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양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82번째 줄: 82번째 줄:
 
===기타===
 
===기타===
 
* 유래: 양관의 형태는 한나라의 [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91 진현관(進賢冠)]에서 유래.
 
* 유래: 양관의 형태는 한나라의 [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91 진현관(進賢冠)]에서 유래.
 +
 +
==시각자료==
 +
*"양관을 쓴 관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https://tv.naver.com/v/331114 남성용/양관]",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TV』<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serviceapi.rmcnmv.naver.com/flash/outKeyPlayer.nhn?vid=2FAF00ADBFB0BEB789B0F85F5DA177373136&outKey=V12916bc6d702ff0a4f6d5911767690ba1c9c09f63529a37181c45911767690ba1c9c&controlBarMovable=true&jsCallable=true&isAutoPlay=false&skinName=tvcast_whit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2017년 4월 29일 (토) 22:33 판


양관(梁冠)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양관(梁冠)
이칭별칭 금관(金冠), 제관(祭冠)
착용신분 왕실, 궁중
착용성별 남성



정의

  • 양(梁, 관의 아래에서 위로 나 있는 세로줄)의 수를 달리한 관모.

복식 구성

기본 정보

착용신분

착용상황

  • 대사(大祀), 경축일(慶祝日), 원단(元旦), 동지(冬至), 조칙 반포, 진표(進表).

형태

  • 관의 전면의 머리둘레 부분인 무(武)과 관의 중앙 전면으로부터 정수리에 이르는 검정색 몸판에 금색의 세로줄이 높여져 있고, 뒷면은 여러 가지 무늬를 투조로 장식하여 관의 뒤를 병풍처럼 감쌈.[2]
  • 신분별 형태
    • 고려 말 공민왕 19년(1370, 洪武 3년) 때에 중국에 관복을 청하여 명 태조로부터 신하의 관복을 사여 받아, 1품은 5량관, 2품은 4량관, 3품은 3량관, 4·5품은 2량관, 6·7품은 1량관.
    • 조선조에 들어와 태종은 백관복 제정에 심혈을 기울였고, 세종 8년에 약간의 수정을 거쳐 성종 때에 백관의 조복·제복·공복·상복제도가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기록되면서 제도화.

<표> 법전에 실린 양관 제도

책명/품계 1품 2품 3품 4품 5품 6품 7품 8품 9품
『국조오례의서례』, 『경국대전』 5량 4량 3량 2량 2량 2량 1량 1량 1량
『대한예전』 7량 5량 5량 4량 3량 2량 2량 1량 1량

기타

시각자료

  • "양관을 쓴 관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양관",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노드 양관 A는 B를 보여준다
경국대전 양관 A는 B를 기록한다
국조오례의서례 양관 A는 B를 기록한다
대한예전 양관 A는 B를 기록한다
속대전 양관 A는 B를 기록한다
시경 양관 A는 B를 기록한다

복식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관 조복 A는 B의 부분이다

인물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문무백관 양관 A는 B를 착용한다

복식 → 기관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관 노드 A는 B에서 제작한다

기관/소장처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노드 양관 A는 B를 소장한다

참고문헌

주석

  1.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2.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6쪽.
  3.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4.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