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50/ChoeEonw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77번째 줄: | 77번째 줄: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탑비]] | [[분류:탑비]] | ||
− |
2024년 4월 12일 (금) 09:38 기준 최신판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海州 廣照寺 眞澈大師塔碑) |
|
대표명칭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
한자 | 海州 廣照寺 眞澈大師塔碑 |
주소 | 황해남도 해주시 학현동 |
문화재 지정번호 |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85호 |
찬자 | 최언위(崔彦撝) |
서자 | 이환상(李奐相) |
각자 | 상신(常信)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이엄(利嚴) |
건립연대 | 937년 |
정의
황해남도 해주시 학현동 광조사(廣照寺) 터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승려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 , 870-936)의 탑비.
내용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85호로 지정되어 있는 이 비는 신라말 고려초의 승려였던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의 비로, 937년(태조 20)에 세워졌다. 높이는 2m, 너비는 1m이며, 받침돌 높이는 1m이다.[1]
태조가 '진철(眞澈)'이라는 시호와 함께 '보월승공(寶月乘空)'이란 탑비명을 지었다.[2] 비문은 문인 최언위(崔彦撝)가 지었고, 이환상(李奐相)이 썼으며, 상신(常信)이 새겨서 진철대사가 죽은 다음해인 937년(태조 20)에 세웠다. 현재 35행에 1행 77자의 비문 구성을 알 수 있다.[3] 비문은 비의 앞면에 해서(楷書)로 새겨져 있다.[4]
이 비는 귀부(龜趺), 비신, 이수(螭首)로 이루어졌다. 귀부는 용머리처럼 새겼으며, 두 눈은 부릅뜨고 입은 크게 벌린 상태이다. 거북 등 가운데에 직사각형의 비좌를 설치하고 대리석으로 된 비신을 세웠다.[5] 거북등에는 왕(王)자를 새겨 넣었다. 이수는 네 모서리 쪽으로 머리를 둔 네 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으며, 그 앞면에 비명을 새겼다. 빗머리의 밑면에는 3단의 받침이 있고 작은 연꽃잎들을 새겼다.[6]
비문
비문의 내용은 대사의 가계와 탄생에 관련된 이야기 그리고 출가와 수행 및 중국에 유학하여 운거도응(雲居道膺)의 법을 이어 귀국하고 귀국 후에 교화한 활동을 서술하였으며 입적과 비를 세우는 과정에 이은 명(銘)으로 이루어져 있다.[7]
신라말 선사들의 출가와 수계 그리고 입당 수학과 귀국 및 당시 호족들과의 관계, 그리고 개경에 가까운 해주 수미산에 산문이 설립되는 과정을 통해 본 고려 태조의 불교계 정책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일찍부터 금석 관련 문헌에 실려 알려졌고 탁본도 남아 있다.[8]
비문 보러가기 |
• "광조사진철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 관계망
- 최언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이엄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해주 광조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해주 광조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이환추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 상신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주석
- ↑ "광조사 진철대사 탑비",
『두산백과』online . - ↑ "광조사 진철대사 탑비",
『두산백과』online . - ↑ "광조사진철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광조사 진철대사 탑비",
『두산백과』online . - ↑ "광조사 진철대사 탑비",
『두산백과』online . - ↑ "황해남도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대한민국과 세계의 문화재』online , 이글루스. - ↑ "광조사진철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광조사진철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 "광조사 진철대사 탑비",
『두산백과』online . - "광조사진철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황해남도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대한민국과 세계의 문화재』online , 이글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