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남도석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상현실)
(참고문헌)
 
103번째 줄: 103번째 줄: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민족/교열완료]]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2017년 12월 27일 (수) 00:05 기준 최신판

진도 남도석성
(珍島 南桃石城)
민족기록화 유물유적 남도석성 전경01.jpeg
대표명칭 진도 남도석성
한자표기 珍島 南桃石城
유형 성곽
시대 고려
지정번호 사적 제127호
지정일 1964년 6월 10일
소장처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관련인물 배중손
관련장소 진도 정충사



정의

고려시대의 성곽으로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에 있다.

내용

둘레 54m, 지정면적 20,169㎡으로, 성곽의 동측, 서측, 남측에 각각 문이 나 있으며 남문은 옹성이 감싸고 있다. 남문과 멀지 않은 곳에 해안선이 위치해 있는데, 과거에는 성벽 바로 밑까지 바닷물에 잠겼다고 한다.
남문 앞으로 흐르는 개울에는 쌍홍교와 단홍교라는 두 개의 다리가 놓여 있다. 쌍홍교는 해방 직후에 마을 사람들이 놓았다고 하며, 물에 비친 두 다리의 그림자가 마치 안경과 같다 하여 안경다리라고도 불린다.
서문 앞쪽에는 여섯 명의 뛰어난 수군만호(水軍萬戶)를 기념하는 남도석성 만호비가 세워져 있다.[1]
성곽 내부에는 옛 관아와 객사 등이 복원되어 있다.

대몽항쟁의 근거지

남도석성은 고려 원종 때 배중손삼별초와 함께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쌓은 성이라고도 전해진다. 남도석성과 멀지 않은 곳에 배중손이 몽고 연합군과 혈투를 벌이다 후퇴하여 죽음을 맞이한 장소가 위치해 있다. 현재는 그곳에 정충사라는 이름의 사당을 세워 그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실제로는 삼국시대에 이미 어느 정도 축성되어 있었을 것이라 추정되는데, 그 이유는 백제 시대부터 진도에 이미 세 개의 고을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현재 남아 있는 성곽은 조선 세종 때에 새로이 축조한 것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진도 남도석성 진도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진도 남도석성 배중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진도 남도석성 삼별초항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진도 남도석성 삼별초 A는 B에 의해 건설되었다 A dcterms:constructor B
배중손 삼별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진도 남도석성 진도 정충사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배중손 진도 정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ekc:isEnshrinedIn
진도 남도석성 진도 굴포당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공간정보

  • 삼별초의 대몽항쟁지 전자지도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진도 남도포", 『한반도 해양문화 원형』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진도 남도포", 『한반도 해양문화 원형』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 신미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1995. 온라인 참조: "남도석성", 답사여행의 길잡이-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차용걸, "남도석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