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포식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0번째 줄: 40번째 줄:
  
 
==관련항목==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57번째 줄: 58번째 줄:
 
|{{PAGENAME}} ||개념||황해 병영
 
|{{PAGENAME}} ||개념||황해 병영
 
|}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64번째 줄: 66번째 줄:
 
|{{PAGENAME}}||간행년||1635년(인조13)
 
|{{PAGENAME}}||간행년||1635년(인조13)
 
|}
 
|}
 
+
-->
 
==공간정보==
 
==공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71번째 줄: 74번째 줄: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
 
|}
 +
-->
 
<!--
 
<!--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2017년 4월 11일 (화) 21:13 판

화포식언해
한글팀 화포식언해 01 표지.jpg
한자명칭 火砲式諺解
영문명칭 A Korean translation of Hwaposik which is an instruction manual of guns and gunpowder manufacturing.
작자 이서
작성시기 1635년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311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3.3×21.8㎝
판본 목판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이서인조 대에 각종 총포의 사용법과 화약 제조법을 기술하여 간행한 『화포식火砲式』의 한글 언해본

내용

이서李曙, 1580~1637가 인조仁祖 대에 각종 총포의 사용법과 화약 제조법을 기술하여 간행한 『화포식火砲式』의 한글 언해본이다. 책의 내용은 먼저 제반 총통銃筒의 일반적인 용약법用藥法을 기술한 다음 천자총통天字銃筒·지자총통地字銃筒·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대완구大碗口 등 각종 화약병기의 용약법과 발사물을 수록하고 있다. 특히 <중신기화차>에는 현대 다연장로켓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중신기전 100발을 발사할 수 있는 중신기화차와 주자총통 50문을 탑재할 수 있는 화차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본 장서각 소장본은 책 후반부에 『신전자취염초방언해新傳煮取焰硝方諺解』가 합철되어 있고, 책 끝에 최명길崔鳴吉, 1586~1647의 발문이 실려 있는데, 1685년숙종11에 황해 병영黃海兵營에서 중간한 목판본이다. 이 책은 조총류鳥銃類를 수록하지 않은 점과 사거리를 밝히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당시에 사용된 화약병기의 종류와용약법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본 간의 비교를 통해 17세기 국어 표기법의 변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1]

부연설명

시각자료

관련항목

시간정보

공간정보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9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