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손응성-불국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9번째 줄: 9번째 줄: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미상
 
|소장처=미상
|필드수=7
+
|필드수=8
 
}}
 
}}
 +
 +
=='''정의'''==
 +
경주 [[토함산]]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다. 이후 조선 선조 26년(1593)에 왜의 침입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불타버렸다. 이후 극락전, [[자하문]], [[범영루]] 등의 일부 건물만이 그 명맥을 이어오다가 1969년에서 1973년에 걸친 발굴 조사 뒤 복원을 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5020000,37 불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문화재청 문화재검색』<html><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ref><br/>
 +
 
=='''설명'''==
 
=='''설명'''==
임진왜란때 소실된 무설전, 관음전, 비로전, 경루회랑을 복원하고 원래의 모습을 되찾은 불국사 전경
+
===작품 소재===
<br/>
+
[[불국사]] 복원공사는1969년 5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학계 전문가들의 고증과 설계 등을 거쳐 1970년 1월 착공하여 1973년 6월 30일 완공을 본 것으로, 총공사비 3억 6천 9백 80여만원 (국고 1억7천 4백 80만원, 시주금 및 사찰 자체 1억 9천 5백만원)을 들여 없어졌던 무설전·관음전·비로전·좌경루 등과 회랑을 신축,복원함으로써 불국사의 옛 모습을 되찾았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070300329207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07-03&officeId=00032&pageNo=7&printNo=8542&publishType=00020 박대통령 참석, 불국사복원 준공]", 『경향신문』, 1973년 07월 03일.</ref><br/>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800px|center]]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br/>
+
<imagemap>
 +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손응성 「불국사 복원」 1973|800px|center
 +
poly 11 213 9 439 9 533 669 541 792 540 791 272 793 180 358 163 17 156 [[장성광업소]]
 +
</imagemap>
 +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건설/교통 관련 작품
+
<gallery mode=packed caption="건설/교통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68번째 줄: 75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933 경주 불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
  
 
=='''주석'''==
 
=='''주석'''==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건설교통]]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건설교통]]

2017년 5월 8일 (월) 00:47 판


불국사
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작가 손응성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건설/교통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경주 토함산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다. 이후 조선 선조 26년(1593)에 왜의 침입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불타버렸다. 이후 극락전, 자하문, 범영루 등의 일부 건물만이 그 명맥을 이어오다가 1969년에서 1973년에 걸친 발굴 조사 뒤 복원을 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1]

설명

작품 소재

불국사 복원공사는1969년 5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학계 전문가들의 고증과 설계 등을 거쳐 1970년 1월 착공하여 1973년 6월 30일 완공을 본 것으로, 총공사비 3억 6천 9백 80여만원 (국고 1억7천 4백 80만원, 시주금 및 사찰 자체 1억 9천 5백만원)을 들여 없어졌던 무설전·관음전·비로전·좌경루 등과 회랑을 신축,복원함으로써 불국사의 옛 모습을 되찾았다.[2]


시각적 안내

장성광업소손응성 「불국사 복원」 1973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PAGENAME}} ||~을 소재로 삼다|| 불국사
A항목 B항목 관계
손응성-불국사 ~에 의해 그려지다 손응성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손응성-불국사 제작연도 1973년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 소장처 (임대) 1991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손응성-불국사 소재 불국사 35.790402 129.332103

그래프

참고문헌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 "경주 불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

주석

  1. "불국사", 『문화재청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
  2. 박대통령 참석, 불국사복원 준공", 『경향신문』, 1973년 07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