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해례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연설명)
(부연설명)
36번째 줄: 36번째 줄:
 
훈민정음해레본은 2가지 판본이 있다. 바로 [[간송본]] 과 [[상주본]]이다.  
 
훈민정음해레본은 2가지 판본이 있다. 바로 [[간송본]] 과 [[상주본]]이다.  
  
[[간송본]]은 현재 실존하여 우리가 보는 판본이다. 1940년경 경상북도 안동에서 발견 되었고, 고(故) [[전형필]](호는 간송)이 이를 입수하였다. 그 후 [[전형필]]이 [[간송미술관]]을 세워 원본을 보관하게 되었다. 그 결과 지금까지도 원본은 [[간송미술관]]에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05 훈민정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31일 확인.]</REF> 하지만 원본을 어떻게 입수하게 되었는가 대해서는 기존의 학설과 다르게 건국대의 박종덕 교수가 "「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란 주제로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 내용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간송본]]은 안동 김씨 종가 [[긍구당]] 에서 보관되어 있다가, 사위인  [[이용준]]이 전형필에게 주고 돈을 받았다는 것이 통설이다.  
+
[[간송본]]은 현재 실존하여 우리가 보는 판본이다. 1940년경 경상북도 안동에서 발견 되었고, 고(故) [[전형필]](호는 간송)이 이를 입수하였다. 그 후 [[전형필]]이 [[간송미술관]]을 세워 원본을 보관하게 되었다. 그 결과 지금까지도 원본은 [[간송미술관]]에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805 훈민정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31일 확인.]</REF> 하지만 원본을 어떻게 입수하게 되었는가 대해서는 기존의 학설과 다르게 건국대의 박종덕 교수가 "「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란 주제로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 내용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간송본]]은 안동 김씨 종가 [[긍구당]] 에서 보관되어 있다가, 사위인  [[이용준]]이 전형필에게 주고 돈을 받았다는 것이 통설이다.  
 
하지만 박종덕은 그것은 사실과 다르고 이용준이 [[김응수|장인]]의 집에 들러서 [[간송본]]을 훔쳐 전형필에게 팔아 넘겼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근거는 바로 유실된 해례본의 첫 두장이 본래 긍구당에서 소유권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장서인(藏書印)을 찍었던 자리인데 이용준이 그 사실을 은폐하려고 고의로 뜯어 냈다는 것이다.<REF>박종덕, 「"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과 과정 연구」-학계에서 바라본 '발견'에 대한 반론의 입장에서-,한국어학 권31,2006.</REF>  
 
하지만 박종덕은 그것은 사실과 다르고 이용준이 [[김응수|장인]]의 집에 들러서 [[간송본]]을 훔쳐 전형필에게 팔아 넘겼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근거는 바로 유실된 해례본의 첫 두장이 본래 긍구당에서 소유권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장서인(藏書印)을 찍었던 자리인데 이용준이 그 사실을 은폐하려고 고의로 뜯어 냈다는 것이다.<REF>박종덕, 「"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과 과정 연구」-학계에서 바라본 '발견'에 대한 반론의 입장에서-,한국어학 권31,2006.</REF>  
  

2017년 4월 1일 (토) 15:55 판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팀 훈민정음 해례본 01 세종대왕의서문.jpg
한자명칭 訓民正音解例本
영문명칭 Explanation and examples of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for the people
작자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최항, 박팽년, 강희안, 이개, 이선로
간행시기 1446(세종28)
소장처 간송미술관
문화재지정사항 국보 제70호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1997년 등재)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2.6×17.2㎝
판본 목판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자, 한글



정의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한문으로 해설한 책이다.

내용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한문으로 해설한 책이다. 전체 33장을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문을 4장 7면으로 수록했고, 제2부는 훈민정음 해례를 26장 51면에 실었다. 제3부는 정인지의 서문을 3장 6면에 수록하고, 그 끝에 “정통正統 11년(1446)”이라 명시하였다. 훈민정음은 ‘예의(例義)’와 ‘해례(解例)’ 로 나뉘는데, 창제 이유와 사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 예의는 세종이 직접 지었고, 자음과 모음의 창제 원리와 용법을 설명한 해례집현전 학사들이 지었다. 서문을 포함한 예의는 간략해 『세종실록』과 『월인석보』 등에 실려 있으나, 창제 원리가 담긴 해례부분은 존재가 알려지지 않다가 1940년에야 발견되었다. 1962년 12월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고,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1]

부연설명

1446년(세종, 28)에 발표된 훈민정음을 한문으로 해설한 책이다. 그 구조를 보면 전체 33장을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문을 4장 7면으로 수록했고, 제2부는 훈민정음 해례를 26장 51면에 실었다. 제3부는 정인지의 서문을 3장 6면에 수록하고, 그 끝에 “정통(正統) 11년(1446)”이라 명시하였다. 그리고 훈민정음은 ‘예의(例義)’와 ‘해례(解例)’ 로 나누어진다. 예의는 세종이 직접 지었고 그 내용은 창제 이유와 사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 것이다. 해례집현전 학사들이 지은 것이며, 그 내용은 자음과 모음의 창제 원리와 용법을 아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즉 예의편보다 더 상세하게 훈민정음을 해설한 장이다. 그 뒤에는 정인지 서문이 있다. 서문을 포함한 예의는 간략하여 『세종실록』과 『월인석보』 등에 실려 있으나, 창제 원리가 담긴 해례부분은 존재가 알려지지 않다가 1940년에야 발견되었다. 1962년 12월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고,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2]

훈민정음해레본은 2가지 판본이 있다. 바로 간송본상주본이다.

간송본은 현재 실존하여 우리가 보는 판본이다. 1940년경 경상북도 안동에서 발견 되었고, 고(故) 전형필(호는 간송)이 이를 입수하였다. 그 후 전형필간송미술관을 세워 원본을 보관하게 되었다. 그 결과 지금까지도 원본은 간송미술관에 있다.[3] 하지만 원본을 어떻게 입수하게 되었는가 대해서는 기존의 학설과 다르게 건국대의 박종덕 교수가 "「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란 주제로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 내용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간송본은 안동 김씨 종가 긍구당 에서 보관되어 있다가, 사위인 이용준이 전형필에게 주고 돈을 받았다는 것이 통설이다. 하지만 박종덕은 그것은 사실과 다르고 이용준이 장인의 집에 들러서 간송본을 훔쳐 전형필에게 팔아 넘겼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근거는 바로 유실된 해례본의 첫 두장이 본래 긍구당에서 소유권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장서인(藏書印)을 찍었던 자리인데 이용준이 그 사실을 은폐하려고 고의로 뜯어 냈다는 것이다.[4]

상주본은 2007년 경북 상주에서 발견 되었다. 특히 간송본 과 매우 유사하며 서문 4장과 뒷부분 한장이 유실 되었지만 보존 상태는 간송본 보다는 더 좋았다. 그리고 간송본에서 보이지 않았던 당시 연구자들의 주석이 있어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있다. 그러나 발견자 배익기가 국가를 상대로 1000억원 규모의 돈을 요구하였고, 이웃 골동품 수집가 조영훈이 배익기를 절도 혐의로 고소하면서 소유권 분쟁이 일어났다. 그 뿐만 아니라 검찰에서 본격적으로 조사하자 이 상주본이 본래는 경북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에 있는 광흥사에 있었던 사실을 밝혀냈다. 결국 광흥사도 소유전 소송을 진행하였고, 검찰은 배익기를 절도 혐의로 구속하였다. 길고 복잡한 검찰조사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배익기는 상주본을 감추어 버렸으며 2015년 3월에는 배익기 집에서 화재가 났다. 그리하여 현재는 그 행방을 알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5]

시각자료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훈민정음 훈민정음 해례본 언급된다 1446
정인지 훈민정음 해례본 저술했다
세종 예의 저술했다
해례 집현전 저술했다
예의 세종실록 포함된다
예의 월인석보 포함된다
전형필 간송본 구입했다
전형필 간송미술관 세웠다
간송미술관 간송본 소장한다
긍구당 간송본 소장했다
이용준 간송본 훔쳤다
이용준 전형필 팔았다
이용준 김응수 장인이다
상주본 산송본 유사하다
배익기 상주본 발견했다 2007
조영훈 배익기 고소했다
상주본 광흥사 소장되었다
배익기 조형훈 고소했다
검찰 배익기 구속했다
광흥사 배익기 고소했다
광흥사 조영훈 고소했다
배익기 상주본 감추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446(세종,28) 훈민정음 해례본을 만들었다.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었다.
1962년 12월 훈민정음 해례본이 국보 70호로 지정되었다.
1997년 10월 훈민정음 해례본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93845 126.996834 훈민정음 해례본이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있다.

참고문헌

  • 논문
    1. 박종덕, 「"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과 과정 연구」-학계에서 바라본 '발견'에 대한 반론의 입장에서-,한국어학 권31,2006.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
  3. 훈민정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31일 확인.]
  4. 박종덕, 「"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과 과정 연구」-학계에서 바라본 '발견'에 대한 반론의 입장에서-,한국어학 권31,2006.
  5. 김일우, "1000억 주면 ‘훈민정음 상주본’ 내놓겠다고?",『한겨례』, 2015.10.09일호. 2017.03.31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