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익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학문세계)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할머니 감정(甘丁)이 [[안돈후]](安敦厚)의 천첩 소생이었으므로 신분이 미천하였다. 그러나 아버지 [[송사련]]이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공으로 출세하여 그의 형제들은 유복한 환경에서 교육받았다. 재능이 비상하고 문장이 뛰어나 아우 [[송한필]](宋翰弼)과 함께 일찍부터 문명을 떨쳤고, 명문 자제들과 폭넓게 교유하였다.<ref>김용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011 송익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록 서출(庶出)이라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못했으나 아버지의 후광으로 당대 최고의 문장가들과 어울렸다. 정치적으로는 서인에 속했으며, [[심의겸]](沈義謙), [[이이]](李珥), [[성혼]](成渾), [[정철]](鄭澈) 등과 교우하였고 파주의 5인방으로 불리며 정치적 의리를 함께하는 동지가 되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8395 송익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사후 지평(持平)에 추증되었으며, 문집에 『[[구봉집]](龜峯集)』이 있다. | 할머니 감정(甘丁)이 [[안돈후]](安敦厚)의 천첩 소생이었으므로 신분이 미천하였다. 그러나 아버지 [[송사련]]이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공으로 출세하여 그의 형제들은 유복한 환경에서 교육받았다. 재능이 비상하고 문장이 뛰어나 아우 [[송한필]](宋翰弼)과 함께 일찍부터 문명을 떨쳤고, 명문 자제들과 폭넓게 교유하였다.<ref>김용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011 송익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록 서출(庶出)이라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못했으나 아버지의 후광으로 당대 최고의 문장가들과 어울렸다. 정치적으로는 서인에 속했으며, [[심의겸]](沈義謙), [[이이]](李珥), [[성혼]](成渾), [[정철]](鄭澈) 등과 교우하였고 파주의 5인방으로 불리며 정치적 의리를 함께하는 동지가 되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8395 송익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사후 지평(持平)에 추증되었으며, 문집에 『[[구봉집]](龜峯集)』이 있다. | ||
===학문세계=== | ===학문세계=== | ||
− | 율곡(栗谷) [[이이]](李珥), 우계(牛溪) [[성혼]](成渾) 등과 교유하며 성리학을 연구했으며, 특히 예학에 밝았다.<ref>"송익필", 『네이버고전문학사전』, 권영민,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287&cid=41708&categoryId=44531 송익필]", 고전문학사전-한국문학,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그 문하에서 [[김장생]], [[김집]](金集), [[정엽]](鄭曄), [[서성]](徐渻), [[정홍명]](鄭弘溟), [[강찬]](姜澯), [[김반]](金槃), [[허우]](許雨) 등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시와 문장에 모두 뛰어나 [[이산해]](李山海), [[최경창]](崔慶昌), [[백광홍]](白光弘), [[최립]], [[이순인]](李純仁), [[윤탁연]](尹卓然), [[하응림]](河應臨) 등과 함께 [[조선 선조|선조]]대의 | + | 율곡(栗谷) [[이이]](李珥), 우계(牛溪) [[성혼]](成渾) 등과 교유하며 성리학을 연구했으며, 특히 예학에 밝았다.<ref>"송익필", 『네이버고전문학사전』, 권영민,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287&cid=41708&categoryId=44531 송익필]", 고전문학사전-한국문학,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그 문하에서 [[김장생]], [[김집]](金集), [[정엽]](鄭曄), [[서성]](徐渻), [[정홍명]](鄭弘溟), [[강찬]](姜澯), [[김반]](金槃), [[허우]](許雨) 등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시와 문장에 모두 뛰어나 [[이산해]](李山海), [[최경창]](崔慶昌), [[백광홍]](白光弘), [[최립]], [[이순인]](李純仁), [[윤탁연]](尹卓然), [[하응림]](河應臨) 등과 함께 [[조선 선조|선조]]대의 '8문장가'로 불렸다.<ref>김용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1011 송익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8년 1월 12일 (금) 16:15 기준 최신판
송익필(宋翼弼) | |
대표명칭 | 송익필 |
---|---|
한자표기 | 宋翼弼 |
생몰년 | 1534년-1599년 |
본관 | 여산(礪山) |
시호 | 문경(文敬) |
호 | 구봉(龜峰),현승(玄繩) |
자 | 운장(雲長) |
출생지 | 한성 |
시대 | 조선 |
국적 | 조선 |
대표저서 | 구봉집(龜峯集) |
부 | 송사련(宋祀連) |
모 | 연일 정씨 |
유형 | 학자 |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여산(礪山)이고 자는 운장(雲長)이며 호는 구봉(龜峯)이다. 할아버지는 직장(直長) 송인(宋璘)이고, 아버지는 판관 송사련(宋祀連)이다. 어머니는 연일정씨(延日鄭氏)이다.
생애
할머니 감정(甘丁)이 안돈후(安敦厚)의 천첩 소생이었으므로 신분이 미천하였다. 그러나 아버지 송사련이 신사무옥(辛巳誣獄)을 일으킨 공으로 출세하여 그의 형제들은 유복한 환경에서 교육받았다. 재능이 비상하고 문장이 뛰어나 아우 송한필(宋翰弼)과 함께 일찍부터 문명을 떨쳤고, 명문 자제들과 폭넓게 교유하였다.[1] 비록 서출(庶出)이라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못했으나 아버지의 후광으로 당대 최고의 문장가들과 어울렸다. 정치적으로는 서인에 속했으며, 심의겸(沈義謙), 이이(李珥), 성혼(成渾), 정철(鄭澈) 등과 교우하였고 파주의 5인방으로 불리며 정치적 의리를 함께하는 동지가 되었다.[2] 사후 지평(持平)에 추증되었으며, 문집에 『구봉집(龜峯集)』이 있다.
학문세계
율곡(栗谷) 이이(李珥), 우계(牛溪) 성혼(成渾) 등과 교유하며 성리학을 연구했으며, 특히 예학에 밝았다.[3] 그 문하에서 김장생, 김집(金集), 정엽(鄭曄), 서성(徐渻), 정홍명(鄭弘溟), 강찬(姜澯), 김반(金槃), 허우(許雨) 등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시와 문장에 모두 뛰어나 이산해(李山海), 최경창(崔慶昌), 백광홍(白光弘), 최립, 이순인(李純仁), 윤탁연(尹卓然), 하응림(河應臨) 등과 함께 선조대의 '8문장가'로 불렸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장생 | 송익필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김집 | 송익필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정엽 | 송익필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서성 | 송익필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정홍명 | 송익필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강찬 | 송익필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김반 | 송익필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허우 | 송익필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송익필 | 이이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송익필 | 성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송익필 | 심의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송익필 | 정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구봉집 | 송익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기호학파 | 송익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기호학파 | 이이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기호학파 | 성혼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김용덕, "송익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송익필",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송익필", 『네이버고전문학사전』, 권영민, 2004. 온라인 참조: "송익필", 고전문학사전-한국문학,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용덕, "송익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더 읽을거리
- 김준형, "송익필",
『한국민속문학사전』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작성일: 2016년 11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