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진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시간정보) |
|||
91번째 줄: | 91번째 줄: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세종 연간 || [[임원준]] | + | | 세종 연간 || [[임원준]] [[창진집]]을 저술하였다 |
|- | |- | ||
− | | 세조 연간 || [[이예손]] | + | | 세조 연간 || [[이예손]] [[창진집]]을 교정하였다 |
|- | |- | ||
| 1608년 || [[허준]]이 『[[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 | 1608년 || [[허준]]이 『[[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
2017년 11월 29일 (수) 04:31 판
창진집(瘡疹集) | |
대표명칭 | 창진집 |
---|---|
한자표기 | 瘡疹集 |
이칭 | 창진방 |
유형 | 고서 |
저자 | 임원준 |
저술시기 | 세종 연간 |
간행시기 | 세조 연간 |
시대 | 조선 |
목차
정의
내용
『창진집』의 편찬
창진집의 서문에 세종 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나와 있다. 그러나 정확히 언제인지는 기록을 찾아 볼 수 없다. 아마도 『의방유취』와 함께 편찬외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세종 대에 편찬된 『창진집』은 이후 어려차례 개정을 거쳐 세조 대 첨지중추원 이예손이 교정하여 완결되었다. [1]
『창진집』의 발견
한동안 창진집이 현존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벽사 이우성이 1883년 중국 절강성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것을 국내로 복사하여 가져와 영인하면서 그 존재가 알려졌다. 총 3권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맨 앞장에는 '稱意館藏書記'라는 장서인과 그 위에 '浙江圖書館珍藏善本'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다. [2]
『창진집』의 구성과 내용
『창진집』은 총 3권으로, 제가론과 금기조항을 제외하고 두창의 발생에서부터 처방까지 총 9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다. 상권에서는 두창에 관한 의학자들의 논설을 엮은 제가론(諸家論)을 싣고 있다. 중권에서는 두창(창진)을 예방하는 방법과 두창으로 인하여 눈을 상하지 않게 하는 법 등을 싣고 있다. 또 이미 걸렸을 때는 발진을 빨리 내게 한 이후 소멸시키고, 농을 소독하면서 그로 인한 상흔을 치료하고, 발진이 난 자리에 생기는 딱지를 말려 떨어지게 하는 방법을 적었다. 하권에서는 일반적인 치료약 및 조선에서의 경험처방 등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창진집』의 편성체제는 17세기 전반 허준으로 이어져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로 정리되었다. [3]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지식 관계망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창진집 | 언해두창집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창진집 | 임원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언해두창집요 | 허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의방유취 | 창진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예손 | 창진집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임원준 | 창진집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창진집 | 창진집 편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창진집 | 이우성 | A는 B에 의해 영인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세종 연간 | 임원준 창진집을 저술하였다 |
세조 연간 | 이예손 창진집을 교정하였다 |
1608년 | 허준이 『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
주석
- ↑ 김성수, 「조선전기 두창의 유행과 《창진집》」, 『한국학의학연구원논문집』16, 2010, 36쪽.
- ↑ 김성수, 「조선전기 두창의 유행과 《창진집》」, 『한국학의학연구원논문집』16, 2010, 36쪽.
- ↑ 김성수, 「조선전기 두창의 유행과 《창진집》」, 『한국학의학연구원논문집』16, 2010, 38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이우성, 『창진집』, 아세아문화사, 1997.
- 안상우, 『역대 한국의학문헌의 복원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2008.
- 웹자원
- 육창수, "창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육창수, "창진집",
유용한 정보
- 허의도, "535년전 국내최초 피부병책 '창진집' 중국에 있다", 『중앙일보』, 작성일: 1997년 10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