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 의복 반사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왕실 의복 반사도 |한자명칭=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A list of clothes paid to the servants in the public off...) |
(→내용)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1866년(병인년)에 상궁 및 나인들에게 당저고리와 작은 저고리를 지어 입을 수 있도록 옷감을 내려보낸 발기자료이다. | 1866년(병인년)에 상궁 및 나인들에게 당저고리와 작은 저고리를 지어 입을 수 있도록 옷감을 내려보낸 발기자료이다. | ||
− | + | 표지에 '병인계춘 당져고리 쟈근져고리 토쥬 생(*고한글)초 뎌포 의사(*고한글)반차(*고한글)도'라는 기록이 있어 그 용처를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기는 기존의 한지에 기록한 발기자료와는 달리 장지에 기름을 먹여 분판(粉板)처럼 글씨를 수정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병인년 계춘은 1866년(고종3) 3월이다. 1866년으로 추정되는 이유는 1882년(임오년) 왕세자 척이 혼례를 할 때 기록한 <[[임오이월가례시대전나인상격발기]](壬午二月嘉禮時大殿內人賞格件記)>에서 상격을 받은 상궁 및 나인들의 한자 이름이 본 발기에 수록된 한글 이름과 대부분 일치하기 때문이다. | |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를 치를 때 상궁 및 나인들에게 당저고리와 쟈근저고리를 해 입을 수 있도록 필요한 옷감을 하사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기의 기록에 따르면, 상궁과 나인을 비롯해 양색장, 양보기, 안소주방, 밧소주방, 생것방, 세수간, 세답방, 봉보부인, 아지에게는 당저고리와 불동을 만들 수 있는 옷감을 하사하였다. 침실상궁과 나인, 양색장, 아랫사람 14인, 봉보부인, 아지에게는 토주, 생초, 저포 등 옷감을 하사하였다. 또 봄에 입을 수 있도록 송화색 명주 저고리 옷감, 흰색 깨끼저고리 옷감, 저포 1필, 목면 1필을 하사하였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16쪽.</REF> |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를 치를 때 상궁 및 나인들에게 당저고리와 쟈근저고리를 해 입을 수 있도록 필요한 옷감을 하사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기의 기록에 따르면, 상궁과 나인을 비롯해 양색장, 양보기, 안소주방, 밧소주방, 생것방, 세수간, 세답방, 봉보부인, 아지에게는 당저고리와 불동을 만들 수 있는 옷감을 하사하였다. 침실상궁과 나인, 양색장, 아랫사람 14인, 봉보부인, 아지에게는 토주, 생초, 저포 등 옷감을 하사하였다. 또 봄에 입을 수 있도록 송화색 명주 저고리 옷감, 흰색 깨끼저고리 옷감, 저포 1필, 목면 1필을 하사하였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16쪽.</REF> | ||
−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2017년 3월 26일 (일) 13:17 판
왕실 의복 반사도 | |
영문명칭 | A list of clothes paid to the servants in the public office |
---|---|
작자 | 미상 |
간행시기 | 1866년(고종3)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2-5040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7.2×13.0cm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첩 |
표기문자 | 한글 |
개요
1866년(병인년)에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시 상궁 및 나인들에게 당저고리와 작은 저고리를 지어 입을 수 있도록 옷감을 내려보낸 발기자료이다.
내용
1866년(병인년)에 상궁 및 나인들에게 당저고리와 작은 저고리를 지어 입을 수 있도록 옷감을 내려보낸 발기자료이다. 표지에 '병인계춘 당져고리 쟈근져고리 토쥬 생(*고한글)초 뎌포 의사(*고한글)반차(*고한글)도'라는 기록이 있어 그 용처를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기는 기존의 한지에 기록한 발기자료와는 달리 장지에 기름을 먹여 분판(粉板)처럼 글씨를 수정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병인년 계춘은 1866년(고종3) 3월이다. 1866년으로 추정되는 이유는 1882년(임오년) 왕세자 척이 혼례를 할 때 기록한 <임오이월가례시대전나인상격발기(壬午二月嘉禮時大殿內人賞格件記)>에서 상격을 받은 상궁 및 나인들의 한자 이름이 본 발기에 수록된 한글 이름과 대부분 일치하기 때문이다.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를 치를 때 상궁 및 나인들에게 당저고리와 쟈근저고리를 해 입을 수 있도록 필요한 옷감을 하사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기의 기록에 따르면, 상궁과 나인을 비롯해 양색장, 양보기, 안소주방, 밧소주방, 생것방, 세수간, 세답방, 봉보부인, 아지에게는 당저고리와 불동을 만들 수 있는 옷감을 하사하였다. 침실상궁과 나인, 양색장, 아랫사람 14인, 봉보부인, 아지에게는 토주, 생초, 저포 등 옷감을 하사하였다. 또 봄에 입을 수 있도록 송화색 명주 저고리 옷감, 흰색 깨끼저고리 옷감, 저포 1필, 목면 1필을 하사하였다. [1]
관련항목
중심 | 연결정보 | 대상 |
---|---|---|
왕실 의복 반사도 | 인물 | 고종 |
왕실 의복 반사도 | 인물 | 명성황후 |
왕실 의복 반사도 | 개념 | 가례 |
왕실 의복 반사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왕실 의복 반사도 | 간행년 | 1866년 |
왕실 의복 반사도 | 간행년 | 고종3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왕실 의복 반사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7.39197 | 127.054387 |
참고문헌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1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