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탑비) |
(→탑비)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전체 높이 2.9m, 비신 높이 1.68m, 너비 1.12m. 탑비는 대석(臺石), 비신, [[이수|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 전체 높이 2.9m, 비신 높이 1.68m, 너비 1.12m. 탑비는 대석(臺石), 비신, [[이수|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 ||
− | [[수철|수철화상]]은 893년(진성왕 7) 5월 4일 입적하였는데, 탑비의 뒷면에 새겨진 | + | [[수철|수철화상]]은 893년(진성왕 7) 5월 4일 입적하였는데, 탑비의 뒷면에 새겨진 음기(陰記)에 따르면, 탑비는 905년(효공왕 9) 10월 15일에 세워졌다.<ref>정선종의 연구(''정선종,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음기와 중건에 대하여」, 『불교문화연구』제11권, 남도불교문화연구회, 2009.'')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중국연호 다음 2년이 을축(乙丑)년인 해를 [[수철]] 화상 입적 후에 찾아보니 당나라 마지막 황제 애제(哀帝)의 연호인 천우(天祐) 밖에 없어, 이 탑비는 천우(天祐) 2년인 905년(효공왕 9) 10월 15일에 세워졌다고 한다.</ref> |
{{Blockquote|□□2년 용집(龍集) 을축(乙丑) 10월 15일에 세움 | {{Blockquote|□□2년 용집(龍集) 을축(乙丑) 10월 15일에 세움 |
2017년 4월 15일 (토) 18:59 판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
|
대표명칭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
---|---|
한자 |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입석리) 실상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4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승려 | 수철 |
정의
전라남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고승 수철(秀澈, 817~893)의 탑비.
탑비
전체 높이 2.9m, 비신 높이 1.68m, 너비 1.12m. 탑비는 대석(臺石), 비신, 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수철화상은 893년(진성왕 7) 5월 4일 입적하였는데, 탑비의 뒷면에 새겨진 음기(陰記)에 따르면, 탑비는 905년(효공왕 9) 10월 15일에 세워졌다.[1]
□□2년 용집(龍集) 을축(乙丑) 10월 15일에 세움 | ||
출처: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제13권, 한국국학진흥원, 2013, 24쪽. |
이후 1714년(숙종 40)에는 쓰러진 비신을 다시 세웠으며, 이에 대한 기록이 탑비의 뒷면에 새겨져 있다.
강희 53년 갑오년(1714) 4월 일에 중건함 | ||
출처: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제13권, 한국국학진흥원, 2013, 24쪽. |
탑비의 형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 형식과 달리 귀부(龜趺)가 없고 대신 안상(眼象) 6구를 새긴 장방형의 대석 위에 비를 세웠으며, 비좌(碑座)에는 큼직한 복련(覆蓮)을 둘렀다.[2] 이수에는 여의주를 중심으로 다투는 듯 두 마리의 용이 좌우 대칭으로 자리 잡고 그 사이를 운문(雲文)으로 채운 형태가 전후면에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전면에는 ⌂형으로 액(額)을 마련 후 '능가보월탑비(楞迦寶月塔碑)' 라는 전액(篆額)을 새겼다.[3]
비문
갤러리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참고문헌
주석
- ↑ 정선종의 연구(정선종,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음기와 중건에 대하여」, 『불교문화연구』제11권, 남도불교문화연구회, 2009.)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중국연호 다음 2년이 을축(乙丑)년인 해를 수철 화상 입적 후에 찾아보니 당나라 마지막 황제 애제(哀帝)의 연호인 천우(天祐) 밖에 없어, 이 탑비는 천우(天祐) 2년인 905년(효공왕 9) 10월 15일에 세워졌다고 한다.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 ↑ "건조물문화재(석조) 정기조사서",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최종확인:2017년 4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