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그래프)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작가정보_김지선 | {{작가정보_김지선 | ||
− | |국문명 = 이종상 | + | |국문명 = 이종상<ref>[http://www.naa.go.kr/member/view.asp?num=111&nPage=1&tot_srchquery=srch_col=0;srch_nm=%C0%CC%C1%BE%BB%F3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소개 온라인서비스] (2017월 3월 14일 확인)</ref> |
|한자명 = 李鍾祥 | |한자명 = 李鍾祥 | ||
|영문명 = Lee Jong sang | |영문명 = Lee Jong sang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분야 = 동양화가 | |분야 = 동양화가 | ||
|대표작품 = [http://www.daarts.or.kr/visual-arts-detail 독도의 기 II] | |대표작품 = [http://www.daarts.or.kr/visual-arts-detail 독도의 기 II] | ||
− | |||
|image = 이종상.jpg | |image = 이종상.jpg | ||
}} | }} |
2017년 3월 16일 (목) 14:07 판
작가소개
이종상 화백은 부친의 영향으로 유년기부터 미술에 관심을 가져 초등학교 때부터 특별지도를 받았고 고등학교 시절에는 건축과 지망생으로 理科班에서 졸업을 했다. 교장의 권유로 서울대학교 미대에 입학하여 학생신분으로 국전에 출품, 연속 특선함으로써 화단의 주목을 받으며 졸업과 동시에 국전사상 최연소 추천작가가 된다. 60년대 초부터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는 고구려벽화 연구에 몰입하면서 많은 논문을 발표, 한국미술의 뿌리임을 확신한다.
고구려 벽화미술에 기초한 그의 한국성 탐구는 현대진경의 시대를 열면서 동양화의 새로운 양식을 전개해간다. 1977년, 그는 독도를 문화로 보듬어 지키려고 화가로는 처음으로 단신 입도하여 독도진경을 전시함으로써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고 그때부터 독도문화심기운동이 시작된다. 그의 진경은 독도를 정점으로 종래 三遠視方式에서 벗어나 裏遠視方式을 도입하면서 80년대 말부터 자연과 사물의 根源形象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실기와 이론 공부를 계속하여 비교미학과 동양철학으로 끝내 박사학위를 취득함으로써 현역 화가로서 첫 번째로 학위소지자의 기록을 남긴다.
화단 데뷔시절의 사실적 묘사에 의한 작품으로부터 70년대에 겸재 정선의 진경을 완성하기 위해 원형상으로 우리의 자생성을 드러낸 한그림(한국화) 창조에 일생을 걸었고, 동북공정에 앞서 일찍이 고구려 벽화를 통해 통일을 대비한 문화적 동질성회복을 기대했었다. 또 그는 ‘독도를 문화로 지키자’며 십여 차례 섬을 찾아다니며 의식이 있는 작가로써 일련의 “원형상” 연작 등 수묵, 채색, 극사실에서 추상 표현주의에 이르기까지 그가 섭렵하지 않은 조형 세계가 없고 그가 다뤄보지 않은 재료가 없다. 그런 그의 작업이 새로운 전환점에 설 때마다 그가 내보인 조형들은 우리 현대 미술의 발화점이자 기폭제가 되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그가 오랫동안 천착해 온 원형상 시리즈는 태초의 혼돈을 보여 주며 인간의 근원적 고향인 자연의 원초적 자취를 형상화함으로써 자연과 인간의 진정한 만남, 자연의 생성과 삶의 교감을 추구하는 동시에 뿌리에 대한 깊은 성찰로 유도한다. 서양의 모방이 아닌 우리의 자생성을 찾으려는 그의 노력이 또 어떤 방향으로 변화 할지 기대해 볼일이다.
학력
- 196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 1978 동국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과정
경력
- 1965 서울예술고등학교 미술과 강사(~73)
- 1968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시간강사(~82)
- 1972 한국벽화연구소 소장
- 1990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자문위원(~92)
- 199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2003)
- 1998 서울시립미술관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2003)
- 1999 고구려벽화연구차 방북, 서울대학교박물관장(~2003)
- 2001 문화재위원회 박물관분과위원회 전문위원
- 2001 제2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심사위원
- 2002 서울대학교미술관 초대관장,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이사
- 200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 2003 월간미술상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
- 2004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2005 상명대학교 석좌교수
- 2006~現 삼성, 일민, 고촌 문화재단 이사
- 2008~現 서울대학교 명예교수협의회 이사
전시
- 1963 제1회 東京國際美術전람회 (上野の森 美術館, 일본)
- 1969 한국美術大賞展 (국립현대미술관)
- 1973 한국現役作家 100인 選定展 (德壽官미술관)
- 1974 아시아 美術交流展 (上野の森 美術館, 일본)
- 1975 제1회 U.T.D 大學 초대 개인전 (University of Texas)
- 1976 한국 東洋畵大展 (국립현대미술관)
- 1981 ′81 Drawing 초대전 (Brooklyn미술관, 미국)
- 1985 現代美術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아시아現代彩墨展 (국립현대미술관/ 文藝振興院)
- 1988 [논문] 자생적 현대회화로서의 새 한국화, 그 총체적 전망 등 다수
- 1988 제24회 올림픽기념 國際現代繪畵展 (국립현대미술관)
- 1989 제4회 이종상 繪畵展-韓國畵의 새 排戰, 새壁畵 (중앙일보)
- 1991 한국現代繪畵展 (Zagreab, Yugoslavia 巡廻展, 유럽)
- 1992 韓國現代美術展 (선재미술관 / 下關시립미술관, 일본)
- 1993 現代美術 100년의 熱情전 (현대화랑)
- 1994 SAGA-國際版畵展 초대개인전 (PARC미술관, 프랑스)
- 1995 베니스 비엔날레 韓國現代繪畵 특별전
- 1995 The Tiger′s Tail (Mudima 미술관, 이태리)
- 1996 한국 抽象繪畵의 精神展 (호암미술관)
- 1997 韓國作家 3인전 (Hall Charles V Carrousel du Louvre, 프랑스)
- 1998 프랑스 월드컵記念企劃 世界 80人 畵家展 (Galerie Enrico Navarra, 프랑스)
- 1999 [개인전] 제1회 개인전 “일랑 이종상” 한그림 40년(가나아트센터)
- 1999 [개인전] FlAC 90. 프랑스 국제미술견본 전시장 “초대개인전”(Paris)
- 2000 An Aspect of Korean Contemporary Art (국립현대미술관)
- 2001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2001 한 그림 40년 (가나아트센터)
- 2001 한국현대미술의 자생성-일랑 이종상
- 2002 한민족의 빛과 색전 (서울시립미술관, 일본)
- 2003 [개인전] 제1회 정년기념 초대개인전(서울대학교)
- 2003 정년기념 개인전 (서울대학교)
- 2003 제1회 북경 비엔날레 (북경박물관)
- 2006 광주비엔날레 본전시 참여작가
- 2007 대전시립미술관 '한국현대미술의 거장- 이종상전
- 2008 부산비엔날레 특별전 '미술은 살아있다' 초대작가
- 2012 서세옥, 민경갑, 이중상-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삼인삼색전
수상
- 1961 제10회 ≪국전≫ 동양화부 특선
- 1962 제1회 ≪신인예술상≫ 최고특상(박정희국가재건최고회의의장상 수상)
- 1962 제11회 ≪국전≫ 무감사 특선(내각수반상 수상)
- 1963 제12회 ≪국전≫ 무감사 특선(문교부장관상 수상)
- 2003 은관문화문장 서훈(대한민국 대통령)
주요작품
민족기록화
그래프
관련 항목
A항목 | B항목 | 관계 |
---|---|---|
이종상 |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A는 B를 그렸다 |
이종상 | 이종상-태종무열왕 | A는 B를 그렸다 |
이종상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A는 B를 그렸다 |
이종상 |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 A는 B를 그렸다 |
이종상 | 표준영정 | A는 B를 그렸다 |
이종상 | 대한민국예술원 | A는 B의 회원이다 |
이종상 | 일랑미술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이종상 | 벽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참고문헌
- 사이트
"이종상", 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소개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4일 확인)
"이종상", 예술자료원,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4일 확인)
"이종상", doopedia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4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