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상정거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관계정보)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 [[퇴우이선생진적첩]] || [[이영재]] || A는 B에게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퇴우이선생진적첩]] || [[이영재]] || A는 B에게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 | |- | ||
− | | [[ | + | | [[퇴우이선생진적첩]]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 |- | ||
| [[삼성미술관 leeum]] || [[퇴우이선생진적첩]]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삼성미술관 leeum]] || [[퇴우이선생진적첩]]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2018년 1월 8일 (월) 20:31 판
계상정거도 (溪上靜居圖) |
|
대표명칭 | 계상정거도 |
---|---|
한자표기 | 溪上靜居圖 |
시대 | 1746년 |
소장처 | 삼성박물관 leeum |
관련인물 | 정선 |
관련유물유적 | 안동 계상서당 |
정의
정선이 그린 풍경화이다.
내용
이황이 후학을 양성하던 안동 계상서당과 그 주변을 그린 겸재 정선의 풍경화이다. 서당 안에 이황이 앉아있는 모습이 보인다. 『퇴우이선생진적첩』(보물 제585호)에 담겨 있으며 이영재가 소장하고 있었다. 이영재가 국립중앙박물관에 기탁하였다가 2007년 천원권지폐의 뒷면에 실리면서 위작과 훼손논란에 휩싸였다.[1] 2008년 이동천이 「계상정거도」가 위작임을 주장했지만 문화재청에서는 과학적 검증을 거쳐 진작이란 결론을 내렸다. 이후 2012년 삼성문화재단에서 경매에 나온 『퇴우이선생진적첩』을 매입하였다.[2]
지식 관계망
- 이황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안동 계상서당 | 이황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계상정거도 | 안동 계상서당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계상정거도 | 퇴우이선생진적첩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퇴우이선생진적첩 | 이영재 | A는 B에게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퇴우이선생진적첩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삼성미술관 leeum | 퇴우이선생진적첩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정선 | 계상정거도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계상정거도 | 천원권지폐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주석
- ↑ 이향휘, "천원 지폐 그림 '계상정거도' 새 주인은 삼성문화재단", 『매일경제』, 작성일: 2012년 11월 13일.
- ↑ 김지훈, "한 때 논란 '1000원 화폐 도안'...리움서 첫 공개", 『머니투데이』, 작성일: 2016년 10월 20일.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이향휘, "천원 지폐 그림 '계상정거도' 새 주인은 삼성문화재단", 『매일경제』, 작성일: 2012년 11월 13일.
- 김지훈, "한 때 논란 '1000원 화폐 도안'...리움서 첫 공개", 『머니투데이』, 작성일: 2016년 10월 20일.
- "계상정거(퇴우이선생 진적첩 중)", 미술작품,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