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야산독서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관계망)
34번째 줄: 34번째 줄:
 
신라 말기에 [[최치원|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로, 『[[동문선|동문선(東文選)]]』 권19에 전하며, ‘농산정(籠山亭)’, ‘가야산홍류동(伽倻山紅流洞)’이라고도 불린다.<ref>민병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220 제가야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칠언절구 4수로 구성되어 있는 이 시는 자연을 통하여 현실적 고뇌를 극복하려는 심정을 나타낸 작품으로 세상의 온갖 시비(是非)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우의적(寓意的)으로 읊고 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7317 제가야산독서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신라 말기에 [[최치원|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로, 『[[동문선|동문선(東文選)]]』 권19에 전하며, ‘농산정(籠山亭)’, ‘가야산홍류동(伽倻山紅流洞)’이라고도 불린다.<ref>민병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220 제가야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칠언절구 4수로 구성되어 있는 이 시는 자연을 통하여 현실적 고뇌를 극복하려는 심정을 나타낸 작품으로 세상의 온갖 시비(是非)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우의적(寓意的)으로 읊고 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7317 제가야산독서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제1수에서는 중첩된 바위 사이에서 흐르는 물의 모습과 소리를 묘사한다. 이는 인간세상과 단절하고자 하는 마음을 나타낸다. 제2수에서는 그 물소리가 사람소리를 분간하기 어렵게 한다고 말한다. 이는 시비소리가 난무하는 어지러운 세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한다. 제3수에서는 서정적 자아의 심적 태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제4수에서는 물로 하여금 온통 산을 감싸게 하였다고 말한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7317 제가야산독서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제1수에서는 중첩된 바위 사이에서 흐르는 물의 모습과 소리를 묘사한다. 이는 인간세상과 단절하고자 하는 마음을 나타낸다. 제2수에서는 그 물소리가 사람소리를 분간하기 어렵게 한다고 말한다. 이는 시비소리가 난무하는 어지러운 세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한다. 제3수에서는 서정적 자아의 심적 태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제4수에서는 물이 산을 온통 감쌌다고 말한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87317 제가야산독서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최치원]]은 연보에 그가 39세이던 894년([[신라 진성여왕|진성여왕]] 8)에 ‘[[시무십여조|시무십여조(時務十餘條)]]’를 올리고 그 다음해에 가야산 [[합천 해인사|해인사(海印寺)]]에 은거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적어도 가야산에 은거한 40세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다.<ref>민병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220 제가야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연보에 따르면 [[최치원]]은 그가 39세이던 894년([[신라 진성여왕|진성여왕]] 8)에 ‘[[시무십여조|시무십여조(時務十餘條)]]’를 올리고 그 다음해에 가야산 [[합천 해인사|해인사(海印寺)]]에 은거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적어도 가야산에 은거한 40세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다.<ref>민병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220 제가야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8년 1월 2일 (화) 16:48 판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대표명칭 제가야산독서당
한자표기 題伽倻山讀書堂
이칭 농산정(籠山亭),가야산홍류동(伽倻山紅流洞)
유형 한시
저자 최치원(崔致遠)
시대 신라시대



정의

신라 말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

내용

신라 말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로, 『동문선(東文選)』 권19에 전하며, ‘농산정(籠山亭)’, ‘가야산홍류동(伽倻山紅流洞)’이라고도 불린다.[1] 칠언절구 4수로 구성되어 있는 이 시는 자연을 통하여 현실적 고뇌를 극복하려는 심정을 나타낸 작품으로 세상의 온갖 시비(是非)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우의적(寓意的)으로 읊고 있다.[2]

제1수에서는 중첩된 바위 사이에서 흐르는 물의 모습과 소리를 묘사한다. 이는 인간세상과 단절하고자 하는 마음을 나타낸다. 제2수에서는 그 물소리가 사람소리를 분간하기 어렵게 한다고 말한다. 이는 시비소리가 난무하는 어지러운 세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한다. 제3수에서는 서정적 자아의 심적 태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제4수에서는 물이 산을 온통 감쌌다고 말한다.[3]

연보에 따르면 최치원은 그가 39세이던 894년(진성여왕 8)에 ‘시무십여조(時務十餘條)’를 올리고 그 다음해에 가야산 해인사(海印寺)에 은거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적어도 가야산에 은거한 40세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다.[4]

지식관계망

  • 최치원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제가야산독서당 최치원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동문선 제가야산독서당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주석

  1. 민병수, "제가야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제가야산독서당", 『두산백과』online.
  3. "제가야산독서당", 『두산백과』online.
  4. 민병수, "제가야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