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선과 두 개의 비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과제 설명'''== ==='''주제 소개'''=== 도선과 두 개의 비문 도선(道詵)은 신라 말기의 승려로, 도선과 관련된 비문은 두 가지가 전해져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과제 설명'''== | =='''과제 설명'''== | ||
+ | |||
+ | |||
==='''주제 소개'''=== | ==='''주제 소개'''=== | ||
− | |||
− | |||
도선(道詵)은 신라 말기의 승려로, 도선과 관련된 비문은 두 가지가 전해져오고 있다. | 도선(道詵)은 신라 말기의 승려로, 도선과 관련된 비문은 두 가지가 전해져오고 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도갑사 비문은 조선시대에 제작된 비문인만큼, 조선시대 역사와 다양한 맥락에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옥룡사 비문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비문으로, 상대적으로 도선의 행적에 관하여 자세한 서술이 있어서, 불교사의 맥락에서 도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도갑사 비문은 조선시대에 제작된 비문인만큼, 조선시대 역사와 다양한 맥락에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옥룡사 비문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비문으로, 상대적으로 도선의 행적에 관하여 자세한 서술이 있어서, 불교사의 맥락에서 도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
+ | |||
==='''기사 작성 방향'''=== | ==='''기사 작성 방향'''=== | ||
* 10개의 기사 항목은 클래스를 기준으로 대표성을 가지는 노드를 선정하여 작성 | * 10개의 기사 항목은 클래스를 기준으로 대표성을 가지는 노드를 선정하여 작성 | ||
− | ** 탑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 | ** 탑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 | ** 탑비: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 | ** 탑비: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 | ** 사찰: 도갑사(道岬寺) | + | ** 사찰: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 | ** 사지: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 | ** 사지: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 | ** 승려: 도선(道詵) | + | ** 승려: [[도선(道詵)]] |
− | ** 인물: 이경석(李景奭) | + | ** 인물: [[이경석(李景奭)]] |
− | ** 문헌: 동문선(東文選) | + | ** 문헌: [[동문선(東文選)]] |
− | ** 유물: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 | ** 유물: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 | ** 공간: | + | ** 공간: [[경기도박물관]]] |
− | ** 개념: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 + | ** 개념: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
* 향후 작성될 기사의 여러 템플릿들을 고민 | * 향후 작성될 기사의 여러 템플릿들을 고민 | ||
+ | |||
=='''네트워크 그래프'''== | =='''네트워크 그래프'''== | ||
+ | |||
=='''노드 목록'''== | =='''노드 목록'''== |
2016년 12월 27일 (화) 11:23 판
과제 설명
주제 소개
도선(道詵)은 신라 말기의 승려로, 도선과 관련된 비문은 두 가지가 전해져오고 있다.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1653년 건립, 현존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1173년 건립, 비는 현존하지 않음, 『동문선(東文選)』을 통해 확인 가능
이 두 비문을 중심으로 비문에서 확인되는 정보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제작하였다.
도갑사 비문은 조선시대에 제작된 비문인만큼, 조선시대 역사와 다양한 맥락에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옥룡사 비문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비문으로, 상대적으로 도선의 행적에 관하여 자세한 서술이 있어서, 불교사의 맥락에서 도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사 작성 방향
- 10개의 기사 항목은 클래스를 기준으로 대표성을 가지는 노드를 선정하여 작성
- 탑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탑비: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사찰: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사지: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승려: 도선(道詵)
- 인물: 이경석(李景奭)
- 문헌: 동문선(東文選)
- 유물: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공간: 경기도박물관]
- 개념: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 향후 작성될 기사의 여러 템플릿들을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