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기본 정보) |
(→정의)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 }} | ||
− | ==정의== | + | =='''정의'''== |
− | 1812년(순조 | + | 1812년(순조 12년) [[효명세자|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의 [[책봉(冊封)]]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
+ | {{교열|책봉|자주 나오는 단어라서, 페이지를 만드는 게 좋을 거 같아요.|정주영}} | ||
==기본 정보== | ==기본 정보== |
2017년 5월 10일 (수) 13:35 판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
|
[[file:|360px|thumb|center|국립중앙박물관]] | |
대표명칭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
한자표기 | 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
주제 | 책례 |
작성주체 | 책례도감 |
의례담당자 | 이시수(李時秀)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812년(순조 12년) |
소장처(원소장처) | 규장각한국학연구원(오대산),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적상산성)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1책 145장: 어람용/1책 145장: 오대산 |
도설 | 9면(채색), 반차도 12면(채색) |
정의
1812년(순조 12년)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의 책봉(冊封)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책봉 ☞ 자주 나오는 단어라서, 페이지를 만드는 게 좋을 거 같아요. (정주영)
기본 정보
- 간략한 내용
- 1812년 5월 1일 도감을 구성하고, 6월 2일 세자의 이름을 정하고, 6월 11일 각방이 일을 시작했고, 7월 6일 세자 책봉식을 거행했다.
- 정사와 부사를 세자의 처소인 희정당으로 보내 책봉하는 방식으로 거행되었다.
- 목차
- 좌목(座目), 거행일기(擧行日記), 전교(傳敎), 이문(移文), 내관(來關), 예관(禮關), 의주(儀註), 감결(甘結), 미포철탄이내수(米布鐵炭移來數), 매삭료포상하식(每朔料布上下式), 상전(賞典), 의궤(儀軌),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반차도(班次圖), 서압(署押).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오대산성본 기본정보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기본정보
- 특징[1]
- 조선시대 세자 책봉 의식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 판본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87).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오대산본(奎 13125), 예조본(奎 13126), 춘추관본(奎 13127), 태백산본(奎 13128), 정족산성본(奎 13129), 의정부본(奎 14906).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적상산성본(K2-2690).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한다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한다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한다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책례복 | A는 B를 보여준다 | |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 책례 | A는 B를 기록한다 | |
책례 | 책례도감 | A는 B에서 주관한다 | |
왕세자 | 면복 | A는 B를 착용한다 |
참고문헌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배게, 2005.
- 김지영, 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배게, 2013.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배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