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 | -->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PAGENAME}}||수월거사||A는 B를 했다|| | ||
+ | |- | ||
+ | |{{PAGENAME}}||구마라집||A는 B를 했다|| | ||
+ | |- | ||
+ | |{{PAGENAME}}||법화경||A는 B를 했다|| | ||
+ | |- | ||
+ | |{{PAGENAME}}||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A는 B를 했다|| | ||
+ |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45번째 줄: | 56번째 줄: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 | <!-- |
2017년 4월 12일 (수) 03:51 판
묘법연화경 | |
한자명칭 | 妙法蓮華經 |
---|---|
영문명칭 | A Korean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
작자 | 수월거사 |
간행시기 | 1903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3-217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3.8×24.3㎝ |
판본 | 필사본 |
수량 | 7책 |
표기문자 | 한글 |
정의
1903년 수월거사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한글로 번역해 필사한 사경(寫經)이다.
내용
1903년 수월거사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한글로 번역해 필사한 사경(寫經)이다. 표제의 『법화경(法華經)』은 『묘법연화경』의 약칭이다. 이 책은 1903년 윤5월 11일에서 6월 26일까지 구마라집(鳩摩羅什, 334~413)의 한역본(漢譯本)을 바탕으로 필사되었는데, 필요한 부분만 발췌하여 옮긴 편역(編譯)이다. 각 책 제1면에는 황실과 국가의 안녕을 축원하는 발원문(發願文)이 있고, 각 장의 끝에는 시주자 명단이 있다. 이 명단에는 ‘출가하지 않은 여성 불교 신자’를 가리키는 ‘청신녀’라는 용어가 자주 보이고 있어 많은 여성들이 시주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1]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묘법연화경 언해 | 수월거사 | A는 B를 했다 | |
묘법연화경 언해 | 구마라집 | A는 B를 했다 | |
묘법연화경 언해 | 법화경 | A는 B를 했다 | |
묘법연화경 언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를 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5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