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기본 정보)
18번째 줄: 18번째 줄:
 
1727년(영조 3년) [[효장세자|효장세자(孝章世子]], 1719~1728)와 [[현빈|현빈(賢嬪) 조씨(趙氏, 1715~1751)]]의 [[가례]]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1727년(영조 3년) [[효장세자|효장세자(孝章世子]], 1719~1728)와 [[현빈|현빈(賢嬪) 조씨(趙氏, 1715~1751)]]의 [[가례]]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기본 정보==
+
=='''내용'''==
* '''간략한 내용'''  
+
윤3월 29일 [[영조]]는 당초 내년 봄에 치르려고 했던 세자의 [[가례]]를 앞당겨 올해 안에 거행하도록 명한다. 그리하여 8월 28일에 [[삼간택]], 9월 20일에 [[납채]] , 9월 21에 [[납징]], 9월 24일에 [[고기]], 9월 27일에 [[책빈]] , 9월 29일에 [[친영]]과 [[동뢰연]]을 시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 윤3월 29일 [[영조]]는 당초 내년 봄에 치르려고 했던 세자의 가례를 앞당겨 올해 안에 거행하도록 명하는 전교로 시작.
 
** 8월 28일에 [[삼간택]], 9월 20일에 [[납채]] , 9월 21에 [[납징]], 9월 24일에 [[고기]], 9월 27일에 [[책빈]] , 9월 29일에 [[친영]]과 [[동뢰연]]을 시행.
 
  
* '''목록(目錄)'''
+
===목록===
** 상책: 좌목(座目), 계사(啓辭), 예관(禮關), 의주(儀註), 이문(移文), 품목(稟目), 감결(甘結), 서계(書啓),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
상책: 좌목(座目), 계사(啓辭), 예관(禮關), 의주(儀註), 이문(移文), 품목(稟目), 감결(甘結), 서계(書啓),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 2책: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
2책: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 '''해제'''
+
===해제===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128&hl=content@%E5%AD%9D%E7%AB%A0%E4%B8%96%E5%AD%90%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A%A8%EC%9E%A5%EC%84%B8%EC%9E%90%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5%AD%9D%E7%AB%A0%E4%B8%96%E5%AD%90%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kname@%E5%AD%9D%E7%AB%A0%E4%B8%96%E5%AD%90%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A%A8%EC%9E%A5%EC%84%B8%EC%9E%90%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 해제]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128&hl=content@%E5%AD%9D%E7%AB%A0%E4%B8%96%E5%AD%90%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A%A8%EC%9E%A5%EC%84%B8%EC%9E%90%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5%AD%9D%E7%AB%A0%E4%B8%96%E5%AD%90%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kname@%E5%AD%9D%E7%AB%A0%E4%B8%96%E5%AD%90%E5%98%89%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A%A8%EC%9E%A5%EC%84%B8%EC%9E%90%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 해제] <br/>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29&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하책 해제]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29&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하책 해제] <br/>
**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1836032&pos=0&total_df=1&uci=GK13106_00&sWord=%ED%9A%A8%EC%9E%A5%EC%84%B8%EC%9E%90%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태백산 해제]  
+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1836032&pos=0&total_df=1&uci=GK13106_00&sWord=%ED%9A%A8%EC%9E%A5%EC%84%B8%EC%9E%90%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태백산 해제]  
  
* '''판본'''
+
===판본===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2532), 하책(2533).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2532), 하책(2533) <br/>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105), 태백산본(奎 13106), 오대산본(奎 13107)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105), 태백산본(奎 13106), 오대산본(奎 13107)
  
 
==관련항목==
 
==관련항목==

2017년 5월 10일 (수) 14:16 판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가례도감(嘉禮都監)
의례담당자 이광좌(李光佐)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27년(영조 3)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상책),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하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태백산)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3책 525장(1책 259장, 2책 195장, 3책 134): 어람용/ 1책 330장: 태백산.
도설 11면(채색), 반차도 13면(채색)



정의

1727년(영조 3년) 효장세자(孝章世子, 1719~1728)와 현빈(賢嬪) 조씨(趙氏, 1715~1751)가례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윤3월 29일 영조는 당초 내년 봄에 치르려고 했던 세자의 가례를 앞당겨 올해 안에 거행하도록 명한다. 그리하여 8월 28일에 삼간택, 9월 20일에 납채 , 9월 21에 납징, 9월 24일에 고기, 9월 27일에 책빈 , 9월 29일에 친영동뢰연을 시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목록

상책: 좌목(座目), 계사(啓辭), 예관(禮關), 의주(儀註), 이문(移文), 품목(稟目), 감결(甘結), 서계(書啓),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2책: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하책 해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태백산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2532), 하책(253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105), 태백산본(奎 13106), 오대산본(奎 13107)

관련항목

문헌 → 소장처

항목A 항목B 관계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한다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문헌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가례복 A는 B를 보여준다

문헌 → 의례

항목A 항목B 관계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가례 A는 B를 기록한다

의례 → 기관

항목A 항목B 관계
가례 가례도감 A는 B에서 주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