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조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
Monica-jang (토론 | 기여)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복식구분= 예복 | |복식구분= 예복 | ||
|착용성별= 남성 | |착용성별= 남성 | ||
− | |착용신분= [[ | + | |착용신분= [[왕]] |
|필드수= 5 | |필드수= 5 | ||
}} | }} |
2017년 4월 21일 (금) 22:53 판
() |
|
[[file:|360px|thumb|center|]] | |
착용신분 | 왕 |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참석할 때 입었던 예복.[1]
- 머리에 쓰는 원유관(遠遊冠)에 있는 양(梁)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내는데 왕은 황태자와 같이 9량관.[2]
복식구성
원유관(遠遊冠), 강사포(絳紗袍), 상(裳), 중단(中單),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적석(赤舃), 적말(赤襪), 규(圭)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
왕 | 왕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한다. |
국조오례의 | 왕의 조복 | A는 B를 기록한다. |
원유관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강사포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상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중단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폐슬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후수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패옥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대대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적말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적석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규 | 왕의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왕의 조복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