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정의)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자는 미용(美鏞).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여유당(與猶堂)·채산(菜山). 근기(近畿) 남인 가문 출신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br/>일찍부터 뛰어난 문재(文才)로 주목받았으나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장기간 유배 생활을 하였다. 이 유배기간 동안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고, 이 저술을 통해서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 ||
==내용== | ==내용== |
2017년 4월 23일 (일) 13:33 판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 자는 미용(美鏞).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여유당(與猶堂)·채산(菜山). 근기(近畿) 남인 가문 출신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일찍부터 뛰어난 문재(文才)로 주목받았으나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장기간 유배 생활을 하였다. 이 유배기간 동안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고, 이 저술을 통해서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내용
정약용은 초의에게 유학(儒學)과 시문(詩文)뿐 아니라, 제다법을 가르쳤고, 「백운동도」와 「다산도」를 그리게 한 뒤 자신의 친필 시를 합첩한 『백운첩(白雲帖)』을 남겼다.[1]
시각자료
사진
영상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약용 | 의순 | A는 B의 스승이다 | |
정약용 | 백운첩 | A는 B를 저술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28년 | 정약용이 다신전을 저술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4.7406953 | 126.7047464 | 설록다원강진은 정약용과 관련이 있다 |
참고문헌
- "정약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주석
-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