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조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joseon_yangban_mid
+
|사진=joseon_yangban_mid.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조헌
 
|대표명칭=조헌
31번째 줄: 32번째 줄:
  
 
=='''정의'''==
 
=='''정의'''==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를 이끈 조선 중기의 문신·유학자·의병장이다.<ref>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754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를 이끈 조선 중기의 문신, 유학자, 의병장이다.<ref>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754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출생 및 성장===
 
===출생 및 성장===
 
조헌은 1544년(중종 39) 6월 28일 경기도 김포현 감정리에서 출생하였다. 22세인 1565년 성균관에 진학하였고 1567년 식년문과에 병과 9등으로 합격해 교서관 부정자에 임명되어 본격적인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정주, 파주, 홍주 등 지방의 교수(敎授)직을 역임하였다. 1572년(선조 5)에 교서관 정자(正字)에 임명되면서 중앙의 관직에 진출했고, 이듬해 교서관 저작(著作)에 승진되었다.<br/>
 
조헌은 1544년(중종 39) 6월 28일 경기도 김포현 감정리에서 출생하였다. 22세인 1565년 성균관에 진학하였고 1567년 식년문과에 병과 9등으로 합격해 교서관 부정자에 임명되어 본격적인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정주, 파주, 홍주 등 지방의 교수(敎授)직을 역임하였다. 1572년(선조 5)에 교서관 정자(正字)에 임명되면서 중앙의 관직에 진출했고, 이듬해 교서관 저작(著作)에 승진되었다.<br/>
1574년(선조 7)에 성절사의 질정관(質正官)이 되어 명나라를 다녀온 경험을 기록한 [[조천일기]](朝天日記)]라는 기록을 남겼고, 귀국 직후 명나라의 문물제도 중 본받을 만한 것 8개를 든 [[질정관회환후선상팔조소]](質正官回還後上八先條疏)를 올렸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7099&cid=59015&categoryId=59015 조헌]",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574년(선조 7)에 성절사의 질정관(質正官)이 되어 명나라를 다녀온 경험을 기록한 [[조천일기]](朝天日記)]라는 기록을 남겼고, 귀국 직후 명나라의 문물제도 중 본받을 만한 것 8개를 든 [[질정관회환후선상팔조소]](質正官回還後上八先條疏)를 올렸다.<ref>신병주,장선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7099&cid=59015&categoryId=59015 조헌]",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2013년 9월 18일.</ref>
 
===학문===
 
===학문===
 
조헌은 [[이이]]와 [[성혼]]의 문하생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하여 이이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켰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2076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또한 선조의 노여움을 사 관직에서 물러났을 시기 만난 [[이지함]]을 가장 존경하는 스승으로 모셨으며, 그의 실학적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조헌은 [[이이]]와 [[성혼]]의 문하생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하여 이이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켰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2076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또한 선조의 노여움을 사 관직에서 물러났을 시기 만난 [[이지함]]을 가장 존경하는 스승으로 모셨으며, 그의 실학적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의병 활약===
 
===의병 활약===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문인 [[이우]](李瑀)·[[김경백]](金敬伯)·[[전승업]](全承業) 등과 의병 1,600여 명을 모아, 8월 1일 [[영규]](靈圭)의 승군(僧軍)과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였다.<br/>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문인 [[이우]](李瑀)·[[김경백]](金敬伯)·[[전승업]](全承業) 등과 의병 1,600여 명을 모아, 8월 1일 [[영규]](靈圭)의 승군(僧軍)과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였다.<br/>
그러나 충청도순찰사 [[윤국형]](尹國馨)의 방해로 의병이 강제해산당하고 불과 700명의 남은 병력을 이끌고 금산으로 행진, [[영규]]의 승군과 합진해서, 전라도로 진격하려던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의 왜군과 8월 18일 전투를 벌인 끝에 중과부적으로 모두 전사하였다. 후세에 이를 숭모하여 [[금산전투]]라 일컬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754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그러나 충청도순찰사 [[윤국형]](尹國馨)의 방해로 의병이 강제해산당하고 불과 700명의 남은 병력을 이끌고 금산으로 행진, [[영규]]의 승군과 합진해서, 전라도로 진격하려던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의 왜군과 8월 18일 전투를 벌인 끝에 중과부적으로 모두 전사하였다. 후세에 이를 숭모하여 [[금산전투]]라 일컬었다.<ref>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754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99번째 줄: 100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웹자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754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진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754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7099&cid=59015&categoryId=59015 조헌]",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신병주,장선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7099&cid=59015&categoryId=59015 조헌]",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2013년 9월 18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2076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2076 조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분류:역사인물]][[분류:김누리]][[분류:인물]]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2017년 11월 26일 (일) 21:54 판


조헌(趙憲)
Joseon yangban mid.png
대표명칭 조헌
한자표기 趙憲
생몰년 1544년-1592년
본관 배천(白川)
시호 문열(文烈)
중봉(重峯),도원(陶原),후율(後栗)
여식(汝式)
출생지 경기도 김포
사망지 충청남도 금산
시대 조선
국적 조선
대표직함 공조좌랑,보은현감
조응지(趙應祉)
유형 의병장



정의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를 이끈 조선 중기의 문신, 유학자, 의병장이다.[1]

내용

출생 및 성장

조헌은 1544년(중종 39) 6월 28일 경기도 김포현 감정리에서 출생하였다. 22세인 1565년 성균관에 진학하였고 1567년 식년문과에 병과 9등으로 합격해 교서관 부정자에 임명되어 본격적인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정주, 파주, 홍주 등 지방의 교수(敎授)직을 역임하였다. 1572년(선조 5)에 교서관 정자(正字)에 임명되면서 중앙의 관직에 진출했고, 이듬해 교서관 저작(著作)에 승진되었다.
1574년(선조 7)에 성절사의 질정관(質正官)이 되어 명나라를 다녀온 경험을 기록한 조천일기(朝天日記)]라는 기록을 남겼고, 귀국 직후 명나라의 문물제도 중 본받을 만한 것 8개를 든 질정관회환후선상팔조소(質正官回還後上八先條疏)를 올렸다.[2]

학문

조헌은 이이성혼의 문하생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하여 이이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켰다.[3] 또한 선조의 노여움을 사 관직에서 물러났을 시기 만난 이지함을 가장 존경하는 스승으로 모셨으며, 그의 실학적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의병 활약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문인 이우(李瑀)·김경백(金敬伯)·전승업(全承業) 등과 의병 1,600여 명을 모아, 8월 1일 영규(靈圭)의 승군(僧軍)과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였다.
그러나 충청도순찰사 윤국형(尹國馨)의 방해로 의병이 강제해산당하고 불과 700명의 남은 병력을 이끌고 금산으로 행진, 영규의 승군과 합진해서, 전라도로 진격하려던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의 왜군과 8월 18일 전투를 벌인 끝에 중과부적으로 모두 전사하였다. 후세에 이를 숭모하여 금산전투라 일컬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헌 표준영정 조헌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조헌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조헌 조응지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조헌 이이 A는 B의 제자이다 A ekc:hasMaster B
조헌 성혼 A는 B의 제자이다 A ekc:hasMaster B
조헌 이지함 A는 B의 제자이다 A ekc:hasMaster B
조천일기 조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질정관회환후선상팔조소 조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조헌 2차 금산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영규 청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청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금산 종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조헌 이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김경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전승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고바야가와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진봉, "조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신병주,장선환, "조헌",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발행일: 2013년 9월 18일.
  3. "조헌",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김진봉, "조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김진봉, "조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병주,장선환, "조헌",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발행일: 2013년 9월 18일.
    • "조헌", 『doopedia』online, 두산백과.