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탑비정보
 
{{탑비정보
 
|사진=Seonbongsa_uicheon_stele-1.jpg
 
|사진=Seonbongsa_uicheon_stele-1.jpg
 +
|사진출처=
 
|대표명칭=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대표명칭=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영문=Stele for State Preceptor Daegak at Seonbongsa Temple, Chilgok
+
|영문명칭=Stele for State Preceptor Daegak at Seonbongsa Temple, Chilgok
 
|한자=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
 
|한자=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
 
|이칭=
 
|이칭=
11번째 줄: 12번째 줄:
 
|경도=128.331329
 
|경도=128.331329
 
|찬자=[[임존|임존(林存)]]
 
|찬자=[[임존|임존(林存)]]
|서자=[[(승려)|승려 린()]]
+
|서자=[[덕린|(德麟)]]
|각자=
+
|각자=[[대지|대지(大智)]], [[덕천|덕천(德遷)]]
 +
|서체=해서
 
|승려=[[의천|의천(義天)]]
 
|승려=[[의천|의천(義天)]]
 
|승탑=
 
|승탑=
|필드수=14
+
|비문=[[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문]]
 
}}
 
}}
 
  
 
=='''정의'''==
 
=='''정의'''==
24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탑비===
 
===탑비===
높이 3.5m로 1132년(인종 10)에 건립되었으며,<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8 - 팔공산 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3234&cid=42840&categoryId=42854 선봉사 대각국사비]", 답사여행의 길잡이: 팔공산 자락,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임진왜란 때 선봉사가 소실된 이후 땅속에 묻혔다가 1922년 무렵에 발견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1917&cid=40942&categoryId=33382 선봉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높이 3.54m로 1132년(인종 10)에 건립되었으며,<ref>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5쪽.</ref> 임진왜란 때 선봉사가 소실된 이후 땅속에 묻혔다가 1922년 무렵에 발견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1917&cid=40942&categoryId=33382 선봉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비의 형태는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이수(螭首)]]를 생략하고,<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1917&cid=40942&categoryId=33382 선봉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돌을 얹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2510000,37#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문화유산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
비의 형태는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이수(螭首)]]를 생략하고,<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1917&cid=40942&categoryId=33382 선봉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돌을 얹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2510000,37#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문화유산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비신 상단에 전서체로 새겨진 "천태시조대각국사비명(天台始祖大覺國師碑銘)"이라는 제액(題額)이 있고,<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46987&cid=51940&categoryId=54727 칠곡 선봉사 대각 국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제액 양 옆은 각각 한 마리씩의 봉황과 구름 무늬를 새겼다.<ref>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6쪽.</ref>  
  
비신 상단에 전서체로 새겨진 "천태시조대각국사비명(天台始祖大覺國師碑銘)"이라는 제액(題額)이 있고, 양 옆에는 봉황을 새겼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46987&cid=51940&categoryId=54727 칠곡 선봉사 대각 국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비신 앞면의 중단과 하단에 보이는 원형의 파손 형태는 [[한국전쟁]] 때 생긴 총알자국이라고 알려져 있다.<ref>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7쪽.</ref>  
  
 
===비문===
 
===비문===
비문은 [[임존|임존(林存)]]이 짓고, [[린(승려)|승려 린(麟)]]이 썼으며,<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2510000,37#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문화유산정보,<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국사가 고려 제11대 왕인 문종(文宗)의 넷째 아들이라는 것과 송나라에서의 구법활동, 천태교(天台敎)를 확립하는 과정 및 교화, 그 밖에 국사가 남긴 유교명(遺敎銘) 등<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23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의 내용을 담고 있다.
+
비신의 앞면에는 대각국사의 생애와 대각국사가 송나라 유학을 통한 구법 활동 및 천태교(天台敎)를 확립하는 과정에 관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 비신의 뒷면은 대각국사가 송나라 유학을 마치고 고려로 돌아와 천태종을 개창한 후 천태종에 들어온 승려들과 문도들을 법계에 따라 열거한 내용이 실려 있다.<ref>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6쪽.</ref>
  
 
===의천의 두 탑비===
 
===의천의 두 탑비===
77번째 줄: 7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4-21쪽.
 
* 최기표, 「僊鳳寺 大覺國師碑의 의문점」, 『불교학 리뷰』 Vol.3,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08, 89-103쪽.
 
* 최기표, 「僊鳳寺 大覺國師碑의 의문점」, 『불교학 리뷰』 Vol.3,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08, 89-103쪽.
 
* 최연식, "대각국사비의 건립과정에 대한 새로운 고찰", 『한국사연구』 83, 한국사연구회, 1993, 37-55쪽.
 
* 최연식, "대각국사비의 건립과정에 대한 새로운 고찰", 『한국사연구』 83, 한국사연구회, 1993, 37-55쪽.

2017년 5월 18일 (목) 14:46 판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
대표명칭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영문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Daegak at Seonbongsa Temple, Chilgok
한자 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
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산로 275-209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251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찬자 임존(林存)
서자 (德麟)
각자 대지(大智), 덕천(德遷)
서체 해서
승려 의천(義天)



정의

경상북도 칠곡군 선봉사(僊鳳寺)에 있는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1055-1101)의 탑비.

내용

탑비

높이 3.54m로 1132년(인종 10)에 건립되었으며,[1] 임진왜란 때 선봉사가 소실된 이후 땅속에 묻혔다가 1922년 무렵에 발견되었다.[2]

비의 형태는 귀부(龜趺)이수(螭首)를 생략하고,[3]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에 지붕돌을 얹었다.[4] 비신 상단에 전서체로 새겨진 "천태시조대각국사비명(天台始祖大覺國師碑銘)"이라는 제액(題額)이 있고,[5] 제액 양 옆은 각각 한 마리씩의 봉황과 구름 무늬를 새겼다.[6]

비신 앞면의 중단과 하단에 보이는 원형의 파손 형태는 한국전쟁 때 생긴 총알자국이라고 알려져 있다.[7]

비문

비신의 앞면에는 대각국사의 생애와 대각국사가 송나라 유학을 통한 구법 활동 및 천태교(天台敎)를 확립하는 과정에 관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 비신의 뒷면은 대각국사가 송나라 유학을 마치고 고려로 돌아와 천태종을 개창한 후 천태종에 들어온 승려들과 문도들을 법계에 따라 열거한 내용이 실려 있다.[8]

의천의 두 탑비

대각국사 의천의 생애를 기리는 탑비는 선봉사 터에서 발견된 것 외에 개성 영통사(靈通寺)에서 발견된 탑비가 있다.

선봉사 대각국사비는 대각국사가 천태종을 수립한 시조임을 밝히기 위해 세운 것이고, 영통사의 것은 증시(贈諡: 임금이 신하에게 시호를 내려주던 일)를 위해 세운 것이다.[9] 한 사람의 승려에 대하여 두 개의 비가 전해지는 것은 의천의 종교적 관심과 활동이 다른 승려들과 달리 서로 다른 두 개의 종파에 걸쳐있었기 때문으로, 현재 전하는 비도 각기 원래 의천이 출가하고 활동한 교단인 화엄종과 그가 개창한 천태종의 문도들이 각기 건립한 것이다.[10] 따라서 비의 건립 주체에 따라 비문의 내용이 어떻게 다른 지를 살펴볼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자료이다.[11]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의천 A는 B를 위한 비이다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칠곡 선봉사 A는 B를 위한 비이다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임존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132년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1055-1101)를 기리기 위하여 칠곡 선봉사(漆谷 僊鳳寺)대각국사비가 건립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5쪽.
  2. "선봉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선봉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문화유산정보, 『문화재청』online.
  5. "칠곡 선봉사 대각 국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6쪽.
  7.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7쪽.
  8.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6쪽.
  9. "칠곡 선봉사 대각 국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0. 최연식, "대각국사비의 건립과정에 대한 새로운 고찰", 『한국사연구』 83, 한국사연구회, 1993, 39쪽.
  11. "영통사대각국사비(靈通寺大覺國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12.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13. 사진출처: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2008. 온라인 참조: "영통사대각국사비", 조선향토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14-21쪽.
  • 최기표, 「僊鳳寺 大覺國師碑의 의문점」, 『불교학 리뷰』 Vol.3,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08, 89-103쪽.
  • 최연식, "대각국사비의 건립과정에 대한 새로운 고찰", 『한국사연구』 83, 한국사연구회, 1993, 37-55쪽.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8 - 팔공산 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선봉사 대각국사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선봉사 대각국사비", 문화유적총람, 『국립문화재연구소』online.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문화유산정보,『문화재청』online.
  • "선봉사 대각국사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칠곡 선봉사 대각 국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