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건립경위=== | ===건립경위=== | ||
− | 930년 [[보양|보양국사(寶壤國師)]]가 중국에서 돌아오는 길에 서해 용왕이 [[보양|보양국사]]를 용궁으로 맞아들여 금빛 비단 가사 한 벌을 주면서 용왕의 아들 이목에게 [[보양|보양국사]]를 모시고 가 작갑(鵲岬)에 절을 짓도록 부탁하였다. 이에 [[보양|보양국사]]가 폐사를 일으키고 호고산 금수동에서 내려다보니 까치가 땅을 쪼고 있었다. [[보양|보양국사]]는 용왕이 작갑이라고 한 말이 생각나서 그 곳을 파보니 예전의 전돌<ref>점토를 틀에다 찍은 다음 건조시키거나 구운 | + | 930년 [[보양|보양국사(寶壤國師)]]가 중국에서 돌아오는 길에 서해 용왕이 [[보양|보양국사]]를 용궁으로 맞아들여 금빛 비단 가사 한 벌을 주면서 용왕의 아들 이목에게 [[보양|보양국사]]를 모시고 가 작갑(鵲岬)에 절을 짓도록 부탁하였다. 이에 [[보양|보양국사]]가 폐사를 일으키고 호고산 금수동에서 내려다보니 까치가 땅을 쪼고 있었다. [[보양|보양국사]]는 용왕이 작갑이라고 한 말이 생각나서 그 곳을 파보니 예전의 전돌<ref>전돌으 점토를 틀에다 찍은 다음 건조시키거나 구운 벽돌이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52884&cid=51293&categoryId=51293 전돌]",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이 나왔다. 이것을 모아 오층탑을 조성하고 절을 세워 [[청도 운문사|작갑사(鵲岬寺)]]라 했는데 지금은 작갑사 전탑은 거의 없어졌다.<ref>진관스님,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5500782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2017년 5월 19일 (금) 16:27 판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1]
내용
운문사 대웅보전(雲門寺 大雄寶殿) 앞에 동·서로 서 있는 이 두 탑은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의 몸통을 올린 모습으로 규모와 양식이 서로 같다.[2] 탑의 몸통은 부처를 보호하는 사천왕, 인왕, 팔부중[3], 십이지신장 등의 신장들을 표현한 9세기경의 시대적인 흐름을 담아내고 있다.[4] 기단부가 몹시 부서져 무너지기 직전이던 것을 일제시대에 보수하였는데 이 때에 팔부중상(八部衆像) 등 일부를 새로운 돌로 보충하였다.[5] 한편 대웅보전이 위치한 자리의 지세가 전복하기 쉬운 작은 배 같다고 하여 지세를 누르기 위해 고려 때 대웅보전 앞에 쌍탑을 세워졌다고 전해지기도 한다.[6]
건립경위
930년 보양국사(寶壤國師)가 중국에서 돌아오는 길에 서해 용왕이 보양국사를 용궁으로 맞아들여 금빛 비단 가사 한 벌을 주면서 용왕의 아들 이목에게 보양국사를 모시고 가 작갑(鵲岬)에 절을 짓도록 부탁하였다. 이에 보양국사가 폐사를 일으키고 호고산 금수동에서 내려다보니 까치가 땅을 쪼고 있었다. 보양국사는 용왕이 작갑이라고 한 말이 생각나서 그 곳을 파보니 예전의 전돌[7]이 나왔다. 이것을 모아 오층탑을 조성하고 절을 세워 작갑사(鵲岬寺)라 했는데 지금은 작갑사 전탑은 거의 없어졌다.[8]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 청도 운문사 | A는 B에 있다 | |
보양 |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진홍섭,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여덟 신(神). "팔부중",
『시공 불교사전』online , 시공사. - ↑ 진관스님,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진관스님,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전돌으 점토를 틀에다 찍은 다음 건조시키거나 구운 벽돌이다. "전돌",
『e뮤지엄』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진관스님,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석탑Ⅳ』,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17』, 사찰문화연구원, 2001.
- 윤기영·심효섭, 『호거산 운문사 - 한국의 명찰 10』, 대한 불교 진흥원, 2011.
- 청도군, 『청도의 지정 문화재』, 청도군, 2005.
- 진관스님,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 석탑",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홍섭,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 자락』, 돌배게, 2009. 온라인 참조: "운문사 삼층석탑",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청도 운문사 동ㆍ서 삼층석탑",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