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학지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9번째 줄: 39번째 줄:
  
 
==관련항목==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48번째 줄: 49번째 줄:
 
|{{PAGENAME}} ||인물||최숙
 
|{{PAGENAME}} ||인물||최숙
 
|}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55번째 줄: 57번째 줄:
 
|{{PAGENAME}}||간행년||1787년(정조11)
 
|{{PAGENAME}}||간행년||1787년(정조11)
 
|}
 
|}
 
+
-->
 
 
 
==공간정보==
 
==공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63번째 줄: 65번째 줄: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
 
|}
 +
-->
 
<!--
 
<!--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2017년 4월 11일 (화) 21:13 판

병학지남
한글팀 병학지남 01 표지.jpg
한자명칭 兵學指南
영문명칭 A military strategy book. A part on military training was extracted.
작자 척계광
작성시기 1787년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283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4 ×23.2㎝
판본 목판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16세기 중기의 명나라 장수 척계광이 지은 『기효신서』중 군대의 조련방법에 관한 부분을 요약하여 만든 우리나라의 병법서

내용

16세기 중기의 명나라 장수 척계광戚繼光이 지은 『기효신서紀效新書』 중 군대의 조련방법에 관한 부분을 요약하여 만든 우리나라의 병법서兵法書이다. 내용은 권1에 기고정법旗鼓定法·기고총결旗鼓總訣, 권2에 영진정구營陣正彀, 권3에 영진총도營陣總圖 상편, 권4에 영진총도 하편, 권5에 장조정식場操程式·성조정식城操程式·수조정식水操程式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군대의 조련, 진을 치는 법, 행군, 호령 등에 대한 규정과 설명이 그림과 함께 수록되어 있어서 17세기 이후로 군사 훈련의 기본지침서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각 병영에서 간행된 많은 이본이 전한다. 현존하는 이본은 1787년의 장용영판과 그 복각본이 주류를 이루고, 그밖에 이보다 앞선 판본으로서 최숙崔橚의 수정본과 수정 이전의 판본으로 나누어진다. 최숙의 수정본보다 빠른 판본에는 구개음화가 나타나지 않는 등 17세기 국어의 모습이 보인다. 그러므로 이 책은 여러 이본을 통해 국어의 통시적 변화를 보여주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1]

부연설명

시각자료

관련항목

시간정보

공간정보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0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