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수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본관은 장수(長水) | + | ===가계=== |
− | + | 본관은 장수(長水)이고 자는 수효(秀孝, 『세종실록(世宗實錄)』에는 계효(季孝)로 되어 있다), 호는 나부(懦夫)이다. [[황균비|황균비(黃均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릉대도호부사 [[황군서|황군서(黃君瑞)]]이고, 아버지는 세종조의 명상 영의정부사 [[황희|황희(黃喜)]]이며, 어머니는 [[양진|양진(楊震)]]의 딸이다.<ref>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221 황수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1467년([[조선 세조|세조)]] 영의정에 [[황희]]의 셋째 아들 황수신이 발탁 되었다. 이로써 황수신의 가문은 조선조 최초 부자(父子) 영의정을 낸 명문으로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ref>道雨,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GbT1&articleno=7090685&categoryId=160911®dt=20080219120854 황희 정승과 아들 황수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aum 블로그 - 태극기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8년 02월 19일.</ref> | 1467년([[조선 세조|세조)]] 영의정에 [[황희]]의 셋째 아들 황수신이 발탁 되었다. 이로써 황수신의 가문은 조선조 최초 부자(父子) 영의정을 낸 명문으로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ref>道雨,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GbT1&articleno=7090685&categoryId=160911®dt=20080219120854 황희 정승과 아들 황수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aum 블로그 - 태극기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8년 02월 19일.</ref> | ||
====[[황희|황희(黃喜)]] 정승과 아들 황수신에 관련된 이야기==== | ====[[황희|황희(黃喜)]] 정승과 아들 황수신에 관련된 이야기==== | ||
{{Blockquote| | {{Blockquote| | ||
− | 황희 정승의 아들 | + | 황희 정승의 아들 황수신에게 사랑하는 기생이 있었다. 아버지가 기방 출입을 끊으라고 여러 차례 엄하게 꾸짖었으나, 아들은 말을 듣지 않았다. 어느 날 수신이 밖에서 돌아오니, 황 정승이 관복을 차려입고 문까지 나와, 마치 큰 손님을 맞이하듯 하였다. 아들이 놀라 엎드리며 까닭을 물으니 황 정승은 이렇게 말했다. “내가 너를 아들로 대접했는데 도대체 말을 듣지 않으니, 이는 네가 나를 아비로 여기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너를 손님 맞는 예로 대하는 것이다.” 뉘우친 아들은 기방 출입을 끊기로 맹세했다. 위의 내용은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실려있는 이야기이다. |
− | |||
− | 위의 내용은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실려있는 이야기이다. | ||
|출처= 道雨, 『Daum 블로그 - 태극기사』, 황희 정승과 아들 황수신.<ref>道雨,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GbT1&articleno=7090685&categoryId=160911®dt=20080219120854 황희 정승과 아들 황수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aum 블로그 - 태극기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8년 02월 19일.</ref>}} | |출처= 道雨, 『Daum 블로그 - 태극기사』, 황희 정승과 아들 황수신.<ref>道雨,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GbT1&articleno=7090685&categoryId=160911®dt=20080219120854 황희 정승과 아들 황수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Daum 블로그 - 태극기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8년 02월 19일.</ref>}} | ||
− | + | ===저술 활동=== | |
− | 황수신은 [[계유정난]]을 지지하여 | + | 황수신은 [[계유정난]]을 지지하여 좌익공신의 관리가 되었다. [[조선 세조|세조]]의 명을 받아『법화경(法華經)』,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언해를 주관하였고,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의 찬진(撰進)<ref>글을 지어 임금에게 올림. "[http://dic.naver.com/search.nhn?dicQuery=%EC%B0%AC%EC%A7%84&query=%EC%B0%AC%EC%A7%84&target=dic&ie=utf8&query_utf=&isOnlyViewEE= 찬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어학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을 감독하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9%A9%EC%88%98%EC%8B%A0 황수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장수의 [[장수 창계서원|창계서원(滄溪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열성(烈成)이다.<ref>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221 황수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장수의 [[장수 창계서원|창계서원(滄溪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열성(烈成)이다.<ref>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221 황수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2018년 1월 4일 (목) 17:07 기준 최신판
황수신(黃守身) | |
대표명칭 | 황수신 |
---|---|
한자표기 | 黃守身 |
생몰년 | 1407년-1467년 |
본관 | 장수(長水) |
시호 | 열성(烈成) |
호 | 나부(懦夫) |
자 | 수효(秀孝), 계효(季孝) |
시대 | 조선시대 |
국적 | 조선 |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가계
본관은 장수(長水)이고 자는 수효(秀孝, 『세종실록(世宗實錄)』에는 계효(季孝)로 되어 있다), 호는 나부(懦夫)이다. 황균비(黃均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릉대도호부사 황군서(黃君瑞)이고, 아버지는 세종조의 명상 영의정부사 황희(黃喜)이며, 어머니는 양진(楊震)의 딸이다.[1] 1467년(세조) 영의정에 황희의 셋째 아들 황수신이 발탁 되었다. 이로써 황수신의 가문은 조선조 최초 부자(父子) 영의정을 낸 명문으로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2]
황희(黃喜) 정승과 아들 황수신에 관련된 이야기
황희 정승의 아들 황수신에게 사랑하는 기생이 있었다. 아버지가 기방 출입을 끊으라고 여러 차례 엄하게 꾸짖었으나, 아들은 말을 듣지 않았다. 어느 날 수신이 밖에서 돌아오니, 황 정승이 관복을 차려입고 문까지 나와, 마치 큰 손님을 맞이하듯 하였다. 아들이 놀라 엎드리며 까닭을 물으니 황 정승은 이렇게 말했다. “내가 너를 아들로 대접했는데 도대체 말을 듣지 않으니, 이는 네가 나를 아비로 여기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너를 손님 맞는 예로 대하는 것이다.” 뉘우친 아들은 기방 출입을 끊기로 맹세했다. 위의 내용은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실려있는 이야기이다. |
||
출처: 道雨, 『Daum 블로그 - 태극기사』, 황희 정승과 아들 황수신.[3] |
저술 활동
황수신은 계유정난을 지지하여 좌익공신의 관리가 되었다. 세조의 명을 받아『법화경(法華經)』,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언해를 주관하였고,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의 찬진(撰進)[4]을 감독하였다.[5]
장수의 창계서원(滄溪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열성(烈成)이다.[6]
지식 관계망
- 황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희 | 황수신 | A의 아들은 B이다 | A ekc:hasSon B |
황수신 | 계유정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한충희, "황수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道雨, "황희 정승과 아들 황수신",
『Daum 블로그 - 태극기사』online , 작성일: 2008년 02월 19일. - ↑ 道雨, "황희 정승과 아들 황수신",
『Daum 블로그 - 태극기사』online , 작성일: 2008년 02월 19일. - ↑ 글을 지어 임금에게 올림. "찬진",
『네이버 어학사전』online . - ↑ "황수신",
『위키백과』online . - ↑ 한충희, "황수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 緣田, "황희 정승과 아들 황수신",
『Daum 블로그 - 태극기사』online , 작성일: 2008년 02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