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증보삼략직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서문에서 ‘[[|삼략|삼략三略]]’을 설명하기를 삼三은 상, 중, 하3권을 말하고, 략略은 모략謀略을 말한다고 하였다.‘열사석의’에서 죄를 성토하여 치는 것을 벌伐, 두 병사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전戰, 그 나라의 수도로 나아가는 것을 입入, 그 조정과 시장을 옮기는것을 천遷이라고 하는 등 용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다. | 서문에서 ‘[[|삼략|삼략三略]]’을 설명하기를 삼三은 상, 중, 하3권을 말하고, 략略은 모략謀略을 말한다고 하였다.‘열사석의’에서 죄를 성토하여 치는 것을 벌伐, 두 병사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전戰, 그 나라의 수도로 나아가는 것을 입入, 그 조정과 시장을 옮기는것을 천遷이라고 하는 등 용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다. | ||
1805년순조5 판본과 그 이후의 판본은 언해문의 한글 표기에서 차이를 보인다. 후대본들은 '증보범례'의 내용도 다르다. 한글 표기는 1805년 판본이 후대본에 비해 정제된 모습을 보여주어, 한글 표기의 변천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01쪽.</REF> | 1805년순조5 판본과 그 이후의 판본은 언해문의 한글 표기에서 차이를 보인다. 후대본들은 '증보범례'의 내용도 다르다. 한글 표기는 1805년 판본이 후대본에 비해 정제된 모습을 보여주어, 한글 표기의 변천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01쪽.</REF> | ||
− | + | <!-- | |
==부연설명== | ==부연설명== |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
55번째 줄: | 56번째 줄: | ||
|{{PAGENAME}} ||개념||상지오년을축중하경성광통방중간 | |{{PAGENAME}} ||개념||상지오년을축중하경성광통방중간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 |- | ||
+ | |{{PAGENAME}}||간행년||1805년(순조5) | ||
+ | |} | ||
+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65번째 줄: | 75번째 줄: | ||
37.392230, 127.05438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7.392230, 127.05438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googlemap> | </googlema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2017년 4월 11일 (화) 23:39 판
신간증보삼략직해 | |
한자명칭 | 新刊增補三略直解 |
---|---|
영문명칭 | A Korean annotation of a military strategy book |
작자 | 유인 |
작성시기 | 1805년 |
간행시기 | 조선후기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3-290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1.7×20.2㎝ |
판본 | 목판본 |
수량 | 1冊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정의
내용
명나라 유인劉寅이 지은 『삼략직해三略直解』를 언해한 병법서兵法書이다. 『삼략직해』는 황석공黃石公이 장자방張子房에게 전수한 ‘삼략’을 유인이 풀이한 책이다. 현재 전하는 언해본의 최고본最古本은 ‘상지오년을 축중하경성광통방중간上之五年乙丑仲夏京城廣通坊重刊’이라는 간기가 있는 책이다. 이 간기의 ‘중간’이란 한문본 간행을 원간으로 보고 붙였을 가능성이 많다. 이 책은 앞에 유인의 원서原序가 있고, 이어서 열사석의閱史釋義 및 증보범례增補凡例가 있다. 그 뒤에 본문이 시작되는데 한문 원문에는 한글 토가 달려 있다. 언해문은 쌍행雙行으로 되어 있으며, 난상欄上에는 한문으로 주석을 달아놓았다. 그리고 끝에 협음叶音이 달려 있다. 서문에서 ‘[[|삼략|삼략三略]]’을 설명하기를 삼三은 상, 중, 하3권을 말하고, 략略은 모략謀略을 말한다고 하였다.‘열사석의’에서 죄를 성토하여 치는 것을 벌伐, 두 병사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전戰, 그 나라의 수도로 나아가는 것을 입入, 그 조정과 시장을 옮기는것을 천遷이라고 하는 등 용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다. 1805년순조5 판본과 그 이후의 판본은 언해문의 한글 표기에서 차이를 보인다. 후대본들은 '증보범례'의 내용도 다르다. 한글 표기는 1805년 판본이 후대본에 비해 정제된 모습을 보여주어, 한글 표기의 변천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시간정보
<--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신간증보삼략직해 | 간행년 | 1805년(순조5) |
-->
공간정보
<--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신간증보삼략직해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7.39197 | 127.054387 |
-->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0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