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문헌정보
 
{{문헌정보
|사진= stele3.png
+
|사진= stele2.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
 
|대표명칭=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
8번째 줄: 8번째 줄:
 
|유형=  
 
|유형=  
 
|저자=[[김부의|김부의(金富儀)]]
 
|저자=[[김부의|김부의(金富儀)]]
|역자=
+
|역자=  
 
|편자=  
 
|편자=  
 
|저술시기=1130년(인종8년)
 
|저술시기=1130년(인종8년)
29번째 줄: 29번째 줄:
  
 
=='''정의'''==
 
=='''정의'''==
[[춘천 청평사|청평사]]의 중수 사실을 기록한 고려시대의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43640&cid=51293&categoryId=51293 문수원중수비편],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춘천 청평사|청평사]]의 중수 사실을 기록한 고려시대의 비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43640&cid=51293&categoryId=51293 문수원중수비편],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내용'''==
 
=='''내용'''==
문수원(文殊院)은 현재의 [[춘천 청평사|청평사]]로서, 1089년([[고려 선종|선종]] 6) [[이자현|이자현(李資玄)]]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은거하여 불법(佛法)을 연구하고 후진을 가르치면서 산이름을 '청평(淸平)'이라 하고, 원명(院名)을 '문수(文殊)'라 고쳐 중수하였다. [[이자현]]이 죽은 뒤, 나라에서는 '진락공(眞樂公)'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그의 사적을 새겨 비를 세우게 하였으니, 그것이 바로 이 비이다.<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563 문수원중수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문수원(文殊院)은 현재의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에 있는 [[춘천 청평사|청평사]]이다. 1089년([[고려 선종|선종]] 6) [[이자현|이자현(李資玄)]]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은거하여 불법(佛法)을 연구하고 후진을 가르치면서 산이름을 '청평(淸平)'이라 하고, 원명(院名)을 '문수(文殊)'라 고쳐 중수하였다. [[이자현]]이 죽은 뒤, 나라에서는 '진락공(眞樂公)'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그의 사적을 새겨 비를 세우게 하였으니, 그것이 바로 이 비이다.<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563 문수원중수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원래는 비의 상·하부가 깨진 채로 [[춘천 청평사|청평사]]에 세워져 있었으나, 6·25 때 파괴되어 현재는 일부 파편이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563 문수원중수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의 상부에는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라는 제액이 있고, 그 아래 행서로 쓴 기문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43640&cid=51293&categoryId=51293 문수원중수비편],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원래는 비의 상·하부가 깨진 채로 [[춘천 청평사|청평사]]에 세워져 있었으나, 그나마도 6·25 때 파괴되어 현재는 일부 파편만이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ref>김응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563 문수원중수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의 상부에는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라는 제액이 있고, 그 아래 행서로 쓴 기문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43640&cid=51293&categoryId=51293 문수원중수비편],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비문은 [[이자현]]의 문인으로서 당시 문수원의 주지였던 조원(祖遠)의 부탁을 받아 [[김부의|김부의(金富儀)]]가 1130년([[고려 인종|인종]] 8)에 지었으며, [[이자현]]에게 수학하였던 [[탄연|대감국사 탄연(鑑國師 坦然)]]이 글씨를 썼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93 진락공문수원기(眞樂公文殊院記)]",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비문은 [[이자현]]의 문인으로서 당시 문수원의 주지였던 조원(祖遠)의 부탁을 받아 [[김부의|김부의(金富儀)]]가 1130년([[고려 인종|인종]] 8)에 지었으며, [[이자현]]에게 수학하였던 [[탄연|대감국사 탄연(鑑國師 坦然)]]이 글씨를 썼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93 진락공문수원기(眞樂公文殊院記)]",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2018년 1월 4일 (목) 15:09 판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朝天錄)
Stele2.png
대표명칭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
한자표기 朝天錄
저자 김부의(金富儀)
저술시기 1130년(인종8년)
시대 고려시대



정의

청평사의 중수 사실을 기록한 고려시대의 비이다.[1]

내용

문수원(文殊院)은 현재의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에 있는 청평사이다. 1089년(선종 6) 이자현(李資玄)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은거하여 불법(佛法)을 연구하고 후진을 가르치면서 산이름을 '청평(淸平)'이라 하고, 원명(院名)을 '문수(文殊)'라 고쳐 중수하였다. 이자현이 죽은 뒤, 나라에서는 '진락공(眞樂公)'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그의 사적을 새겨 비를 세우게 하였으니, 그것이 바로 이 비이다.[2]

원래는 비의 상·하부가 깨진 채로 청평사에 세워져 있었으나, 그나마도 6·25 때 파괴되어 현재는 일부 파편만이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3] 비의 상부에는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라는 제액이 있고, 그 아래 행서로 쓴 기문이 있다.[4]

비문은 이자현의 문인으로서 당시 문수원의 주지였던 조원(祖遠)의 부탁을 받아 김부의(金富儀)가 1130년(인종 8)에 지었으며, 이자현에게 수학하였던 대감국사 탄연(鑑國師 坦然)이 글씨를 썼다.[5]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 김부의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 탄연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writer B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 춘천 청평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 이자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문수원중수비편,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김응현, "문수원중수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응현, "문수원중수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문수원중수비편,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진락공문수원기(眞樂公文殊院記)",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