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육진개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3번째 줄: 33번째 줄: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 구도===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2017년 5월 11일 (목) 10:59 판


육진개척
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조선 세종 16년(1434) 이후 10여 년에 걸친 육진(六鎭)개척 당시 김종서 장군 지휘하의 조선군이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을 상상하여 그린 유화이다.[1]

설명

작품 소재

김종서육진 개척 육진 두만강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9941&cid=46622&categoryId=46622

조선 세종 때 동북방면의 여진족에 대비해 두만강 하류 남안에 설치한 국방상의 요충지. 즉, 종성(鐘城)·온성(穩城)·회령(會寧)·경원(慶源)·경흥(慶興)·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한다. 따라서, 두만강 유역의 가장 큰 여진 부족인 우디거족(兀良哈族) 및 오도리족(斡朶里族)과 대치하고 있었다. 이성계는 즉위 초부터 이들을 회유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태종 때에는 경원·경성에 무역소를 두고 여진족에게 교역의 편의를 제공하기까지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육진 [六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은 이러한 여진족 내분의 기회를 포착해 김종서(金宗瑞)를 함길도도절제사에 임명하는 한편, 이징옥(李澄玉)의 무위에 힘입어 북방 개척을 과감하게 추진해갔다. 그리하여 그 이듬 해인 1434년(세종 16)부터 육진이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육진 [六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012&cid=41826&categoryId=41826 조선 세종 때 김종서(金宗瑞)를 시켜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함경도 두만강 하류 지역에 설치한 군사상 요충지. 곧 종성(鐘城)•온성(穩城)•회령(會寧)•경원(慶源)•경흥(慶興)•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함. 세종 16년(1434) 이래 10년간에 걸쳐 개척되었으며, 조선의 북쪽 경계가 두만강까지 완전히 이르는 계기가 됨. [네이버 지식백과] 육진 [六鎭]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작품 배경

시각적 안내

진주성김태 「육진개척」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 김태-육진개척 A는 B를 그렸다 1975년
김태-육진개척 [[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김태-육진개척 [[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수도군단 김태-육진개척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0년 12월 31일-1991년 12월 30일
[[ ]] [[ ]] A는 B에서 발발하였다
[[ ]] [[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 ]] A는 B에 위치한다
[[ ]] [[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A는 B를 사용하였다
[[ ]] [[ ]] A는 B를 포함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태가 김태-육진개척를 제작하였다.
1990년 12월 31일-1991년 12월 30일 수도군단이 김태-육진개척을 대여하였다.
[[ ]]이 [[ ]]를 지휘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149271 126.9463594 수도군단이 김태-육진개척을 대여하였다
[[ ]]가 [[ ]]에서 발발하였다
[[ ]]는 [[ ]]에 위치한다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

  1.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e뮤지엄』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5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