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친왕 이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생애)
34번째 줄: 34번째 줄:
 
=='''내용'''==
 
=='''내용'''==
 
===생애===
 
===생애===
휘는 은(垠), 아명은 유길(酉吉)이고, 자는 광천(光天), 아호는 명휘(明暉), 명신재(明新齋)이며, 본관은 전주이다. 사후에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문인무장지효명휘의민황태자(文仁武莊至孝明暉懿愍皇太子)라는 시호를 올렸으나 정식 시호가 아닌 사시이다. 황태자로 책봉되기 이전의 작호인 영친왕(英親王)으로도 알려져 있다.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조선 고종|고종]]의 일곱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순헌황후|순헌황귀비 엄씨]]이다. [[조선 순종|순종]]과 [[의친왕 이강|의친왕]], [[덕혜옹주]]와는 이복 형제이다. 1897년에 [[경운궁]] 숙옹재에서 태어나 [[의친왕 이강|의친왕]]을 제치고 병약하여 아들이 없었던 [[조선 순종|순종]]의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907년에 [[이토 히로부미]]에 의하여 강제로 일본 유학을 떠났다. 1910년에 한일 병합으로 대한제국 황제가 왕으로 격하되면서 왕세자가 되었으며, 1920년에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와 정략혼인을 하였다. 1926년에 [[조선 순종|순종]]이 승하하자 왕위를 계승하여 제2대 창덕궁 이왕(李王)이 되었다.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일본 육군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일본 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계급이 중장에 이르렀다. 1963년에서야 혼수상태인 채로 대한민국에 영구 귀국하였다. 그 후 병상에서 생활하다가 1970년에 [[창덕궁 낙선재]]에서 사망하였다. 유해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의 홍유릉에 안장되었으며, 원호는 영원(英園)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98%EB%AF%BC%ED%83%9C%EC%9E%90 의민태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휘는 은(垠), 아명은 유길(酉吉)이고, 자는 광천(光天), 아호는 명휘(明暉)· 명신재(明新齋)이며, 본관은 전주이다. 사후에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문인무장지효명휘의민황태자(文仁武莊至孝明暉懿愍皇太子)라는 시호를 올렸으나 정식 시호가 아닌 사시이다. 황태자로 책봉되기 이전의 작호인 영친왕(英親王)으로도 알려져 있다.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조선 고종|고종]]의 일곱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순헌황후|순헌황귀비 엄씨]]이다. [[조선 순종|순종]]과 [[의친왕 이강|의친왕]], [[덕혜옹주]]와는 이복 형제이다. 1897년에 [[경운궁]] 숙옹재에서 태어나 [[의친왕 이강|의친왕]]을 제치고 병약하여 아들이 없었던 [[조선 순종|순종]]의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907년에 [[이토 히로부미]]에 의하여 강제로 일본 유학을 떠났다. 1910년에 한일 병합으로 대한제국 황제가 왕으로 격하되면서 왕세자가 되었으며, 1920년에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와 정략혼인을 하였다. 1926년에 [[조선 순종|순종]]이 승하하자 왕위를 계승하여 제2대 창덕궁 이왕(李王)이 되었다.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일본 육군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일본 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계급이 중장에 이르렀다. 1963년에서야 혼수상태인 채로 대한민국에 영구 귀국하였다. 그 후 병상에서 생활하다가 1970년에 [[창덕궁 낙선재]]에서 사망하였다. 유해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의 홍유릉에 안장되었으며, 원호는 영원(英園)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D%98%EB%AF%BC%ED%83%9C%EC%9E%90 의민태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친일논란===
 
===친일논란===

2018년 1월 13일 (토) 20:29 판

영친왕 이은(英親王 李垠)
"의민태자",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Inc.
대표명칭 영친왕 이은
한자표기 英親王 李垠
생몰년 1897년-1970년
본관 전주
이칭 의민태자(懿愍太子)
시호 문인무장지효명휘의민황태자(文仁武莊至孝明暉懿愍皇太子)
광천(光天)
시대 대한제국/일제 강점기/대한민국
국적 대한민국
조선 고종
순헌황후
자녀 이진, 이구
성격 왕자
유형 인물



정의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다.

내용

생애

휘는 은(垠), 아명은 유길(酉吉)이고, 자는 광천(光天), 아호는 명휘(明暉)· 명신재(明新齋)이며, 본관은 전주이다. 사후에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문인무장지효명휘의민황태자(文仁武莊至孝明暉懿愍皇太子)라는 시호를 올렸으나 정식 시호가 아닌 사시이다. 황태자로 책봉되기 이전의 작호인 영친왕(英親王)으로도 알려져 있다.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고종의 일곱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순헌황귀비 엄씨이다. 순종의친왕, 덕혜옹주와는 이복 형제이다. 1897년에 경운궁 숙옹재에서 태어나 의친왕을 제치고 병약하여 아들이 없었던 순종의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907년에 이토 히로부미에 의하여 강제로 일본 유학을 떠났다. 1910년에 한일 병합으로 대한제국 황제가 왕으로 격하되면서 왕세자가 되었으며, 1920년에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와 정략혼인을 하였다. 1926년에 순종이 승하하자 왕위를 계승하여 제2대 창덕궁 이왕(李王)이 되었다.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일본 육군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일본 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계급이 중장에 이르렀다. 1963년에서야 혼수상태인 채로 대한민국에 영구 귀국하였다. 그 후 병상에서 생활하다가 1970년에 창덕궁 낙선재에서 사망하였다. 유해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의 홍유릉에 안장되었으며, 원호는 영원(英園)이다.[1]

친일논란

이은이 대한제국의 황태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제국 육군에 복무하였고, 일본 황족과 결혼하였으며, 일본 황족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는 것에 대해서 친일 논란이 있다. 2009년에 『친일인명사전』을 발간한 민족문제연구소는 사실상 볼모의 처지였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인명사전 명단에서 제외하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친왕 이은 조선 고종 A는 B의 아들이다 A ekc:hasFather B
순헌황후 영친왕 이은 A는 B의 어머니이다 A ekc:hasSon B
조선 고종 순헌황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조선 고종 조선 순종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조선 고종 의친왕 이강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조선 고종 조선 고종 A는 B의 딸이다 A ekc:hasFather B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 영친왕 이은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순비책봉의궤 순헌황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의민태자",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Inc.
  2. "의민태자",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Inc.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신조 미치히코, 「이은(영친왕)-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의 결혼문제와 왕족의 양면성」, 『역사비평』 75, 역사문제연구소, 312-343쪽, .
  • 웹자원
    • "의민태자",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