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우-포항종합제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8번째 줄: | 8번째 줄: | ||
|유형= 광공업 | |유형= 광공업 | ||
|분류= 유화 | |분류= 유화 | ||
− | |소장처= | + | |소장처= 포항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 |
|필드수=8 | |필드수=8 | ||
}} | }} | ||
=='''개요'''== | =='''개요'''== | ||
− | 1968년에 건립된 포항제철에서 철강제품을 | + | 1968년에 건립된 포항제철에서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광경. |
− | |||
− | |||
− | |||
− |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 | 1973년 6월 9일 국내 최초의 일관제철소<ref><html><online style="color:purple">『[http://dic.mk.co.kr/cp/pop/desc.php 매일경제 경제용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매일경제.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ref> | |
− | + | 인 포항종합제철 제1고로에서 쇳물을 토해내는 장면을 생동감 있게 그리고 있다. | |
− | + | 같은해 7월3일, 포항제철소에서 포항 1기 설비를 완공되었는데 연인원 581만명, [[경부고속도]]로 건설비용의 3배에 해당하는 1205억원의 자금이 소요되었다. 여기에는 전체 [[대일 청구권]]의 23.9%에 달하는 막대한 자금이 포함되어 있다.<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706005003#csidx6b1b86df098084a9de8dd110361747c 청구권 자금 5억弗 중 포철 건설에 24% 사용]", 『서울신문』, 2015년 07월 05일</ref> | |
− | |||
− | |||
==작품 구도== | ==작품 구도== | ||
− | + | 방열복을 입는 다수의 작업자가 고로에서 시뻘건 불덩어리와 함께 쇳물을 뽑아내고 있다. 뒷 배경에는 쇳물을 녹이는 육중한 기계 설비와 쇳물에서 뿜어져 나오는 자욱한 흰연기가 탁한 색감으로 표현되어 있다. 중간 부분에서 앞까지 S자 모양으로 흘러 내려오는 쇳물은 실제 작업 현장에 온 것과 같은 현장감을 주고 있다. [[오승우]] 화가의 구술에 의하면 민족기록화 경제편 작가들은 직접 산업 현장을 방문 답사하여 사진 촬영도 하였다고 한다. | |
− | + | 이 작품은 정형화된 다른 민족기록화 경제편 작품에 비해 전체적으로 현장의 모습을 생동감있고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소재와 초점이 노동자가 아니라 산업발전을 홍보하기 위한 시설에 맞추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ref>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⑤, 노동자 화가 박문협 쇳물에 녹여낸 북한 리얼리즘",『통일한국 』, 2012년 5월호</ref>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 | 광공업 관련 작품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광공업 관련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 ||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 ||
57번째 줄: | 49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 | ==''' | + | =='''관련항목'''==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오승우]]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3년 | |
+ | |- | ||
+ | |{{PAGENAME}} ||[[포항종합제철]]||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 |- | ||
+ | |{{PAGENAME}} ||[[철강산업]]||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 |- | ||
+ | |[[박태준]] ||[[포항종합제철]]|| A는 B를 설립하였다 || | ||
+ | |- | ||
+ | |[[포항종합제철]] ||[[포스코]]|| A는 B의 전신이다 || | ||
+ | |- | ||
+ | |[[포항종합제철]] ||[[대일청구권]]||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 |[[포항종합제철]] ||[[일관제철소]]|| A는 B이다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class="wikitable |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 |1973년 || [[오승우]]가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 | |- | ||
+ | |1979년 || 총무처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 |- | ||
+ | |1991년 03월 25일-1992년 03월 24일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 |- | ||
− | | | + | |2017년 || [[포항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가 {{PAGENAME}}를 소장하고 있다 |
|} | |} | ||
− | == | + | =='''공간정보'''==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37.575603 || 126.975119||{{PAGENAME}}이 [[총무처]]에 대여되었다. | ||
|- | |- | ||
− | |{{PAGENAME}} | + | |35.982941 || 129.381239||{{PAGENAME}}이 [[포항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그래프'''==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포항종합제철/포항종합제철.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7년 4월 14일 (금) 19:41 판
포항종합제철 | |
작가 | 오승우 |
---|---|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광공업 |
분류 | 유화 |
소장처 | 포항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 |
개요
1968년에 건립된 포항제철에서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광경.
설명
작품 소재
1973년 6월 9일 국내 최초의 일관제철소[1] 인 포항종합제철 제1고로에서 쇳물을 토해내는 장면을 생동감 있게 그리고 있다. 같은해 7월3일, 포항제철소에서 포항 1기 설비를 완공되었는데 연인원 581만명, 경부고속도로 건설비용의 3배에 해당하는 1205억원의 자금이 소요되었다. 여기에는 전체 대일 청구권의 23.9%에 달하는 막대한 자금이 포함되어 있다.[2]
작품 구도
방열복을 입는 다수의 작업자가 고로에서 시뻘건 불덩어리와 함께 쇳물을 뽑아내고 있다. 뒷 배경에는 쇳물을 녹이는 육중한 기계 설비와 쇳물에서 뿜어져 나오는 자욱한 흰연기가 탁한 색감으로 표현되어 있다. 중간 부분에서 앞까지 S자 모양으로 흘러 내려오는 쇳물은 실제 작업 현장에 온 것과 같은 현장감을 주고 있다. 오승우 화가의 구술에 의하면 민족기록화 경제편 작가들은 직접 산업 현장을 방문 답사하여 사진 촬영도 하였다고 한다. 이 작품은 정형화된 다른 민족기록화 경제편 작품에 비해 전체적으로 현장의 모습을 생동감있고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소재와 초점이 노동자가 아니라 산업발전을 홍보하기 위한 시설에 맞추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3]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오승우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A는 B를 그렸다 | 1973년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포항종합제철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철강산업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박태준 | 포항종합제철 | A는 B를 설립하였다 | |
포항종합제철 | 포스코 | A는 B의 전신이다 | |
포항종합제철 | 대일청구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포항종합제철 | 일관제철소 | A는 B이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3년 | 오승우가 오승우-포항종합제철를 제작하였다. |
1979년 | 총무처가 오승우-포항종합제철를 대여하였다 |
1991년 03월 25일-1992년 03월 24일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가 오승우-포항종합제철를 대여하였다 |
2017년 | 포항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가 오승우-포항종합제철를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5603 | 126.975119 |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이 총무처에 대여되었다. |
35.982941 | 129.381239 | 오승우-포항종합제철이 포항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에 소장되어 있다. |
그래프
참고문헌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85쪽.
주석
- ↑
『[http://dic.mk.co.kr/cp/pop/desc.php 매일경제 경제용어사전]』online , 매일경제.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 ↑ "청구권 자금 5억弗 중 포철 건설에 24% 사용", 『서울신문』, 2015년 07월 05일
- ↑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⑤, 노동자 화가 박문협 쇳물에 녹여낸 북한 리얼리즘",『통일한국 』, 2012년 5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