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관련항목)
35번째 줄: 35번째 줄: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인물 ||정기상
+
| [[정기상]] ||{{PAGENAME}}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 || 개념 ||사마시
+
| [[이씨]] || {{PAGENAME}}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865년
 
|-
 
|-
|{{PAGENAME}} || 개념 ||방방례
+
| [[이여민]] || [[이씨]] || A는 B의 어버이다 ||
 
|-
 
|-
|{{PAGENAME}} || 개념 ||참방
+
| [[정기필]] || [[정기상]] || A는 B의 어버이다 ||
 
|-
 
|-
|{{PAGENAME}} || 개념 ||도문일
+
| [[이씨]] || [[정기필]] || A는 B의 아내이다 ||
 +
|-
 +
| [[정기상]] || [[정종필]] || A는 B의 양자이다 ||
 +
|-
 +
| [[장수황씨]] || [[정종필]] || A는 B의 아내이다 ||
 +
|-
 +
| [[황의임]] || [[장수황씨]]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
| [[정기필]] || [[정현상]] || A는 B의 어버이다 ||
 +
|-
 +
| [[정기필]] || [[정형상]] || A는 B의 어버이다 ||
 +
|-
 +
| [[정기필]] || [[정규상]] || A는 B의 어버이다 ||
 +
|-
 +
| [[방방례]] || {{PAGENAME}}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PAGENAME}} || [[초계정씨 동계후손가]] || A는 B에 소장되어 있었다 ||
 +
|-
 +
| {{PAGENAM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
 
|}

2017년 4월 25일 (화) 13:09 판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한글팀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png
영문명칭 A mother's Korean letter to her son Jeong Gisang
작성시기 1865년
소장처 초계정씨 동계후손가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24.0×80.0㎝
판본 필사본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정의

1865년(고종2) 4월 초에 정기상(鄭璣相, 1825-1886)의 어머니가 아들의 사마시 입격을 기뻐하면서 쓴 편지이다.

내용

정기상은 3월 20일에 열린 사마시에서 생원 2등 4인으로 입격하여 4월 4일에 방방례(放榜禮)를 치렀다. 아들의 참방(參榜) 소식을 들은 어머니는 기쁜 마음을 여과없이 기술하여 도문일(到門日:집에 도착하는 날짜)을 4월 초9일로 정해주었다. 4월 초9일에 집으로 오라고 전하였다. [1]

부연설명

정기상은 1865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874년 문과에 합격하여 벼슬길에 오른다. 부친은 정종필(鄭宗弼,1797-1821)이고 모친은 황희임(黃熙任)의 딸 이다. 생부는 정기필(鄭夔弼,1800-1859)이고 생모는 이여민(李汝敏)의 딸 이다. 동생은 정현상(鄭鉉相)정형상(鄭衡相)정규상(鄭奎相)이다.[2]

아들이 진사시에 합격한 것을 크게 기뻐하고 있고 선친과 조상, 부모의 은덕을 잊지 말라 당부하고 있다. 동생을 챙기가는 부탁과 함께 방방례(합격자가 임금 앞에 정렬하여 네 번 절하고 합격증서인 홍패, 어사화, 일산 및 술과 과일 등을 하사받는 의식)에 쓸 재물을 동생이 빚을 내어 마련한다고는 하나 양식이 부족한 것을 걱정하고 있다. 정기상의 아내와 아들에 대한 안부도 전하고 있다. 또 이 편지는 눈이 어두워 대필(대신 쓰게함)하게 했으나 본인이 하는 말과 다르지 않으니 새겨들으라 하고 있다. [3]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기상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씨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A는 B를 저술하였다 1865년
이여민 이씨 A는 B의 어버이다
정기필 정기상 A는 B의 어버이다
이씨 정기필 A는 B의 아내이다
정기상 정종필 A는 B의 양자이다
장수황씨 정종필 A는 B의 아내이다
황의임 장수황씨 A는 B의 어버이이다
정기필 정현상 A는 B의 어버이다
정기필 정형상 A는 B의 어버이다
정기필 정규상 A는 B의 어버이다
방방례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초계정씨 동계후손가 A는 B에 소장되어 있었다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창작연대 1865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기탁처 초계정씨 동계후손가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88쪽.
  2. "정기상",『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2017년 4월 25일.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88-2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