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고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가계와 탄생) |
(→가계와 탄생)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Blockquote|국사의 휘는 보우(普愚)요 호는 태고(太古)이며 속성은 홍씨(洪氏)이니 충남 홍주(洪州) 출신이다. 아버지의 휘는 연(延)이니,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ref group="해설">고려 문산계(文散階). 중국에서는 위(魏)·진(晉) 시대부터 시작된 관계(官階)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995년에 전의대광(典儀大匡)을 개부의동삼사라고 불렀다. 1298년 숭록대부(崇祿大夫)로 개칭. 1356년에 다시 개부의동삼사라 하다가 1362년에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으로 고쳤다. '''출처: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각주 15.'''</ref> 상주국(上柱國) 문하시중(門下侍中) 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 홍양공(洪陽公)에 추증(追贈)되었다.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니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추증되었다. 부인이 어느 날 밤 태양이 가슴으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임신하여 대덕(大德) 5년 신축(辛丑) 9월 21일에 스님을 낳았다. 스님은 성동(成童)의 나이에도 영오(穎悟)함이 남달리 뛰어났다. | {{Blockquote|국사의 휘는 보우(普愚)요 호는 태고(太古)이며 속성은 홍씨(洪氏)이니 충남 홍주(洪州) 출신이다. 아버지의 휘는 연(延)이니,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ref group="해설">고려 문산계(文散階). 중국에서는 위(魏)·진(晉) 시대부터 시작된 관계(官階)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995년에 전의대광(典儀大匡)을 개부의동삼사라고 불렀다. 1298년 숭록대부(崇祿大夫)로 개칭. 1356년에 다시 개부의동삼사라 하다가 1362년에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으로 고쳤다. '''출처: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각주 15.'''</ref> 상주국(上柱國) 문하시중(門下侍中) 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 홍양공(洪陽公)에 추증(追贈)되었다.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니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추증되었다. 부인이 어느 날 밤 태양이 가슴으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임신하여 대덕(大德) 5년 신축(辛丑) 9월 21일에 스님을 낳았다. 스님은 성동(成童)의 나이에도 영오(穎悟)함이 남달리 뛰어났다. |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 ||
− | |||
− | |||
− | |||
===출가수행=== | ===출가수행=== |
2017년 3월 20일 (월) 16:19 판
보우(普愚)() | |
대표명칭 | 보우(普愚) |
---|---|
영문명칭 | Bou |
생몰년 | 1301(충렬왕 27)-1382(우왕 8) |
시호 | 원증(圓證) |
호 | 태고(太古) |
휘 | 보우(普愚) |
탑호 | 보월승공(寶月昇空) |
성씨 | 홍씨(洪氏) |
본관 | 홍주(洪州) |
출신지 | 홍주(洪州: 현재 충청남도 홍성) |
승탑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 |
승탑비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생애
가계와 탄생
국사의 휘는 보우(普愚)요 호는 태고(太古)이며 속성은 홍씨(洪氏)이니 충남 홍주(洪州) 출신이다. 아버지의 휘는 연(延)이니,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해설 1] 상주국(上柱國) 문하시중(門下侍中) 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 홍양공(洪陽公)에 추증(追贈)되었다.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니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추증되었다. 부인이 어느 날 밤 태양이 가슴으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임신하여 대덕(大德) 5년 신축(辛丑) 9월 21일에 스님을 낳았다. 스님은 성동(成童)의 나이에도 영오(穎悟)함이 남달리 뛰어났다. | ||
출처: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
출가수행
입당유학
귀국 및 활동
입적
주석
용어해설
- ↑ 고려 문산계(文散階). 중국에서는 위(魏)·진(晉) 시대부터 시작된 관계(官階)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995년에 전의대광(典儀大匡)을 개부의동삼사라고 불렀다. 1298년 숭록대부(崇祿大夫)로 개칭. 1356년에 다시 개부의동삼사라 하다가 1362년에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으로 고쳤다. 출처: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각주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