말기에 2층이 낮아지는 형태로 변하였다.<br/>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
===기타===
 +
'''유래'''
 +
북주(北周)에서 기원한 [[복두|복두(幞頭)]]는 전쟁 수행에 편한 것으로 당나라 태종(太宗)은 천하에 전쟁이 끝난 것을 비유하여 복두를 모델로 익선관을 만들었다.<ref>『唐書』, 卷24, 「車服志」 “太宗嘗以幞頭起於後周, 便武事者也. 方天下偃兵, 採古制爲翼善冠, 自服之.”</ref><br />
 +
관모의 각(角)이 위로 올라와 관의 모양이 ‘善(蟮, 매미날개)’자와 같기 때문에 이름 붙여졌다. 또한‘오사절상건(烏紗折上巾)’이라고 하기도 하고,‘오사절각향상건(烏紗折角向上巾)’이라 하기도 하는데, 이는 관의 형태를 말로 풀어 놓은 것이다.<br />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국조오례의서례]]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국조오례의보서례]]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대한예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PAGENAME}}''' || [[상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
| '''{{PAGENAME}}''' || [[관례]] || A는 B에 착용이다 ||
 +
|-
 +
| [[왕]]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왕세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왕세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
===시간정보===
 +
===공간정보===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파일:국조속오례의보서례 익선관.jpg| 『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전하시사복도설(殿下視事服圖說)」
 
파일:국조속오례의보서례 익선관.jpg| 『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전하시사복도설(殿下視事服圖說)」
 
파일:대한예전 익선관.jpg| 『대한예전(大韓禮典)』
 
파일:대한예전 익선관.jpg| 『대한예전(大韓禮典)』
 
</gallery>
 
</gallery>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파일:태조 익선관.jpg| 태조어진 익선관<ref>전주 경기전 소장.</ref>
 
파일:태조 익선관.jpg| 태조어진 익선관<ref>전주 경기전 소장.</ref>
파일:영조 익선관.jpg| 영조어진 익선관<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파일:고종 익선관.jpg| 고종황제 익선관<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파일:고종 익선관.jpg| 고종황제 익선관<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gallery>
 
</gallery>
  
==시각자료==
+
===영상===
 
"익선관을 쓴 왕",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https://tv.naver.com/v/331113 남성용/익선관]",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익선관을 쓴 왕",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https://tv.naver.com/v/331113 남성용/익선관]",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br/>
 
<br/>
70번째 줄: 100번째 줄:
 
</html>
 
</html>
  
=='''관련항목'''==
+
==주석==
===문헌/회화 → 복식 ===
+
<references/>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보여준다 ||
 
|-
 
|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국조오례의서례]]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국조오례의보서례]]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단의빈예장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대한예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풍정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국조속오례의|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br/>
 +
* 『[[국조속오례의보서례|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br/>
 +
* 『[[대한예전|대한예전(大韓禮典)]]』
 +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br/>
 +
* 李民周, 「朝鮮時代 王族冠帽에 關한 硏究」, 『服飾』, 17권, 한국복식학회, 1991.
  
===복식 → 복식 ===
+
===더 읽을거리===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상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PAGENAME}}''' || [[초가복]] || A는 B의 부분이다 ||
 
|-
 
|}
 
 
 
 
 
===인물 → 복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세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세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참고문헌'''==
 
===문헌===
 
『[[국조속오례의|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br/>
 
『[[국조속오례의보서례|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br/>
 
『[[대한예전|대한예전(大韓禮典)]]』
 
 
 
===논문===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br/>
 
李民周, 「朝鮮時代 王族冠帽에 關한 硏究」, 『服飾』, 17권, 한국복식학회, 1991.
 
 
 
===사이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78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익선관]<br/>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78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익선관]<br/>
 
[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59 한국복식사전 익선관]<br/>
 
[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59 한국복식사전 익선관]<br/>
143번째 줄: 117번째 줄:
 
[https://namu.wiki/w/%EC%9D%B5%EC%84%A0%EA%B4%80 나무위키 익선관]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92&contents_id=8027 네이버캐스트 곤룡포와 익선관]<br/>
 
[https://namu.wiki/w/%EC%9D%B5%EC%84%A0%EA%B4%80 나무위키 익선관]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92&contents_id=8027 네이버캐스트 곤룡포와 익선관]<br/>
  
=='''주석'''==
+
[[분류:궁중기록화]]  
<references/>
+
[[분류:복식]]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2017년 5월 26일 (금) 21:04 판

익선관(翼善冠)
()
[[file:|360px|thumb|center|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대표명칭 익선관(翼善冠)
이칭별칭 翼蟮冠
착용신분
착용성별



정의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의 상복곤룡포를 착용할 때 쓰는 관이다.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착용신분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왕세자상복이다.
왕세자 관례초가 때 착용하는 관이다.

형태

2층의 형태로 앞은 낮고 뒤는 높으며 모라(帽羅)[2]로 관을 싸고 뒷부분에는 2개의 뿔[角]이 위로 곧게 붙어 있다.[3]
조선 중기 이후 2층이 높아지고 2개의 뿔의 폭도 넓어졌다가 조선 말기에 2층이 낮아지는 형태로 변하였다.

기타

유래 북주(北周)에서 기원한 복두(幞頭)는 전쟁 수행에 편한 것으로 당나라 태종(太宗)은 천하에 전쟁이 끝난 것을 비유하여 복두를 모델로 익선관을 만들었다.[4]
관모의 각(角)이 위로 올라와 관의 모양이 ‘善(蟮, 매미날개)’자와 같기 때문에 이름 붙여졌다. 또한‘오사절상건(烏紗折上巾)’이라고 하기도 하고,‘오사절각향상건(烏紗折角向上巾)’이라 하기도 하는데, 이는 관의 형태를 말로 풀어 놓은 것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궤 익선관 A는 B를 기록한다
국조오례의서례 익선관 A는 B를 기록한다
국조오례의보서례 익선관 A는 B를 기록한다
대한예전 익선관 A는 B를 기록한다
익선관 상복 A는 B의 부분이다
익선관 관례 A는 B에 착용이다
익선관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자 익선관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손 익선관 A는 B를 착용한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익선관을 쓴 왕",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익선관",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YTN NEWS, "왕의 모자 익선관에 매미가 붙은 사연? / YTN", (방송일: 2015.07.14), YouTube, 작성일: 2015년 07월 19일.

ARIRANG TV, "History Trivia(Ep.1) Ikseongwan(익선관)", YouTube, 작성일: 2015년 10월 21일.

YTN NEWS, "(경북) 세종 익선관, 임진왜란 이후 것으로 밝혀져 / YTN", (방송일: 2013.10.02), YouTube, 작성일: 2013년 10월 02일.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2. 세종 26년에 사여된 익선관은 ‘검은색 추사[香皂皺紗]’로 기록되었다.(『조선왕조실록』 「세종 26년 3월 26일」)
  3. 『國朝續五禮儀補序例』,「殿下視事服圖說」, “冠以毛羅裹之, 兩大角兩小角貼後向上.”
  4. 『唐書』, 卷24, 「車服志」 “太宗嘗以幞頭起於後周, 便武事者也. 方天下偃兵, 採古制爲翼善冠, 自服之.”
  5. 전주 경기전 소장.
  6.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익선관
한국복식사전 익선관
문화재청 중요민속문화재 제44호 전(傳) 고종 익선관 (傳 高宗 翼善冠)
나무위키 익선관 네이버캐스트 곤룡포와 익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