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민족기록화 인물 계백 01.jpg  
+
|사진=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계백_표준영정.jpg  
 
|사진출처="[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PartList.jsp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한국문화정보원.
 
|사진출처="[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PartList.jsp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한국문화정보원.
 
|대표명칭=계백
 
|대표명칭=계백
31번째 줄: 31번째 줄:
  
 
=='''정의'''==
 
=='''정의'''==
백제 말기의 장군. 김유신 소정방이 이끄는 5만여 병력의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자 군사 5천을 거느리고 출천하여 황산벌(黃山 : 지금의 충청남도 連山)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싸웠다.
+
백제 말기의 장군이다.
  
 
=='''내용'''==
 
=='''내용'''==
 +
계백은 [[김유신]], [[소정방]]이 이끄는 5만여 병력의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자 군사 5천을 거느리고 출천하여 [[황산벌]](黃山 : 지금의 충청남도 連山)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싸웠다.<br/>
 
계백은 죽기를 각오한 군사 5,000명을 이끌고 출전하면서, 이미 나라를 보전하기 어렵다는 것을 직감하고 '살아서 적의 노비(奴婢)가 됨은 차라리 죽음만 같지 못하다'하여 자기의 처자를 모두 죽여 비장한 결의를 보였다.
 
계백은 죽기를 각오한 군사 5,000명을 이끌고 출전하면서, 이미 나라를 보전하기 어렵다는 것을 직감하고 '살아서 적의 노비(奴婢)가 됨은 차라리 죽음만 같지 못하다'하여 자기의 처자를 모두 죽여 비장한 결의를 보였다.
 
{{Blockquote| 계백은 장군(將軍)이 되어 죽음을 각오한 5천 명을 뽑아 이들을 막고자 했다. 그리고
 
{{Blockquote| 계백은 장군(將軍)이 되어 죽음을 각오한 5천 명을 뽑아 이들을 막고자 했다. 그리고
41번째 줄: 42번째 줄:
 
{{Blockquote| 황산의 벌판에 이르러 3개의 군영(軍營)을 설치하였다. 신라 군대를 만나 전투를 시작하려고 하자, 계백은 여러 사람들 앞에서 맹세하며
 
{{Blockquote| 황산의 벌판에 이르러 3개의 군영(軍營)을 설치하였다. 신라 군대를 만나 전투를 시작하려고 하자, 계백은 여러 사람들 앞에서 맹세하며
 
"지난 날 구천(句踐)은 5천 명으로 오(吳)나라 70만의 무리를 격파하였다. 지금 오늘 마땅히 각자 힘써 싸워 승리함으로써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자."고 하였다. 드디어 격렬히 싸우니, 백제의 군사로서 일당천(一當千)이 아닌 자가 없었다. 신라군은 이에 퇴각하였다.<br/>
 
"지난 날 구천(句踐)은 5천 명으로 오(吳)나라 70만의 무리를 격파하였다. 지금 오늘 마땅히 각자 힘써 싸워 승리함으로써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자."고 하였다. 드디어 격렬히 싸우니, 백제의 군사로서 일당천(一當千)이 아닌 자가 없었다. 신라군은 이에 퇴각하였다.<br/>
|출처="[http://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setId=-1&prevPage=0&prevLimit=&itemId=sg&types=r&synonym=off&chinessChar=on&levelId=sg_047r_0150_0050&position=38 삼국사기 열전 제7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타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국사편찬위원회.}}
+
|출처="[http://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setId=-1&prevPage=0&prevLimit=&itemId=sg&types=r&synonym=off&chinessChar=on&levelId=sg_047r_0150_0050&position=38 삼국사기 열전 제7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데이타베이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그러나 반굴(盤屈)·관창(官昌) 등 어린 화랑의 전사로 사기가 오른 연합군의 대군과 대적하기에는 그 수가 턱없이 부족하였다.결국, 백제군은 패하고 계백은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
그러나 [[반굴]](盤屈)·[[관창]](官昌) 등 어린 화랑의 전사로 사기가 오른 연합군의 대군과 대적하기에는 그 수가 턱없이 부족하였다.결국, 백제군은 패하고 계백은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br/>
부여의 의열사(義烈祠), 연산의 충곡서원에 제향되었다.
+
부여의 [[부여 의열사|의열사]](義烈祠), 연산의 [[연산 충곡서원|충곡서원]]에 제향되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8/C008.htm "황산싸움"(오승우)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41/E041.htm 계백 그래프]'''
 +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08/C00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41/E04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8/C008.htm "황산싸움"(오승우) 지식관계망]'''
 +
  
 
===관련항목===
 
===관련항목===
57번째 줄: 62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계백]] || [[황산벌싸움]] || A는 B에 참가하였다 || 660년
+
| [[계백 표준영정]] || [[계백]]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계백]] || [[황산벌싸움]] || A는 B에 참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계백]] ||[[논산 충장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계백]] ||[[논산 충장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88번째 줄: 95번째 줄:
 
===가상현실===
 
===가상현실===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계백_표준영정.jpg|[[계백]] 표준영정(1977년 지정)<ref> "[http://www.kculture.or.kr/korean/portrait/portraitView.jsp?sp_seq=55 계백]", 선현의 표준영정,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민족정보마당』<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정보원.</ref>
 +
</gallery>
 
===영상===
 
===영상===
  
96번째 줄: 106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웹자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142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동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142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6054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6054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53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53 계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분류:역사인물]][[분류:김누리]][[분류:인물]]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2017년 11월 28일 (화) 08:42 판

계백(階伯(堦伯))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한국문화정보원.
대표명칭 계백
한자표기 階伯(堦伯)
생몰년 -660년
시대 삼국
국적 백제
유형 장군



정의

백제 말기의 장군이다.

내용

계백은 김유신, 소정방이 이끄는 5만여 병력의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자 군사 5천을 거느리고 출천하여 황산벌(黃山 : 지금의 충청남도 連山)에서 신라 김유신의 군대와 맞서 싸웠다.
계백은 죽기를 각오한 군사 5,000명을 이끌고 출전하면서, 이미 나라를 보전하기 어렵다는 것을 직감하고 '살아서 적의 노비(奴婢)가 됨은 차라리 죽음만 같지 못하다'하여 자기의 처자를 모두 죽여 비장한 결의를 보였다.

Quote-left.png 계백은 장군(將軍)이 되어 죽음을 각오한 5천 명을 뽑아 이들을 막고자 했다. 그리고

"한 나라의 사람으로서 당과 신라의 대규모 병력을 맞게 되었으니, 국가의 존망(存亡)을 알 수 없다. 내 처와 자식들이 잡혀 노비(奴婢)가 될까 염려된다. 살아서 치욕을 당하는 것보다 죽어서 흔쾌한 편이 나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마침내 처자식을 모두 죽였다.

Quote-right.png
출처: "삼국사기 열전 제7 계백", 『한국사데이타베이스』online국사편찬위원회.


황산벌에 이르러 3개의 군영을 설치하고 군사들에게 맹세하기를 "옛날에 구천(句踐)은 5,000명의 군사로써 오(吳)나라 70만 대군을 쳐부쉈으니 오늘날 마땅히 각자가 있는 힘을 다하여 최후의 결판을 내자"하고, 신라의 김유신(金庾信)이 이끄는 5만의 군사를 맞아 네 차례나 그들을 격파하였다.

Quote-left.png 황산의 벌판에 이르러 3개의 군영(軍營)을 설치하였다. 신라 군대를 만나 전투를 시작하려고 하자, 계백은 여러 사람들 앞에서 맹세하며

"지난 날 구천(句踐)은 5천 명으로 오(吳)나라 70만의 무리를 격파하였다. 지금 오늘 마땅히 각자 힘써 싸워 승리함으로써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자."고 하였다. 드디어 격렬히 싸우니, 백제의 군사로서 일당천(一當千)이 아닌 자가 없었다. 신라군은 이에 퇴각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삼국사기 열전 제7 계백", 『한국사데이타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그러나 반굴(盤屈)·관창(官昌) 등 어린 화랑의 전사로 사기가 오른 연합군의 대군과 대적하기에는 그 수가 턱없이 부족하였다.결국, 백제군은 패하고 계백은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부여의 의열사(義烈祠), 연산의 충곡서원에 제향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계백 표준영정 계백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계백 황산벌싸움 A는 B에 참가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계백 논산 충장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계백 계백 장군 제향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계백 연산 충곡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계백 부여 의열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660년 계백황산벌싸움에 참가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195687 127.180677 계백황산벌싸움에 참가하였다
36.198371 127.177168 계백충곡서원에 배향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계백", 선현의 표준영정, 『한민족정보마당』online, 한국문화정보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신동하, "계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계백",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계백",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