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조당유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망조당유사(望潮堂遺事) 1847년에 간행된 울산 출신 무신 서인충의 실기. 『망조당유사(望潮堂遺事)』는 임진왜란 때 울산과 인근...)
 
3번째 줄: 3번째 줄:
 
1847년에 간행된 울산 출신 무신 [[서인충]]의 실기.
 
1847년에 간행된 울산 출신 무신 [[서인충]]의 실기.
 
『망조당유사(望潮堂遺事)』는 임진왜란 때 울산과 인근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한 울산 출신 무신 [[서인충]](徐仁忠)[1554~1610]의 행적을 담은 실기(實記)이다. [[서인충]]의 본관은 [[달성서씨]](達城)이며, 자는 방보(邦輔), 호는 망조당(望潮堂)이다.
 
『망조당유사(望潮堂遺事)』는 임진왜란 때 울산과 인근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한 울산 출신 무신 [[서인충]](徐仁忠)[1554~1610]의 행적을 담은 실기(實記)이다. [[서인충]]의 본관은 [[달성서씨]](達城)이며, 자는 방보(邦輔), 호는 망조당(望潮堂)이다.
 +
 +
[[서인충]]의 후손 서홍병(徐弘秉)과 서이항(徐以恒) 등이 편집해 1847년에 다산사(茶山祠)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962년에 『망조당실기』 석판본이 간행되었고, 2011년에 국역본이 간행되었다.
 +
 +
 +
2권 1책의 목판본으로, 서문은 최옥이 썼고 발문은 없다. 울산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
 +
크기는 세로 33.6㎝, 가로 21.8㎝[울산박물관 소장본]이다.
 +
 +
 +
권상에는 서문과 목록에 이어 행장(行狀)과 묘갈명(墓碣銘),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동한 일을 기록한 「임진창의사적(壬辰倡義事蹟)」 등이 실려 있다. 권하에는 [[서인충]]의 공적이 현창되는 과정이 담긴 기록과 [[서인충]]이 남긴 시(詩)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
 +
임진왜란 때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된 의병 활동의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서인충]]은 많은 전공을 세워 다대포첨사, 부산진수군첨절제사에 제수되었고,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훈되었다.

2024년 2월 3일 (토) 09:41 판

망조당유사(望潮堂遺事)

1847년에 간행된 울산 출신 무신 서인충의 실기. 『망조당유사(望潮堂遺事)』는 임진왜란 때 울산과 인근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한 울산 출신 무신 서인충(徐仁忠)[1554~1610]의 행적을 담은 실기(實記)이다. 서인충의 본관은 달성서씨(達城)이며, 자는 방보(邦輔), 호는 망조당(望潮堂)이다.

서인충의 후손 서홍병(徐弘秉)과 서이항(徐以恒) 등이 편집해 1847년에 다산사(茶山祠)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962년에 『망조당실기』 석판본이 간행되었고, 2011년에 국역본이 간행되었다.


2권 1책의 목판본으로, 서문은 최옥이 썼고 발문은 없다. 울산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크기는 세로 33.6㎝, 가로 21.8㎝[울산박물관 소장본]이다.


권상에는 서문과 목록에 이어 행장(行狀)과 묘갈명(墓碣銘),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동한 일을 기록한 「임진창의사적(壬辰倡義事蹟)」 등이 실려 있다. 권하에는 서인충의 공적이 현창되는 과정이 담긴 기록과 서인충이 남긴 시(詩)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임진왜란 때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된 의병 활동의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서인충은 많은 전공을 세워 다대포첨사, 부산진수군첨절제사에 제수되었고,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