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8
 
|필드수=8
 
}}
 
}}
 +
=='''개요'''==
 +
[[배중손]]이 지휘하는 [[삼별초]]의 전선들이 [[진도]]에서 고려·몽고 연합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설명'''==
[[배중손]]이 지휘하는 [[삼별초]]의 전선들이 [[진도]]에서 고려·몽고 연합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br/>
+
===작품 소재===
 
왼쪽 위에 작게 고려·몽고의 연합군이 [[삼별초]]를 혁파하기 위해 [[진도]]의 맞은 편에서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평소 [[강화도]]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해상 전투에 익숙한 [[삼별초]]에 의해 연합군의 배는 속수무책으로 가라앉고 있는 상황이다. 침몰하고 있는 전선(戰船)들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는데, 삼별초 항쟁이 벌어진 1270년대 당시에는 [[화포]]와 [[화약]] 개량이나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극적 효과를 노리기 위한 미술적 장치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좌우로 양분된 화면 오른편에는 진군하는 [[삼별초]]의 모습이, 왼편에는 연기로 뒤덮인 채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연합군의 모습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왼쪽 위에 작게 고려·몽고의 연합군이 [[삼별초]]를 혁파하기 위해 [[진도]]의 맞은 편에서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평소 [[강화도]]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해상 전투에 익숙한 [[삼별초]]에 의해 연합군의 배는 속수무책으로 가라앉고 있는 상황이다. 침몰하고 있는 전선(戰船)들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는데, 삼별초 항쟁이 벌어진 1270년대 당시에는 [[화포]]와 [[화약]] 개량이나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극적 효과를 노리기 위한 미술적 장치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좌우로 양분된 화면 오른편에는 진군하는 [[삼별초]]의 모습이, 왼편에는 연기로 뒤덮인 채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연합군의 모습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은 해상전투가 벌어지는 [[진도]] 앞 바다로 설정되어 있다. [[진도]] 내에는 [[배중손]]이 [[삼별초]]를 이끌고 [[진도]]로 남하하여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기 위해 쌓았다는 [[남도석성]]이 남아 있다.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800px|center]]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Image: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center|900px|
 +
poly 298 150 353 286 409 397 505 522 677 526 677 298 585 253 625 241 627 214 529 186 453 160 401 129 301 149 [[삼별초]]
 +
poly 132 56 69 79 69 89 223 87 295 85 579 85 533 73 494 69 463 65 449 71 421 74 393 75 377 71 359 70 343 77 297 85 270 77 217 73 126 55 [[진도]]
 +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고려 전쟁 소재 작품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gallery>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이용환-귀주대첩]]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여진정벌]]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쌍성수복]]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gallery>
 
</gallery>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관련항목'''===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윤중식]]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PAGENAME}} || A가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김서봉]]  
+
|{{PAGENAME}} || [[삼별초]]||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
|[[배중손]] || [[삼별초]]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삼별초]]
+
|{{PAGENAME}} || [[진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배중손]]
+
|[[삼별초]] || [[남도석성]] || A는 B를 건설하였다 ||
 
|-
 
|-
|{{PAGENAME}} || ~을 배경으로 하다 || [[진도]]
+
|[[남도석성]] || [[진도]] || A는 B에 위치한다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1975년 || [[김서봉]]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PAGENAME}}||[[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대여기간 || 1991.11.30~1992.11.29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37.423111|| 126.973591
+
|37.423111|| 126.973591||{{PAGENAME}}[[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에 대여되었다.
 
|}
 
|}
  
 
=='''그래프'''==
 
=='''그래프'''==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참고문헌'''==
 
=='''참고문헌'''==
* "쌍영총", 고고학사전, 국립문화재연구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9077&cid=43065&categoryId=43065 고고학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7일 확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9077&cid=43065&categoryId=43065 홍주성 수성비]",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학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쌍영총:안간천정벽화",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길상 이미지),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48066&cid=49299&categoryId=49299 문화콘텐츠닷컴] (2017년 2월 7일 확인)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311&index_id=cp03110438&content_id=cp031104380001&search_left_menu= 쌍영총:안간천정벽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주석'''==
 
=='''주석'''==

2017년 4월 11일 (화) 18:25 판


삼별초의 대몽항전
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
작가 김서봉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개요

배중손이 지휘하는 삼별초의 전선들이 진도에서 고려·몽고 연합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왼쪽 위에 작게 고려·몽고의 연합군이 삼별초를 혁파하기 위해 진도의 맞은 편에서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평소 강화도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해상 전투에 익숙한 삼별초에 의해 연합군의 배는 속수무책으로 가라앉고 있는 상황이다. 침몰하고 있는 전선(戰船)들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는데, 삼별초 항쟁이 벌어진 1270년대 당시에는 화포화약 개량이나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극적 효과를 노리기 위한 미술적 장치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좌우로 양분된 화면 오른편에는 진군하는 삼별초의 모습이, 왼편에는 연기로 뒤덮인 채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연합군의 모습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해상전투가 벌어지는 진도 앞 바다로 설정되어 있다. 진도 내에는 배중손삼별초를 이끌고 진도로 남하하여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기 위해 쌓았다는 남도석성이 남아 있다.

시각적 안내

삼별초진도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윤중식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A는 B를 그렸다 1975년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A가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삼별초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배중손 삼별초 A는 B를 지휘하였다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진도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삼별초 남도석성 A는 B를 건설하였다
남도석성 진도 A는 B에 위치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서봉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를 제작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를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23111 126.973591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이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에 대여되었다.

그래프

참고문헌

  • "홍주성 수성비",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쌍영총:안간천정벽화",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