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전체노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번째 줄: | 2번째 줄: | ||
{{clickable button|[[승탑비문 노드목록]]}} | {{clickable button|[[승탑비문 노드목록]]}} | ||
+ | =='''문화유산'''==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style="width:10%"|확정||style="width:15%"|노드명||style="width:30%"|문맥||style="width:35%"|관련 노드||style="width:10%"|비고 | ||
+ | |- | ||
+ | |} | ||
+ | |||
+ | =='''인물'''==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style="width:10%"|확정||style="width:15%"|노드명||style="width:30%"|문맥||style="width:35%"|관련 노드||style="width:10%"|비고 | !style="width:10%"|확정||style="width:15%"|노드명||style="width:30%"|문맥||style="width:35%"|관련 노드||style="width:10%"|비고 | ||
7번째 줄: | 14번째 줄: | ||
|강혜원||최언위||[[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찬자. 이외 다수 비문 지음. 최치원 사촌동생.||[[형미]],[[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최치원]]|| | |강혜원||최언위||[[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찬자. 이외 다수 비문 지음. 최치원 사촌동생.||[[형미]],[[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최치원]]|| | ||
|- | |- | ||
− | | ||궁예||형미를 공경하여 태봉으로 불렀음. 왕건-궁예-형미의 정치적 구도로 형미가 살해되었다는 해석이 있음. 당시 상황이 선각대사와 법경대사탑비에 남아있음.||[[형미]],[[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 | | ||[[궁예]]||형미를 공경하여 태봉으로 불렀음. 왕건-궁예-형미의 정치적 구도로 형미가 살해되었다는 해석이 있음. 당시 상황이 선각대사와 법경대사탑비에 남아있음.||[[형미]],[[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 | |- | ||
− | | || | + | | ||[[최치원]]|| 쌍계사 진감선사비문 찬자. 최치원이 쓴 사산비명 중 3개가 국보/보물로 지정됨. 주요 찬자로서 페이지 필요 || || |
|- | |- | ||
− | | | + | | ||[[왕희지]]|| 비문의 필체 설명에서 언급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
|- | |- | ||
− | | | + | | ||[[김생]]|| 통일신라시대의 서예가[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387&cid=46658&categoryId=46658]. 비문의 필체 설명에서 언급되는 경우가 있음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
|- | |- | ||
− | | | + | | ||[[신돈]]|| || || |
+ | |} | ||
+ | |||
+ | =='''장소'''==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style="width:10%"|확정||style="width:15%"|노드명||style="width:30%"|문맥||style="width:35%"|관련 노드||style="width:10%"|비고 | ||
|- | |- | ||
− | | | + | | ||[[불교중앙박물관]]|| || || |
|- | |- | ||
− | | | + | | ||[[월정사성보박물관]]|| || || |
+ | |} | ||
+ | |||
+ | =='''개념'''==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style="width:10%"|확정||style="width:15%"|노드명||style="width:30%"|문맥||style="width:35%"|관련 노드||style="width:10%"|비고 | ||
|- | |- | ||
− | | | + | | ||육엽(六葉)||중국 선종의 6祖를 상징하는 말. 하동 쌍계사 금당에 "세계일화조종육엽(世界一花祖宗六葉)"이라는 추사 [[김정희]] 글씨의 편액이 걸려있음. 부처님이 깨달은 자리인 불법의 세계(한송이 꽃)가 초조 달마에서 6조 혜능까지 이어졌다는 의미. || [[혜능]],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하동 쌍계사]], [[김정희]] || |
|- | |- | ||
− | | ||[[ | + | | ||[https://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010&nodeId=NODE03972160&medaId=MEDA04073779 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운거도응대사(雲居道膺大師) 밑에서 수학한 신라 출신의 승려 4명을 일컫는 말. "두려울 게 없는 경지에 이른 네 명의 큰 스님"이라는 뜻. 이들 승려들은 모두 이후 고려 태조의 왕사가 됨.||[[형미|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경유|법경대사 경유(法鏡大師 慶猷)]], [[여엄|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이엄|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 [[운거도응대사(雲居道膺大師)]], [[왕건]]|| |
+ | |} | ||
+ | |||
+ | =='''사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style="width:10%"|확정||style="width:15%"|노드명||style="width:30%"|문맥||style="width:35%"|관련 노드||style="width:10%"|비고 | ||
|- | |- | ||
− | | ||[[ | + | | ||[[금성전투]]|| 왕건과 궁예가 후백제와의 금성전투를 계기로 형미를 만나게 됨. || [[형미]],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
+ | |} | ||
+ | |||
+ | =='''문헌'''==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 | !style="width:10%"|확정||style="width:15%"|노드명||style="width:30%"|문맥||style="width:35%"|관련 노드||style="width:10%"|비고 | ||
|- | |- | ||
− | | ||[[ | + | |서소리||[[조선금석총람]]||금석문 관련 문헌||모든 비문||목록을 작성하는 식으로 페이지 구성 |
|- | |- | ||
− | | ||[[ | + | |서소리||[[해동금석원]]||금석문 관련 문헌||모든 비문||목록을 작성하는 식으로 페이지 구성 |
|- | |- | ||
− | | ||[[ | + | |서소리||[[한국금석전문]]||금석문 관련 문헌||모든 비문||목록을 작성하는 식으로 페이지 구성 |
|- | |- | ||
− | | ||[[ | + | | || [[대동금석서]] || 1668년(현종 9) 이우(李俁)가 우리나라 금석문의 탑본(搨本)을 연대순으로 엮은 첩(帖). || || |
|} | |} | ||
− | + | =='''Visual Dictionary'''== | |
− | + | #'''[[탑비]]''' | |
− | + | #'''[[승탑]]''' | |
+ | #'''[[귀부]]''' | ||
+ | #'''[[이수]]''' | ||
+ | #'''[[해서]]''' | ||
+ | #'''[[행서]]''' | ||
+ | #'''[[전서]]''' | ||
+ | #'''[[비로자나불]]''' | ||
+ | #'''[[사천왕]]''' | ||
+ | #'''[[불탑]]''' | ||
+ | #'''[[석등]]''' | ||
+ | #'''[[당간지주]]''' | ||
+ | #'''[[범종]]''' | ||
+ | #'''[[수미단]]''' | ||
+ | #'''[[삼존불]] or [[삼세불]] or [[삼신불]]''' | ||
+ | #'''주불전의 현판''': [[대웅전]], [[영산전]], [[대적광전]], [[극락전]] | ||
+ | #'''[[팔상도]]'''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2017년 3월 23일 (목) 14:52 판
문화유산
확정 | 노드명 | 문맥 | 관련 노드 | 비고 |
---|
인물
확정 | 노드명 | 문맥 | 관련 노드 | 비고 |
---|---|---|---|---|
강혜원 | 최언위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찬자. 이외 다수 비문 지음. 최치원 사촌동생. | 형미,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최치원 | |
궁예 | 형미를 공경하여 태봉으로 불렀음. 왕건-궁예-형미의 정치적 구도로 형미가 살해되었다는 해석이 있음. 당시 상황이 선각대사와 법경대사탑비에 남아있음. | 형미,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
최치원 | 쌍계사 진감선사비문 찬자. 최치원이 쓴 사산비명 중 3개가 국보/보물로 지정됨. 주요 찬자로서 페이지 필요 | |||
왕희지 | 비문의 필체 설명에서 언급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
김생 | 통일신라시대의 서예가[1]. 비문의 필체 설명에서 언급되는 경우가 있음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
신돈 |
장소
확정 | 노드명 | 문맥 | 관련 노드 | 비고 |
---|---|---|---|---|
불교중앙박물관 | ||||
월정사성보박물관 |
개념
확정 | 노드명 | 문맥 | 관련 노드 | 비고 |
---|---|---|---|---|
육엽(六葉) | 중국 선종의 6祖를 상징하는 말. 하동 쌍계사 금당에 "세계일화조종육엽(世界一花祖宗六葉)"이라는 추사 김정희 글씨의 편액이 걸려있음. 부처님이 깨달은 자리인 불법의 세계(한송이 꽃)가 초조 달마에서 6조 혜능까지 이어졌다는 의미. | 혜능,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하동 쌍계사, 김정희 | ||
사무외대사(四無畏大師) | 운거도응대사(雲居道膺大師) 밑에서 수학한 신라 출신의 승려 4명을 일컫는 말. "두려울 게 없는 경지에 이른 네 명의 큰 스님"이라는 뜻. 이들 승려들은 모두 이후 고려 태조의 왕사가 됨. | 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법경대사 경유(法鏡大師 慶猷), 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 운거도응대사(雲居道膺大師), 왕건 |
사건
확정 | 노드명 | 문맥 | 관련 노드 | 비고 |
---|---|---|---|---|
금성전투 | 왕건과 궁예가 후백제와의 금성전투를 계기로 형미를 만나게 됨. | 형미,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문헌
확정 | 노드명 | 문맥 | 관련 노드 | 비고 |
---|---|---|---|---|
서소리 | 조선금석총람 | 금석문 관련 문헌 | 모든 비문 | 목록을 작성하는 식으로 페이지 구성 |
서소리 | 해동금석원 | 금석문 관련 문헌 | 모든 비문 | 목록을 작성하는 식으로 페이지 구성 |
서소리 | 한국금석전문 | 금석문 관련 문헌 | 모든 비문 | 목록을 작성하는 식으로 페이지 구성 |
대동금석서 | 1668년(현종 9) 이우(李俁)가 우리나라 금석문의 탑본(搨本)을 연대순으로 엮은 첩(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