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심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7번째 줄: 37번째 줄:
 
}}
 
}}
 
==정의==
 
==정의==
[[이이|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ref>이응백·김원경·김선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발췌·편집. 2016년 12월 27일 확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의 내용에서 발췌·편집. 2016년 12월 27일 확인.</ref>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이 목민관, 즉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指針)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한 저서.<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631 목민심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의 내용에서 발췌·편집. 2017년 04월 27일 확인.</ref>
  
 
==내용==
 
==내용==
* [[이이|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희|주자(朱子)]]의 [[무이구곡도가|〈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이황]]의 [[도산십이곡|〈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ref>이응백·김원경·김선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발췌·편집. 2016년 12월 27일 확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의 내용에서 발췌·편집. 2016년 12월 27일 확인.</ref>  
+
*『목민심서(牧民心書)』는 1818년 정약용(丁若鏞)이 집필한 책으로, 48권 16책으로 된 필사본이다. 이 책은 부임(赴任)·율기(律己 : 자기 자신을 다스림)·봉공(奉公)·애민(愛民)·이전(吏典)·호전(戶典)·예전(禮典)·병전(兵典)·형전(刑典)·공전(工典)·진황(賑荒)·해관(解官 : 관원을 면직함) 등 모두 12편으로 구성되었고, 각 편은 다시 6조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편제되었다.
*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ref>시각자료들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3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ref>  
+
*『목민심서』를 비롯해 조선 초기의 『목민심감(牧民心鑑), 후기의 『거관요람(居官要覽)』·『거관대요(居官大要)』·『임관정요(臨官政要)(안정복) 등 여러 목민서가 지향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목민관의 정기(正己 :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함)와 청백 사상이 전편에 걸쳐 강하게 흐르고 있는 점이다. 또한, 청렴은 수령의 본무이며 모든 선()의 원천이며 덕의 근본이니, 청렴하지 않고 능히 수령 노릇할 수 있는 자는 없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
*이 책은 1901년 광문사에서 인간(印刊)한 바 있으며, 1969년 민족문화추진회와 1977년 대양서적(大洋書籍), 1981년 다산연구회(茶山硏究會)에서 각각 국역이 간행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631 목민심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의 내용에서 발췌·편집. 2017년 04월 27일 확인.</ref>
  
 
==시각자료==
 
==시각자료==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class="wikitable sortable"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무이구곡도가]] || {{PAGENAME}} || A는 B의 모델이다 ||
+
| [[정약용]] || {{PAGENAME}}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818년
|-
 
| [[고산구곡]] || {{PAGENAME}} || A는 B의 모델이다 ||
 
|-
 
| {{PAGENAME}} || [[고산구곡도]] || A는 B의 모델이다 ||
 
|-
 
| {{PAGENAME}} || [[고산구곡도]] || A는 B에 포함된다 ||
 
|-
 
| [[이이]] || {{PAGENAME}}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578년
 
 
|-
 
|-
 
|}
 
|}
66번째 줄: 58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1578년 || [[이이]]{{PAGENAME}}를 창작하였다.
+
|1818년 || [[정약용]]{{PAGENAME}}를 창작하였다.
 
|}
 
|}
 
<!--
 
<!--
77번째 줄: 69번째 줄:
 
-->
 
-->
 
==참고문헌==
 
==참고문헌==
*단행본
 
*# 이민홍, 『사림파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5.
 
*#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77.
 
*논문
 
*# 고정희,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국어국문학』제141호, 국어국문학회, 2005.
 
*# 권오성, 「율곡의 고산구곡가 율자보에 대한 소고」, 『제3회 국제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 이민홍, 「고산구곡가와 무이도가고 1·2」, 『개신어문연구』1·2, 충북대학교, 1981-1982.
 
*온라인
 
*# 이응백·김원경·김선풍,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서비스. 2017년 03월 29일 확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68874&cid=41773&categoryId=41783 고산구곡금탄]", 『한시작가작품사전』, 국학자료원, 2007.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서비스. 2017년 03월 29일 확인.
 
  
 
==주석==
 
==주석==

2017년 4월 27일 (목) 23:56 판

틀:문헌정보2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이 목민관, 즉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指針)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한 저서.[1]

내용

  • 『목민심서(牧民心書)』는 1818년 정약용(丁若鏞)이 집필한 책으로, 48권 16책으로 된 필사본이다. 이 책은 부임(赴任)·율기(律己 : 자기 자신을 다스림)·봉공(奉公)·애민(愛民)·이전(吏典)·호전(戶典)·예전(禮典)·병전(兵典)·형전(刑典)·공전(工典)·진황(賑荒)·해관(解官 : 관원을 면직함) 등 모두 12편으로 구성되었고, 각 편은 다시 6조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편제되었다.
  • 『목민심서』를 비롯해 조선 초기의 『목민심감(牧民心鑑)』, 후기의 『거관요람(居官要覽)』·『거관대요(居官大要)』·『임관정요(臨官政要)』(안정복) 등 여러 목민서가 지향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목민관의 정기(正己 :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함)와 청백 사상이 전편에 걸쳐 강하게 흐르고 있는 점이다. 또한, 청렴은 수령의 본무이며 모든 선(善)의 원천이며 덕의 근본이니, 청렴하지 않고 능히 수령 노릇할 수 있는 자는 없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 이 책은 1901년 광문사에서 인간(印刊)한 바 있으며, 1969년 민족문화추진회와 1977년 대양서적(大洋書籍), 1981년 다산연구회(茶山硏究會)에서 각각 국역이 간행되었다.[2]

시각자료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약용 목민심서 A는 B를 저술하였다 1818년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18년 정약용이 목민심서를 창작하였다.

참고문헌

주석

  1. "목민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의 내용에서 발췌·편집. 2017년 04월 27일 확인.
  2. "목민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의 내용에서 발췌·편집. 2017년 04월 27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