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국대장공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31번째 줄: 31번째 줄:
  
 
=='''정의'''==
 
=='''정의'''==
고려 제31대 [[고려 공민왕|공민왕]]의 정비(正妃).
+
고려 제31대 [[고려 공민왕|공민왕]]의 정비(正妃)이다.
 
=='''내용'''==
 
=='''내용'''==
원나라 공주출신으로 위왕(魏王)의 딸이며 이름은 보탑실리(寶塔失里)라고 했다.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는 그 시호(諡號)이다.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대군으로서 원나라에 있을 때 결혼하여 승의공주(承懿公主)로 책봉되었다.<ref>김성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654 노국대장공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원나라 공주출신으로 위왕(魏王)의 딸이며 이름은 보르지긴 보타슈리[寶塔失里]이다.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는 그 시호(諡號)이다.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대군으로서 원나라에 있을 때 결혼하여 승의공주(承懿公主)로 책봉되었다.<ref>김성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654 노국대장공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1349년([[고려 충정왕]] 1) 원나라에서 [[고려 공민왕|공민왕]]과 결혼하였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670 노국대장공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원나라의 강력한 후원으로 [[고려 충정왕|충정왕]]을 퇴위시킨 후 공민왕과 함께 귀국하였다. [[홍건적의 난|홍건적(紅巾賊)의 난]]으로 복주(福州)에 피난하였다가, 1363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2) 개경으로 돌아오는 길에 [[흥왕사의 변|흥왕사(興王寺)의 변]]이 일어나 화를 입을 뻔하였으나 침착하게 행동하여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위기를 모면하도록 하였다.<ref>김성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654 노국대장공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349년([[고려 충정왕|충정왕]] 1) 원나라에서 [[고려 공민왕|공민왕]]과 결혼한 후,<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670 노국대장공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원나라의 강력한 후원으로 [[고려 충정왕|충정왕]]을 퇴위시켰고, 왕이 되자 노국대장공주와 함께 귀국했다. 공주는 [[홍건적의 난|홍건적(紅巾賊)의 난]]으로 복주(福州)에 피난하였다가, 1363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2) 개경으로 돌아오는 길에 [[흥왕사의 변|흥왕사(興王寺)의 변]]이 일어나 화를 입을 뻔하였으나 침착하게 행동하여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위기를 모면하도록 하였다.<ref>김성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654 노국대장공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노국대장공주는 1365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4)에 난산(難産)으로 죽었다. [[고려 공민왕|공민왕]]은 그녀를 매우 사랑하여 그녀가 죽은 후로 정사(政事)를 돌보지 않았으며, 친히 [[노국대장공주진|왕비의 진영(眞影)]]을 그려 벽에 걸고 밤낮 바라보면서 울었다. 또 그녀의 영(靈)을 위로해 주기 위해 혼제(魂祭)를 지냈으며, 그 진영을 모시기 위해 장려한 영전(影殿)을 지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670 노국대장공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또한 능을 호화스럽게 꾸며 장사지내고 '정릉(正陵)'이라 명칭하고, [[논산 영암사|영암사(靈巖寺)]]를 공주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았다.<ref>김성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654 노국대장공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노국대장공주는 1365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4)에 난산(難産)으로 죽었다. [[고려 공민왕|공민왕]]은 그녀를 매우 사랑하여 그녀가 죽은 후로 정사(政事)를 돌보지 않았으며, 친히 [[노국대장공주진|왕비의 진영(眞影)]]을 그려 벽에 걸고 밤낮 바라보면서 울었다. 또 그녀의 영(靈)을 위로해 주기 위해 혼제(魂祭)를 지냈으며, 그 진영을 모시기 위해 장려한 영전(影殿)을 지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670 노국대장공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또한 능을 호화스럽게 꾸며 장사지내고 '정릉(正陵)'이라 명칭하고, [[논산 영암사|영암사(靈巖寺)]]를 공주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았다.<ref>김성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654 노국대장공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8년 1월 4일 (목) 19:14 기준 최신판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대표명칭 노국대장공주
한자표기 魯國大長公主
생몰년 ?-1365년
이칭 보탑실리(普塔失里),승의공주(承懿公主), 인덕태후(仁德太后)
시호 인덕공명자예선안휘의노국대장공주(仁德恭明慈睿宣安徽懿魯國大長公主)
시대 고려시대
국적 원나라
대표직함 왕비
배우자 고려 공민왕
원나라 위왕



정의

고려 제31대 공민왕의 정비(正妃)이다.

내용

원나라 공주출신으로 위왕(魏王)의 딸이며 이름은 보르지긴 보타슈리[寶塔失里]이다.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는 그 시호(諡號)이다. 공민왕이 대군으로서 원나라에 있을 때 결혼하여 승의공주(承懿公主)로 책봉되었다.[1]
1349년(고려 충정왕 1) 원나라에서 공민왕과 결혼하였다.[2] 원나라의 강력한 후원으로 충정왕을 퇴위시킨 후 공민왕과 함께 귀국하였다. 홍건적(紅巾賊)의 난으로 복주(福州)에 피난하였다가, 1363년(공민왕 12) 개경으로 돌아오는 길에 흥왕사(興王寺)의 변이 일어나 화를 입을 뻔하였으나 침착하게 행동하여 공민왕이 위기를 모면하도록 하였다.[3]

노국대장공주는 1365년(공민왕 14)에 난산(難産)으로 죽었다. 공민왕은 그녀를 매우 사랑하여 그녀가 죽은 후로 정사(政事)를 돌보지 않았으며, 친히 왕비의 진영(眞影)을 그려 벽에 걸고 밤낮 바라보면서 울었다. 또 그녀의 영(靈)을 위로해 주기 위해 혼제(魂祭)를 지냈으며, 그 진영을 모시기 위해 장려한 영전(影殿)을 지었다.[4] 또한 능을 호화스럽게 꾸며 장사지내고 '정릉(正陵)'이라 명칭하고, 영암사(靈巖寺)를 공주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았다.[5]

지식 관계망

  • 고려 공민왕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려 공민왕 노국대장공주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Son B
노국대장공주 흥왕사의 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노국대장공주 노국대장공주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노국대장공주진 고려 공민왕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주석

  1. 김성준, "노국대장공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노국대장공주", 『두산백과』online.
  3. 김성준, "노국대장공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노국대장공주", 『두산백과』online.
  5. 김성준, "노국대장공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