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선암사 원통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봉안한 전각이며 보통 관음전(觀音殿)이라고도 한다 | + |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봉안한 전각이며 보통 관음전(觀音殿)이라고도 한다. |
− | |||
− | + | [[순천 선암사|선암사]]의 원통전은 1660년 [[경잠|경잠(敬岑)]]·[[경준|경준(敬俊)]]·[[문정|문정(文正)]] 3대사가 초창하여 1698년 [[약휴|약휴대사(若休大師)]]가 중창하였고, 그후 1824년에 [[해붕|해붕(海鵬)]], [[눙암|눌암(訥庵)]], [[익종|익종(益宗)]] 3대사가 중수했다. 또한 [[운악돈각|운악돈각(雲岳頓覺)]]선사의 유촉으로 1000여 원을 회사하여 1923년에 중수하였다. | |
+ | |||
+ | |||
+ | 조선 [[정조]]가 후사가 없자 선암사 [[눌암|눌암대사]]에게 100일 기도를 부탁하여 [[순조]] 임금을 얻게 되었는데, 후에 [[순조]]가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人(인), 天(천)’, ‘大福田(대복전)’이라는 친필 현판을 하사하였다. 이 현판은 현재 건물의 내부에 걸려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99 선암사원통전]", 천득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ref> | ||
=='''갤러리'''== | =='''갤러리'''== |
2017년 4월 26일 (수) 13:44 판
순천 선암사 원통전 (順天 仙岩寺 圓通殿) |
|
답사 이후 추가 예정 | |
대표명칭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
영문명칭 | Wontongjeon Hall of Seonamsa Temple, Suncheon |
한자 | 順天 仙岩寺 圓通殿 |
주소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
문화재 지정번호 | 전남유형문화재 제169호 |
문화재 지정일 | 1990년 2월 24일 |
소유자 | 순천 선암사 |
관리자 | 순천 선암사 |
건립시대 | 조선시대 |
관련승려 | 의천, 경잠, 경준, 문정, 해붕, 눌암, 익종 |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1]
내용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봉안한 전각이며 보통 관음전(觀音殿)이라고도 한다.
선암사의 원통전은 1660년 경잠(敬岑)·경준(敬俊)·문정(文正) 3대사가 초창하여 1698년 약휴대사(若休大師)가 중창하였고, 그후 1824년에 해붕(海鵬), 눌암(訥庵), 익종(益宗) 3대사가 중수했다. 또한 운악돈각(雲岳頓覺)선사의 유촉으로 1000여 원을 회사하여 1923년에 중수하였다.
조선 정조가 후사가 없자 선암사 눌암대사에게 100일 기도를 부탁하여 순조 임금을 얻게 되었는데, 후에 순조가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人(인), 天(천)’, ‘大福田(대복전)’이라는 친필 현판을 하사하였다. 이 현판은 현재 건물의 내부에 걸려 있다.[2]
갤러리
답사 이후 추가 예정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순천 선암사 | A는 B에 있다 | |
경잠, 경준, 문정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A는 B를 창건하였다 | 1660년 |
약휴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A는 B를 중창하였다 | 1698년 |
해붕, 눌암, 익종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A는 B를 중건하였다 | 1824년 |
운악돈각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A는 B를 중건하였다 | 1923년 |
참고문헌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