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항섭-연안성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작품 구도=== | ===작품 구도=== | ||
+ | |||
+ | =='''시각적 안내'''== | ||
+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
+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
+ | <imagemap> | ||
+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연안성싸움」 1979|800px|center | ||
+ | rect 41 125 123 245 [[이정암]] | ||
+ | </imagemap>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2017년 4월 17일 (월) 19:57 판
박항섭-연안성싸움 | |
작가 | 박항섭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군사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개요
이정암이 지휘하는 의병과 주민들이 협동하여 연안성을 포위 공격하는 왜군을 격퇴하는 장면
설명
작품 소재
임진왜란 당시 이조참의로 재직중이던 이정암은 연안성에 들어가 의병 500명을 조직하고 왕세자로부터 초토사로 임명된 후 '적진에 임하여 패하여 물러가는 자는 참수한다'등의 8개항을 제시하고 의병을 조련하였다. 1592년 8월 28일부터 9월 2일에 걸쳐 왜장 구로다 나가사마(黑田長政)가 이끄는 왜병 5,000~6,000여명과 치열한 공방전 끝에 연안성을 지켜냈다. 초토사 이정암은 대첩의 상보(詳報)를 올리지 않고 단지 "모일(某日)에 성을 포위했다가 모일에 풀고 갔다.(某日圍城某日解去)"라는 여덟 글자만 행재소에 전하였는데, 이 사실이 곧 알려져 초토사 이하 유공장병은 상직을 받고, 이정암은 본도 순찰사에 임명되었다.[1]
작품 구도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 임진왜란 관련한 작품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항섭 | 박항섭-연안성싸움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이정암 | 연안성싸움 | A는 B에 참가하였다. | 1592년 08월 |
박항섭-연안성싸움 | 연안성싸움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박항섭-연안성싸움 | 연안성 | A는 B을 배경으로 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52년 08월 28일-1592년 09월 02일 | 이정암가 연안성싸움에 참가하였다. |
1975년 | 박항섭가 박항섭-연안성싸움를 제작하였다. |
1991년 12월 31일-1992년 12월 29일 | 육군가 박항섭-연안성싸움를 대여하였다. |
그래프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