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7
 
|필드수=7
 
}}
 
}}
=='''개요'''==
+
=='''정의'''==
 
신라의 승려 [[혜초]]가 인도의 [[마하보리 대탑]] 앞에서 승려들과 명상에 잠긴 듯한 광경을 묘사하고 있는 그림이다. 혜초는 갈색, 회색, 검은색으로 그려진 다른 요소들과 달리 두드러지는 파란색과 붉은색의 의상을 입고 있다.
 
신라의 승려 [[혜초]]가 인도의 [[마하보리 대탑]] 앞에서 승려들과 명상에 잠긴 듯한 광경을 묘사하고 있는 그림이다. 혜초는 갈색, 회색, 검은색으로 그려진 다른 요소들과 달리 두드러지는 파란색과 붉은색의 의상을 입고 있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작품 소재===
 
===작품 소재===
 
[[혜초]]는 719년(성덕왕 18) 중국의 광주(廣州)에서 인도 승려 [[금강지|금강지(金剛智)]]에게 밀교를 배우고 723년경 [[평택항]]에서 인도로 구법 여행을 떠나 만 4년 동안 인도를 여행하였다. 다시 장안으로 돌아온 것은 30세 전후였다.
 
[[혜초]]는 719년(성덕왕 18) 중국의 광주(廣州)에서 인도 승려 [[금강지|금강지(金剛智)]]에게 밀교를 배우고 723년경 [[평택항]]에서 인도로 구법 여행을 떠나 만 4년 동안 인도를 여행하였다. 다시 장안으로 돌아온 것은 30세 전후였다.
 
 
===작품 배경===
 
===작품 배경===
그림의 무대는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부다가야]]이며 뒤의 큰 탑은 기원전 3세기경에 [[아쇼카왕]]이 세운 [[마하보리 대탑]]이다. [[마하보리 대탑|대탑]]을 정가운데에서 살짝 왼편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마하보리 대탑|대탑]]을 중심으로 왼편에는 승려들이, 오른편에는 [[혜초]]와 당나귀, 종자가 그려져 있다.<br/>
+
그림의 무대는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부다가야]]이며 뒤의 큰 탑은 기원전 3세기경에 [[아소카왕]]이 세운 [[마하보리 대탑]]이다. [[마하보리 대탑|대탑]]을 정가운데에서 살짝 왼편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마하보리 대탑|대탑]]을 중심으로 왼편에는 승려들이, 오른편에는 [[혜초]]와 당나귀, 종자가 그려져 있다.<br/>
 
왼쪽의 나무는 [[보리수나무]]인데, 이를 통해 볼 때 5명의 승려는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후 처음 설법한 5명의 수행자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br/>
 
왼쪽의 나무는 [[보리수나무]]인데, 이를 통해 볼 때 5명의 승려는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후 처음 설법한 5명의 수행자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br/>
  
32번째 줄: 31번째 줄: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gallery mode=packed caption="삼국/통일신라시대 배경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종교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파일:이종상-후연정벌(광개토대왕)-1975s.jpg|[[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553-569년 [[김태-황룡사의 조영]]
파일:박각순-살수대첩(을지문덕)-1975s.jpg|[[박각순-살수대첩]]
+
파일:김충선-혜초의구법-1979s.jpg|723-727년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박창돈-안시성싸움]]
+
파일: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751년-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
파일: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1237-1251년 [[최대섭-고려대장경]]
파일: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정창섭-화랑도의 수련]]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이종상-태종무열왕]]
 
파일:오승우-황산싸움(계백)-1976s.jpg|[[오승우-황산싸움]]
 
파일:오승우-매초성당군격퇴-1975s.jpg|[[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파일:박광진-청해진(장보고)-1975s.jpg|[[박광진-장보고의 해상 활동]]
 
파일: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김태-황룡사 조영]]
 
파일: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파일:김충선-혜초의구법-1979s.jpg|[[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gallery>
 
</gallery>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
 
 +
==='''중심요소'''===
 +
*작품: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
*작가: [[김충선]]
 +
 
 +
==='''문맥요소'''===
 +
*Actor-인물: [[혜초]]
 +
*Actor-인물: [[금강지]]
 +
*Actor-인물: [[아소카왕]]
 +
*Place-유적: [[마하보리 대탑]]
 +
*Place-장소: [[부다가야]]
 +
*Place-장소: [[평택항]]
 +
*Place-소장처: [[장성문화원]]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63번째 줄: 68번째 줄:
 
|-
 
|-
 
|[[금강지]] || [[혜초]] || A는 B의 스승이다 ||
 
|[[금강지]] || [[혜초]] || A는 B의 스승이다 ||
 +
|-
 +
|[[아소카왕]] || [[마하보리 대탑]] || A는 B를 건설하였다 ||
 +
|-
 +
|[[장성문화원]]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
 
|}
  
69번째 줄: 78번째 줄: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9년 || [[김충선]]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1979년 || [[김충선]]이 {{PAGENAME}}을 그렸다.
 +
|-
 +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 [[장성문화원]]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719년 || [[혜초]]가 [[금강지]]에게 밀교를 배웠다.
 
|719년 || [[혜초]]가 [[금강지]]에게 밀교를 배웠다.
 
|-
 
|-
|723년 || [[혜초]]가 구법 여행을 떠났다.
+
|723년 || [[혜초]]가 [[평택항]]에서 구법 여행을 떠났다.
 
|}
 
|}
  
80번째 줄: 91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5.299364 || 126.784748||[[장성문화원]]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그래프'''==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
===사진===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646 혜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646 혜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2017년 5월 10일 (수) 18:22 판


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김충선-혜초의구법-1979s.jpg
작가 김충선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종교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신라의 승려 혜초가 인도의 마하보리 대탑 앞에서 승려들과 명상에 잠긴 듯한 광경을 묘사하고 있는 그림이다. 혜초는 갈색, 회색, 검은색으로 그려진 다른 요소들과 달리 두드러지는 파란색과 붉은색의 의상을 입고 있다.

설명

작품 소재

혜초는 719년(성덕왕 18) 중국의 광주(廣州)에서 인도 승려 금강지(金剛智)에게 밀교를 배우고 723년경 평택항에서 인도로 구법 여행을 떠나 만 4년 동안 인도를 여행하였다. 다시 장안으로 돌아온 것은 30세 전후였다.

작품 배경

그림의 무대는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부다가야이며 뒤의 큰 탑은 기원전 3세기경에 아소카왕이 세운 마하보리 대탑이다. 대탑을 정가운데에서 살짝 왼편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대탑을 중심으로 왼편에는 승려들이, 오른편에는 혜초와 당나귀, 종자가 그려져 있다.
왼쪽의 나무는 보리수나무인데, 이를 통해 볼 때 5명의 승려는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후 처음 설법한 5명의 수행자를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시각적 안내

혜초마하보리 대탑보리수나무김충선-혜초의구법-1979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지식 관계망

중심요소

  • 작품: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 작가: 김충선

문맥요소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충선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A는 B를 그렸다 1979년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혜초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마하보리 대탑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부다가야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마하보리 대탑 부다가야 A는 B에 위치한다
금강지 혜초 A는 B의 스승이다
아소카왕 마하보리 대탑 A는 B를 건설하였다
장성문화원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9년 김충선이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을 그렸다.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장성문화원이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을 대여하였다.
719년 혜초금강지에게 밀교를 배웠다.
723년 혜초평택항에서 구법 여행을 떠났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299364 126.784748 장성문화원이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을 대여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사진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혜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