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쌍계사 승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승탑정보 | {{승탑정보 | ||
|사진= | |사진= | ||
22번째 줄: | 2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하동 쌍계사|쌍계사]] 국사암(國師庵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혜소|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승탑.<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87 하동 쌍계사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하동 쌍계사|쌍계사]] 국사암(國師庵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혜소|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승탑.<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87 하동 쌍계사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내용'''== | ||
28번째 줄: | 27번째 줄: | ||
이 승탑은 [[하동 쌍계사|쌍계사]]를 창건한 [[혜소|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묘탑(墓塔)인 ‘대공탑(大空塔)’으로 추정된다. [[혜소]]를 기리는 탑비는 887년([[정강왕]] 2)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승탑은 대체로 885년([[헌강왕]] 11)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 이 승탑은 [[하동 쌍계사|쌍계사]]를 창건한 [[혜소|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묘탑(墓塔)인 ‘대공탑(大空塔)’으로 추정된다. [[혜소]]를 기리는 탑비는 887년([[정강왕]] 2)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승탑은 대체로 885년([[헌강왕]] 11)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 ||
− | 승탑의 재료는 화강석이며, 쌍계사 밖 약 100m 지점의 높은 곳에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6362 하동 쌍계사 승탑]", 『두산백과』, doopedia | + | 승탑의 재료는 화강석이며, 쌍계사 밖 약 100m 지점의 높은 곳에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6362 하동 쌍계사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doopedia.</ref> 이 승탑은 평평하게 다져 만든 2단의 돌축대 위에 서 있는데, 받침돌과 몸돌, 지붕돌이 모두 단면 8각으로 조성된 전형적인 8각원당형(八角圓堂型) 부도이다. 전체적으로 장식적인 기교가 없고, 각 부재의 비례도 균형을 잃었으며, 조각도 형식화된 경향이 뚜렷하다. 8각원당형의 승탑 양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알려주는 승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87 하동 쌍계사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시각자료'''== |
+ | ===갤러리=== |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
− | ==''' | + | =='''지식관계망'''== |
+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48번째 줄: | 49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승탑]] | [[분류:승탑]] | ||
[[분류:국가지정문화재]] | [[분류:국가지정문화재]] | ||
[[분류:보물]] | [[분류:보물]] |
2017년 5월 17일 (수) 10:45 판
하동 쌍계사 승탑 (河東 雙磎寺 僧塔) |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
대표명칭 | 하동 쌍계사 승탑 |
---|---|
영문명칭 | Stupa of Ssanggyesa Temple, Hadong |
한자 | 河東 雙磎寺 僧塔 |
주소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쌍계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80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소유자 | 하동 쌍계사 |
관리자 | 하동 쌍계사 |
크기 | 높이 2.05m |
건립시대 | 통일신라 |
관련승려 | 혜소 |
관련탑비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국사암(國師庵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승탑.[1]
내용
이 승탑은 쌍계사를 창건한 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묘탑(墓塔)인 ‘대공탑(大空塔)’으로 추정된다. 혜소를 기리는 탑비는 887년(정강왕 2)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승탑은 대체로 885년(헌강왕 11)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승탑의 재료는 화강석이며, 쌍계사 밖 약 100m 지점의 높은 곳에 있다.[2] 이 승탑은 평평하게 다져 만든 2단의 돌축대 위에 서 있는데, 받침돌과 몸돌, 지붕돌이 모두 단면 8각으로 조성된 전형적인 8각원당형(八角圓堂型) 부도이다. 전체적으로 장식적인 기교가 없고, 각 부재의 비례도 균형을 잃었으며, 조각도 형식화된 경향이 뚜렷하다. 8각원당형의 승탑 양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알려주는 승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3]
시각자료
갤러리
답사 이후 추가 예정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하동 쌍계사 승탑 | 하동 쌍계사 | A는 B에 있다 | |
하동 쌍계사 승탑 | 혜소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885년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혜소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887년 |
주석
- ↑ "하동 쌍계사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하동 쌍계사 승탑",
『두산백과』online , doopedia. - ↑ "하동 쌍계사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