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선암사 승선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승탑정보 | {{승탑정보 | ||
|사진=Seonamsa_seungseongyo-2.jpg | |사진=Seonamsa_seungseongyo-2.jpg | ||
22번째 줄: | 2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다리.<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96 순천 선암사 승선교]" | +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다리.<ref>황학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96 순천 선암사 승선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28번째 줄: | 27번째 줄: | ||
승선교는 홍예(虹霓 : 무지개) 아치형식인데, 홍예 아치는 지면에 면한 하부부터 원형으로 내쌓기 시작하여 완전한 반원형을 이룬다. 결구방법은 잘 다듬은 장대석을 종으로 1단씩 빈틈없이 총총히 밀집시켜 스스로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저부에는 큰 돌로 쌓고 위로 오르면서 꼭대기부분에 다소 작은 돌을 끼워넣었다. 정교한 홍예석 양측면에는 잡석들을 쌓아 양쪽 언덕과 연결시켰으며, 위쪽에는 흙을 덮어 평평하도록 이루고 있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298쪽.</ref> | 승선교는 홍예(虹霓 : 무지개) 아치형식인데, 홍예 아치는 지면에 면한 하부부터 원형으로 내쌓기 시작하여 완전한 반원형을 이룬다. 결구방법은 잘 다듬은 장대석을 종으로 1단씩 빈틈없이 총총히 밀집시켜 스스로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저부에는 큰 돌로 쌓고 위로 오르면서 꼭대기부분에 다소 작은 돌을 끼워넣었다. 정교한 홍예석 양측면에는 잡석들을 쌓아 양쪽 언덕과 연결시켰으며, 위쪽에는 흙을 덮어 평평하도록 이루고 있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298쪽.</ref> | ||
− | 다리 한복판에는 용머리를 조각한 돌이 밑으로 삐죽 나와 있어 장식적 효과를 주고 있는데, 예로부터 이것을 뽑아내면 다리가 무너진다고 전해오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4000000,36 순천 선암사 승선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다리 한복판에는 용머리를 조각한 돌이 밑으로 삐죽 나와 있어 장식적 효과를 주고 있는데, 예로부터 이것을 뽑아내면 다리가 무너진다고 전해오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4000000,36 순천 선암사 승선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전설'''=== | ==='''전설'''=== | ||
− | 1698년(숙종 24) [[약휴|호암대사(護巖大師)]]가 관음보살의 시현(示現)<ref>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중생의 소질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화하여 나타나는 것.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1880&cid=50292&categoryId=50292 시현]",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1698년(숙종 24) [[약휴|호암대사(護巖大師)]]가 관음보살의 시현(示現)<ref>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중생의 소질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화하여 나타나는 것.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1880&cid=50292&categoryId=50292 시현]",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을 바라며 백일기도를 하였지만, 그 기도가 헛되자 낙심하여 벼랑에서 몸을 던지려 하는데, 이때 한 여인이 나타나 대사를 구하고 사라졌다. 대사는 자기를 구해주고 사라진 여인이 관음보살임을 깨닫고 [[순천 선암사 원통전|원통전(圓通殿)]]을 세워 관음보살을 모시는 한편, 절 입구에 아름다운 무지개다리를 세웠다고 한다.<ref>황학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96 순천 선암사 승선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지식관계망'''== | ||
+ | ===관련항목===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순천 선암사 승선교|| [[순천 선암사]] || A는 B에 있다 || | ||
+ | |- | ||
+ | | [[약휴]] || 순천 선암사 승선교 || A는 B를 설치하였다 ||1698년 | ||
+ | |- | ||
+ | |순천 선암사 승선교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A는 B와 관련있다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 |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
파일:Seonamsa_seungseongyo-3.jpg|작은 무지개다리 사이로 보이는 승선교 | 파일:Seonamsa_seungseongyo-3.jpg|작은 무지개다리 사이로 보이는 승선교 | ||
40번째 줄: | 51번째 줄: | ||
파일:Seonamsa_gangseollu.jpg|승선교 건너 선암사 입구에 위치한 강선루(降仙樓) | 파일:Seonamsa_gangseollu.jpg|승선교 건너 선암사 입구에 위치한 강선루(降仙樓) | ||
</gallery> | </gallery> | ||
− | + | ===영상=== | |
− | === | ||
* K-HERITAGE, "[https://www.youtube.com/EVd9NglL0Uc 무지개다리 밑에 용머리가 있다 선암사 승선교]", YouTube, 게시일: 2015년 8월 27일. | * K-HERITAGE, "[https://www.youtube.com/EVd9NglL0Uc 무지개다리 밑에 용머리가 있다 선암사 승선교]", YouTube, 게시일: 2015년 8월 27일. | ||
<html> | <html> | ||
52번째 줄: | 62번째 줄: | ||
</html> | </html> | ||
− | ==''' | + | =='''주석'''== |
− | + | <references/>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71번째 줄: | 73번째 줄: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4000000,36 순천 선암사 승선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4000000,36 순천 선암사 승선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 {{승탑비문 Top icon}} | |
− |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보물]] | [[분류:보물]] |
2017년 5월 17일 (수) 14:56 판
순천 선암사 승선교 (順天 仙巖寺 昇仙橋) |
|
대표명칭 | 순천 선암사 승선교 |
---|---|
영문명칭 | Seungseongyo Bridge of Seonamsa Temple, Suncheon |
한자 | 順天 仙巖寺 昇仙橋 |
주소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400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9월 2일 |
소유자 | 순천 선암사 |
관리자 | 순천 선암사 |
건립시대 | 조선시대 |
관련승려 | 약휴 |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다리.[1]
내용
승선교는 홍예(虹霓 : 무지개) 아치형식인데, 홍예 아치는 지면에 면한 하부부터 원형으로 내쌓기 시작하여 완전한 반원형을 이룬다. 결구방법은 잘 다듬은 장대석을 종으로 1단씩 빈틈없이 총총히 밀집시켜 스스로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저부에는 큰 돌로 쌓고 위로 오르면서 꼭대기부분에 다소 작은 돌을 끼워넣었다. 정교한 홍예석 양측면에는 잡석들을 쌓아 양쪽 언덕과 연결시켰으며, 위쪽에는 흙을 덮어 평평하도록 이루고 있다.[2]
다리 한복판에는 용머리를 조각한 돌이 밑으로 삐죽 나와 있어 장식적 효과를 주고 있는데, 예로부터 이것을 뽑아내면 다리가 무너진다고 전해오고 있다.[3]
전설
1698년(숙종 24) 호암대사(護巖大師)가 관음보살의 시현(示現)[4]을 바라며 백일기도를 하였지만, 그 기도가 헛되자 낙심하여 벼랑에서 몸을 던지려 하는데, 이때 한 여인이 나타나 대사를 구하고 사라졌다. 대사는 자기를 구해주고 사라진 여인이 관음보살임을 깨닫고 원통전(圓通殿)을 세워 관음보살을 모시는 한편, 절 입구에 아름다운 무지개다리를 세웠다고 한다.[5]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순천 선암사 승선교 | 순천 선암사 | A는 B에 있다 | |
약휴 | 순천 선암사 승선교 | A는 B를 설치하였다 | 1698년 |
순천 선암사 승선교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 Seonamsa seungseongyo-3.jpg
작은 무지개다리 사이로 보이는 승선교
- Seonamsa seungseongyo yong.jpg
승선교 가운데의 용머리
- Seonamsa gangseollu.jpg
승선교 건너 선암사 입구에 위치한 강선루(降仙樓)
영상
- K-HERITAGE, "무지개다리 밑에 용머리가 있다 선암사 승선교", YouTube, 게시일: 2015년 8월 27일.
- unamdokorea, "순천-선암사 승선교 전설(K)", YouTube, 게시일: 2011년 3월 22일.
주석
- ↑ 황학주, "순천 선암사 승선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298쪽.
- ↑ "순천 선암사 승선교",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 - ↑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중생의 소질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화하여 나타나는 것.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시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황학주, "순천 선암사 승선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반영환, 『서울평론』, 서울신문사, 1974.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문화재대관』보물4, 대학당, 1986.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시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황학주, "순천 선암사 승선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순천 선암사 승선교",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