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신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E002/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E00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2017년 11월 29일 (수) 04:09 판
김유신 표준영정 | |
한자명칭 | 金庾信 標準影幀 |
---|---|
작가 | 장우성 |
제작시기 | 1972년 |
지정연도 | 1977년 |
소장처 | 진천 길상사 |
유형 | 표준영정 |
크기(세로×가로) | 187×98㎝ |
목차
정의
신라의 명장 김유신(金庾信, 595-673년)의 모습을 그린 국가표준영정이다.
내용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김유신 표준영정은 1972년 월전 장우성 화백에 의해 그려진 작품으로, 김유신의 탄생지인 충북 진천 길상사 정화작업과 동시에 관련 영정 제작이 추진되었다. 현재 진천 길상사 홍무전에 모셔져 있다.
김유신 표준영정은 월전미술관에 초본이 남아 있어 제작 당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초본은 작은 종이에 얼굴을 그린 후 다시 큰 종이에 옮겨 붙여 몸을 완성했으며, 얼굴과 갑옷 등 전체적인 모습을 연필로 그린후 얼굴을 제외한 갑주부분은 먹을 사용하여 다시 그렸다. 초본에는 흉부에 방울이 세 개 달려있으나, 실제 표준영정에는 없어 영정심의과정에서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1]
장우성은 진천 길상사 외에 1976년에 경주 통일전에 김유신 영정을 제작했는데, 경주 통일전 김유신 영정은 은 제관과 은제띠를 착용하고 홍포를 입은 전신 좌상으로, 진천 길상사의 영정과 달리, 문관복장을 하고 있다.[2]
문헌에 기록된 외모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유신은 진평왕 17년에 칠요(七曜, 태양·달·수성·화성·목성·금성·토성)의 정기를 품고 태어났기 때문에 등에 칠성(七星)의 무늬가 있었다고 전해진다.[5]
또한, 『화랑세기』에는 서기 540년부터 681년까지 재임한 역대 풍월주 32명 중 15명의 외모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는데, 제15대 풍월주인 김유신의 외모에 대해서는 "태양과 같았다"고 묘사되어 있다.[6]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김유신 영정은 전신 입상으로서 얼굴은 우안 7분면이며 몸은 정면을 향하고 있다. 갑주와 투구를 착용하고 왼손에 칼을 잡고 서 있다. 갑주의 하반신은 허리 양 옆에 댄 상상갑의 모양과 대퇴부에 댄 네모난 하상갑 그리고 좌우 하상갑 사이 앞쪽에 위치한 전상갑 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상반신은 양쪽으로 뿔이 달린 투구와 갑주의 비늘 등의 모습이 김경승의 <김유신 동상>과 비슷하다.
김유신의 얼굴은 반백의 수염에 이마와 볼에 주름살이 그려져 있으며, 약간 아래로 내려온 눈에 꾹 다문 입술을 하고 있어 용맹스럽다기 보다는 온화하며 노년의 평온함을 가진 모습이다. 이러한 모습은 삼국통일이라는 성업을 완수한 직후인 60대의 모습으로 그리고자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7]
장우성 화백이 김유신 영정을 그릴 때 김해 김씨 남성 50명의 얼굴을 합성하여 제작하였다고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유신 표준영정 | 표준영정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김유신 표준영정 | 김유신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김유신 표준영정 | 진천 길상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유신 표준영정 | 장우성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7년 | 김유신 표준영정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김유신 표준영정[10]
김유신 표준영정 초본[11]
경주 통일전 김유신 영정[12]
김경승, <김유신 동상>, 1969, 남산공원[13]
김경승, <김유신 동상>, 1969, 남산공원[14]
영상
- 20150704 흥무대왕 김유신장군 영정을 모신 사당(게시일: 2015년 8월 18일)
주석
- ↑ "월전미술관에...알 수 있다."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8쪽.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 ↑ 『삼국유사』권1, 「기이」, 김유신 0595년. 온라인 참조: '김서현의 아들 유신이 칠요의 정기를 품고 태어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김종성, "신라 최고의 꽃미남 화랑은?", 『문화유산채널』, 작성일: 2010년 11월 11일.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 ↑ 이석미,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영정 초본 展’",
『시사이천』online , 작성일: 2014년 08월 08일.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기사
- 全敬雄, "신라통일의 발자취를 따라(3) 吉祥祠, 『조갑제닷컴』, 2006년 02월 18일.
- 김종성, "신라 최고의 꽃미남 화랑은?", 『문화유산채널』, 작성일: 2010년 11월 11일.
- 논문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년.
- 웹 자원
- 『삼국유사』권1, 「기이」, 김유신 0595년. 온라인 참조: '김서현의 아들 유신이 칠요의 정기를 품고 태어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삼국유사』권1, 「기이」, 김유신 0595년. 온라인 참조: '김서현의 아들 유신이 칠요의 정기를 품고 태어나다',
유용한 정보
- "김유신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 한국문화정보원. - "김유신장군표준영정지정(문화공보부공고제314호)-관보제7607호(1977년3월25일)",
『관보』online , 국가기록원.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3.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붓끝, 한국화 100년의 역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2.
- 단행본
- 장우성, 『월전회고록-화단풍상칠십년』, 미술문화, 2003.
- 논문
- 조인수, 「월전 장우성의 초상화」, 『제2회 월전학술포럼』발표자료집, 월전학술포럼, 2014, 1-1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