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하동 쌍계사 승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정보
 
{{승탑정보
 
|사진=
 
|사진=
22번째 줄: 21번째 줄:
  
 
=='''정의'''==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하동 쌍계사|쌍계사]] 국사암(國師庵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혜소|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승탑.<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87 하동 쌍계사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년 04월 06일 확인. </ref>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하동 쌍계사|쌍계사]] 국사암(國師庵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혜소|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승탑.<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87 하동 쌍계사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28번째 줄: 27번째 줄:
 
이 승탑은 [[하동 쌍계사|쌍계사]]를 창건한 [[혜소|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묘탑(墓塔)인 ‘대공탑(大空塔)’으로 추정된다. [[혜소]]를 기리는 탑비는 887년([[정강왕]] 2)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승탑은 대체로 885년([[헌강왕]] 11)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승탑은 [[하동 쌍계사|쌍계사]]를 창건한 [[혜소|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묘탑(墓塔)인 ‘대공탑(大空塔)’으로 추정된다. [[혜소]]를 기리는 탑비는 887년([[정강왕]] 2)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승탑은 대체로 885년([[헌강왕]] 11)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승탑의 재료는 화강석이며, 쌍계사 밖 약 100m 지점의 높은 곳에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6362 하동 쌍계사 승탑]", 『두산백과』, doopedia. 2017년 04월 07일 확인.</ref> 이 승탑은 평평하게 다져 만든 2단의 돌축대 위에 서 있는데, 받침돌과 몸돌, 지붕돌이 모두 단면 8각으로 조성된 전형적인 8각원당형(八角圓堂型) 부도이다. 전체적으로 장식적인 기교가 없고, 각 부재의 비례도 균형을 잃었으며, 조각도 형식화된 경향이 뚜렷하다. 8각원당형의 승탑 양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알려주는 승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87 하동 쌍계사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년 04월 06일 확인. </ref>
+
승탑의 재료는 화강석이며, 쌍계사 밖 약 100m 지점의 높은 곳에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6362 하동 쌍계사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doopedia.</ref> 이 승탑은 평평하게 다져 만든 2단의 돌축대 위에 서 있는데, 받침돌과 몸돌, 지붕돌이 모두 단면 8각으로 조성된 전형적인 8각원당형(八角圓堂型) 부도이다. 전체적으로 장식적인 기교가 없고, 각 부재의 비례도 균형을 잃었으며, 조각도 형식화된 경향이 뚜렷하다. 8각원당형의 승탑 양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알려주는 승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87 하동 쌍계사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갤러리'''==
+
=='''시각자료'''==
 +
===갤러리===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답사 이후 추가 예정''
  
=='''관련항목'''==
+
=='''지식관계망'''==
 +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48번째 줄: 49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
 
[[분류:승탑]]
 
[[분류:국가지정문화재]]
 
[[분류:국가지정문화재]]
 
[[분류:보물]]
 
[[분류:보물]]

2017년 5월 17일 (수) 10:45 판

하동 쌍계사 승탑
(河東 雙磎寺 僧塔)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하동 쌍계사 승탑
영문명칭 Stupa of Ssanggyesa Temple, Hadong
한자 河東 雙磎寺 僧塔
주소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쌍계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380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유자 하동 쌍계사
관리자 하동 쌍계사
크기 높이 2.05m
건립시대 통일신라
관련승려 혜소
관련탑비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국사암(國師庵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승탑.[1]

내용

이 승탑은 쌍계사를 창건한 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의 묘탑(墓塔)인 ‘대공탑(大空塔)’으로 추정된다. 혜소를 기리는 탑비는 887년(정강왕 2)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승탑은 대체로 885년(헌강왕 11)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승탑의 재료는 화강석이며, 쌍계사 밖 약 100m 지점의 높은 곳에 있다.[2] 이 승탑은 평평하게 다져 만든 2단의 돌축대 위에 서 있는데, 받침돌과 몸돌, 지붕돌이 모두 단면 8각으로 조성된 전형적인 8각원당형(八角圓堂型) 부도이다. 전체적으로 장식적인 기교가 없고, 각 부재의 비례도 균형을 잃었으며, 조각도 형식화된 경향이 뚜렷하다. 8각원당형의 승탑 양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알려주는 승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3]

시각자료

갤러리

답사 이후 추가 예정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하동 쌍계사 승탑 하동 쌍계사 A는 B에 있다
하동 쌍계사 승탑 혜소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885년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혜소 A는 B를 위한 비이다 887년

주석

  1. "하동 쌍계사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하동 쌍계사 승탑", 『두산백과』online, doopedia.
  3. "하동 쌍계사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