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소수서원 현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23번째 줄: 23번째 줄:
  
 
==정의==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영주 소수서원|소수서원(紹修書院)]]에 있는 [[조선 명종]] 때의 현판.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영주 소수서원|소수서원(紹修書院)]]에 걸려 있는 [[조선 명종]] 때의 현판이다.
  
 
==내용==
 
==내용==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인 [[영주 소수서원|소수서원]]의 현판으로, 사액서원으로 될 당시 조선시대 [[조선 명종|명종]]이름을 지어 그것을 직접 것이다. 사액서원이란 임금이 이름을 지어 그 이름을 적은 현판과 그에 따른 서적·토지·노비 등을 나라에서 내려준 서원을 말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300000,37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조선 명종|명종]] 때 왕명을 내려 서원 이름을 짓고 왕이 직접 현판을 써서 하사한 것이다. 이를 사액서원이라 하는데 임금이 지은 서원 이름을 적은 현판과 그에 따른 서적·토지·노비 등을 나라에서 내려주는 것을 말한다. <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300000,37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우리나라의 서원은 조선시대인 1543년([[조선 중종|중종]] 38)에 풍기군수(豊基郡守) [[주세붕|주세붕(周世鵬)]]이 세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시초이다. 그뒤 풍기군수로 부임한 [[이황|이황(李滉)]]의 건의에 따라 1550년([[조선 명종|명종]] 5) [[조선 명종]]이 [[영주 소수서원|소수서원]]이라는 현판과 서적을 하사하고, 서원 소속의 토지와 노비에 대한 면세·면역(免役)의 특권을 내림으로써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1106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소수서원의 시초는 조선시대인 1543년([[조선 중종|중종]] 38)에 풍기군수(豊基郡守) [[주세붕|주세붕(周世鵬)]]이 세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이다. 뒤를 이어 풍기군수로 부임한 [[이황|이황(李滉)]]의 건의에 따라 1550년([[조선 명종|명종]] 5) [[조선 명종]]이 [[영주 소수서원|소수서원]]이라는 현판과 서적을 하사하고, 서원 소속의 토지와 노비에 대한 면세·면역(免役)의 특권을 내림으로써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1106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영주 소수서원|소수서원]]이라는 명칭은 당시 대제학 [[신광한|신광한(申光漢)]]이 왕명을 받고 서원의 명칭을 정할 때, 이미 무너진 교학(敎學)을 다시 이어 닦게 하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이다. 현판은 검은 바탕에 양각한 글씨에 금칠을 하고 테두리는 화려하게 장식되었다.<ref>김용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128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영주 소수서원|소수서원]]이라는 명칭은 당시 대제학 [[신광한|신광한(申光漢)]]이 왕명을 받고 서원의 명칭을 정할 때, 이미 무너진 교학(敎學)을 다시 이어 닦게 하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이다. 현판은 검은 바탕에 양각한 글씨에 금칠을 하고 테두리는 화려하게 장식되었다.<ref>김용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7128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8년 1월 4일 (목) 21:49 판

소수서원 현판
(紹修書院 懸板)
대표명칭 소수서원 현판
한자표기 紹修書院 懸板
이칭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明宗御筆紹修書院懸板)
시대 조선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0호
지정일 2001년 11월 01일
관련인물 주세붕, 조선 명조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수서원(紹修書院)에 걸려 있는 조선 명종 때의 현판이다.

내용

명종 때 왕명을 내려 서원 이름을 짓고 왕이 직접 현판을 써서 하사한 것이다. 이를 사액서원이라 하는데 임금이 지은 서원 이름을 적은 현판과 그에 따른 서적·토지·노비 등을 나라에서 내려주는 것을 말한다. [1]

소수서원의 시초는 조선시대인 1543년(중종 38)에 풍기군수(豊基郡守) 주세붕(周世鵬)이 세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이다. 그 뒤를 이어 풍기군수로 부임한 이황(李滉)의 건의에 따라 1550년(명종 5) 조선 명종소수서원이라는 현판과 서적을 하사하고, 서원 소속의 토지와 노비에 대한 면세·면역(免役)의 특권을 내림으로써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2]

소수서원이라는 명칭은 당시 대제학 신광한(申光漢)이 왕명을 받고 서원의 명칭을 정할 때, 이미 무너진 교학(敎學)을 다시 이어 닦게 하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이다. 현판은 검은 바탕에 양각한 글씨에 금칠을 하고 테두리는 화려하게 장식되었다.[3]

지식 관계망

  • 안향과 주세붕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소수서원 현판 조선 명조 A는 B가 썼다 A ekc:writer B
소수서원 현판 영주 소수서원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소수서원 현판 신광한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소수서원 현판 이황 A는 B에 기여하였다 A dcterms:contributor B

주석

  1.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두산백과』online.
  3. 김용만,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