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복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4번째 줄: 4번째 줄:
 
|대표명칭= 복두(幞頭)
 
|대표명칭= 복두(幞頭)
 
|이칭별칭=
 
|이칭별칭=
|착용시대= 고려-조선
+
|착용신분= 문무백관
|착용신분= 궁중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착용연령= 성인
+
|복식구분=
|복식구분= 관모
 
 
|복식구성=
 
|복식구성=
|관련복식=
+
|관련복식= [[공복]]
|필드수= 10
+
|필드수= 7
 
}}
 
}}
  
 
==정의==
 
==정의==
고려, 조선시대에 백관이 공복에 착용한 모자<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16 한국복식사전:복두]</ref>
+
* [[문무백관]]의 [[공복]]인 [[단령]]에 착용한 .
  
==내용==
+
===착용신분===
복두는 모부가 사모처럼 단으로 단이 져있으며, 두 개의 모정이 모두 평평하고 각이 져있다. 뒤에는 뿔을 수평으로 끼워 넣는다. 신라시대와 고려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조선시대 말까지 [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72 전각복두(展脚幞頭)]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ref>정희정,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17~118쪽.</ref>
+
* [[문무백관]].
  
==이미지==
+
===형태===
 +
* 사각형의 직물을 머리에 두르고, 두 귀[角]를 먼저 정수리 아래에서 묶고 다른 두 귀를 뒤에서 앞으로 올려 이마에서 묶던 두건의 형태에서 시작.<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
* 한 폭의 직물을 묶던 형태를 고정화시켜 2단으로 턱이 진 네모형이 되고 앞으로 올려 묶던 두 귀는 퇴하하고 뒤로 내린 두 귀는 좌우로 길게 뻗쳐진 형태로 발전.<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
* 신라 진덕여왕 이후 당나라에서 받아들여 착용하기 시작했으며 두 귀가 양옆으로 길게 뻗은 [[전각복두]]를 착용.<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72 한국복식사전, 전각복두]</ref>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파일:최치원 복두(신라).jpg|최치원 복두(신라)<ref>채용신 작(1924년). 무성서원 소장.</ref>  
 
파일:최치원 복두(신라).jpg|최치원 복두(신라)<ref>채용신 작(1924년). 무성서원 소장.</ref>  
 
파일:강민첨 복두(고려).jpg|강민첨 복두(고려)<ref>보물 제588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파일:강민첨 복두(고려).jpg|강민첨 복두(고려)<ref>보물 제588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gallery>
 
</gallery>
 +
 +
===기타===
 +
* 북주[後周] 무제(武帝)가 처음 만들었음.<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
* 한대(漢代) 즈음 두건을 사용하다 동한(東漢) 이후 두건에서 조금 변형된 형태인 [[복건|복건(幅巾)]]이 출현.<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
* 위진남북조 시기 선비족의 모자가 유입되면서 [[복두]] 탄생.<ref>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ref>
 +
* 조선시대는 사모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착용례가 줄어들어 조선후기에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앵삼|앵삼(鶯衫)]]과 함께 어사화를 꽃은 복두를 착용.<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16 한국복식사전:복두]</ref>
  
 
==관련항목==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항목B!!관계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보여준다 ||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문무백관]]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복식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노드 || A는 B의 부분이다 ||
 
|-
 
|}
 
 
 
===인물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복식 → 기관===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
 
 
 
===기관/소장처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소장한다 ||
 
 
|-
 
|-
 +
|'''{{PAGENAME}}'''  || [[공복]] ||A는 B의 부분이다
 
|}
 
|}
  
72번째 줄: 45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 [[분류:성인]] [[분류:남성]] [[분류:관모]]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2017년 4월 26일 (수) 23:17 판


복두(幞頭)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복두(幞頭)
착용신분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착용신분

형태

  • 사각형의 직물을 머리에 두르고, 두 귀[角]를 먼저 정수리 아래에서 묶고 다른 두 귀를 뒤에서 앞으로 올려 이마에서 묶던 두건의 형태에서 시작.[1]
  • 한 폭의 직물을 묶던 형태를 고정화시켜 2단으로 턱이 진 네모형이 되고 앞으로 올려 묶던 두 귀는 퇴하하고 뒤로 내린 두 귀는 좌우로 길게 뻗쳐진 형태로 발전.[2]
  • 신라 진덕여왕 이후 당나라에서 받아들여 착용하기 시작했으며 두 귀가 양옆으로 길게 뻗은 전각복두를 착용.[3]

기타

  • 북주[後周] 무제(武帝)가 처음 만들었음.[6]
  • 한대(漢代) 즈음 두건을 사용하다 동한(東漢) 이후 두건에서 조금 변형된 형태인 복건(幅巾)이 출현.[7]
  • 위진남북조 시기 선비족의 모자가 유입되면서 복두 탄생.[8]
  • 조선시대는 사모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착용례가 줄어들어 조선후기에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앵삼(鶯衫)과 함께 어사화를 꽃은 복두를 착용.[9]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문무백관 복두 A는 B를 착용한다
복두 공복 A는 B의 부분이다

주석

  1. 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
  2. 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
  3. 한국복식사전, 전각복두
  4. 채용신 작(1924년). 무성서원 소장.
  5. 보물 제588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6. 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
  7. 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
  8. 孫杞, 『中國古輿服論叢』, 文物出版社, 1993, 205~223쪽.
  9. 한국복식사전:복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